개인
2017-10-27 ~ 2017-12-02
무료
02-6012-1434
Silhouette-Eden
주연 개인전 Zu Yeon Solo Exhibition
10. 27 (Fri) ~ 12. 1 (Fri), 2017
이번 전시는 지난 11회 개인전, 검은색 식물이나 도구들이 등장해있는 <블랙 가든 Black Garden>전 이래로 사물의 실루엣에 대한 철학적 미감을 보다 심화해 소위 ‘텅 빈 충만’의 존재적 공간을 펼쳐내고 있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싱크홀과 함께 무너져내린 함몰의 기억과도 같은 그의 화면의 검은 무서운 사물들에게는 낮의 길이만큼 긴 밤 꿈의 불쾌함이 있다. 그러나 그 순간 바닥을 친 자의 어깨를 다독이듯 편안한 위로가 동시에 관람자를 감싼다. 색깔 없는 칠흑같은 그의 블랙 사물들은 명백히 검은 대나무요 검은 나비, 검은 꽃과 식물의 실루엣이라는 또렷한 공간이자, 동시에 징크나 티타늄 화이트의 평면에서 움푹 파인 뚫린 공간, 텅 빈 공간, 곧 수많은 기억과 추억의 저장공간이라는 역설로 인도되기 때문이다. 현실에서 꿈으로, 위협에서 위로로, 그것은 하나의 ‘통로’였던 것이다.
이번 전시의 ‘실루엣’은 주연 작가의 초기, 아마도 대학원 시절부터의 오랜, 그의 학위논문에 의하자면 예닐곱 살 시절의 유년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기억’이자 그 자신 존재의 구성성분이기까지도 하다. 기와공 장인 아버지의 딸, 일상의 도구들이나 작업연장들을 검은색 일색의 플라스틱으로 캐스팅해 일명 ‘플라모델(plamodel) 작가’라는 애칭을 얻었던 약 15년여의 미학적 모색 이후, 2016년부터의 회화 작품이 블랙 일색의 ‘사물의 질서에 대한 탐사’의 여정이었던 것은 이 때문이다. 그것은 대저 사물은 수수께끼의 언어들로 구성되어있기에, 즉 벤야민(w. Benjamin)적 언어관으로라면 사물들의 언어는 “자신의 명료성을 회복하게 될 계시를 기다리고 있”기에 해독되어야 할 사물들이라는 관점으로부터 나왔다.
양각과 음각이 또렷한 일상의 현실이나 자연물이 아니라 그것의 과거와 미래를 포함한 잠재되어있는 아이온(Aiôn)의 시간까지 표현 할 방도. 이집트 회화에서 만나듯 기하학적인 납작 형상들처럼 그는 납작한 실루엣을 떠냈다. 침묵하고 있는 사물들, 그러나 그 ‘있음’ 자체가 뭔가를 말하고 있는 그 숨겨져 있는 언어는 실루엣을 통과해서만 그 본체를 드러내게 된다는 것. 그렇기에 그는 정작 실루엣을 그리는 게 아니다. 실루엣 너머의 배경을 그려 사물이 그려지기를 기대하기. 빛을 그려 어둠이, 그림자가 도드라져 드러나도록 그 흰 빛을 그리는 것이다. 그림의 배면에서 움터나오고 있는 빛, 어둠을 의식화함으로써 밝아지는 빛, 그리하여 빛과 어둠 사이 그 한 가운데 중앙으로 그림은 마침내 걸어나오고 있다. 익숙한 현실인 듯하나 이 세상과는 다른 모듈(module)로 움직이는 다른 질서, 그것이 그녀의 ‘에덴’인 셈이다.
한마디로 이번 개인전의 탐구 주제는 그림자-실루엣의 비의(秘意)다. 검은색 실루엣의 만개한 꽃과 기개에 찬 식물, 수목들. 그것은 지상에 존재하는 유한한 생명들, 꽃과 식물들이 태생적으로 가질 수밖에 없던 검은 그림자, 아니 인간의 그림자다. 그것은 드러나 있되 안으로 숨은 내부이기도 한 우리 자신의 일부분, 우리가 보려 하지 않거나 이해하는 데 실패한 부분은 아니었을까고 그녀는 묻는다. 이로써 그가 그리고자 하는 것은 세상(世上)의 풍경이 아니라 세계(世界)의 형이상학이었음을 우리는 알게 되었다. 화려한 수사와 포스트모던적 패스티쉬가 난무하는 거리 한복판에서 깊은 고독감에 떠는 사람들의 초상이 그곳에 있기 때문이다. 가장 화려한 검은 정장의 찬란한 슬픔이 거기에 있다.
EDUCATION
1995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1998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2013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양화전공 박사과정 졸업
COLLECTIONS
2006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2007 서울시립미술관
2008 경기도미술관
2009 경기문화재단
2009 신안군 김환기미술관
2010 국립과천과학관
2012 진천판화미술관
RESIDECY
2006-2007 국립고양미술창작스튜디오 3기 장기입주작가
2006 갖고 싶은 프로젝트(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일대)
2009 경기문화재단 설치작업프로젝트(경기문화재단 7층 복도)
2009 신안군 Eco Zone 프로젝트(신안군 1004개 섬)
2010 순천만 대지미술 프로젝트(순천만 생태공원 일대)
2010 과학과 미술의 만남 프로젝트(국립과천과학관 어린이탐구체험관)
2011 인사동 풍물(風物)에 류(流)를 더하다(지하철 3호선 안국역 내)
AWARDS
2009 제3차 월간 퍼블릭아트 선정작가
2006 소마미술관 드로잉센터 선정작가
1999 제21회 중앙미술대전, 입선
1998 제24회 서울현대미술제, 우수상
1997 제17회 한국현대판화공모전, 입선
1996 제16회 한국현대판화공모전, 입선
1996 제18회 중앙미술대전, 입선
1995 제5회 뉴-프론티어공모, 우수상
SOLO EXHIBITIONS
2017 The Silhouette-Eden(갤러리 아트비앤, 서울)
2016 The Black Garden(갤러리 아트비앤, 서울)
2015 Translation tools(갤러리 L, 고양)
2013 Re-Play: 잠재적 현실(갤러리41, 서울)
2011 Re-Play(GYMproject, 서울)
2007 Dream Plamodel (윌리엄모리스갤러리, 헤이리)
2007 Dream Plamodel(고양스튜디오 갤러리, 고양)
2005 Plamodel Printmaking(두아트갤러리, 서울)
2004 play together(사디윈도우갤러리, 서울)
2002 00 PLAMODEL(두아트갤러리, 서울)
2001 Play(사간갤러리, 서울)
2000 Kim Hyun-sook(관훈갤러리, 서울)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17
—리얼리즘 상상력(화천갤러리, 화천)
—Let’s Play(63스카이 아트 미술관, 서울)
2016
— spring in still life(AK갤러리, 수원)
2015
— 무심(無心)(소마미술관, 서울)
— 보물섬(양평군립미술관, 양평)
— Homescape(롯데갤러리, 안양, 대전, 광주)
2014
— 콜라주 아트-생각엮기 그림섞기(경기도미술관, 안산)
— 일상의 발견(갤러리147, 서울)
— The third print(토탈미술관, 서울)
— New Generation & Tradition(서울시립경희궁미술관, 서울)
— 양평의 봄(양평군립미술관, 양평)
2013
— 네버랜드(단원미술관, 안산)
— 고백의 정원(광주비엔날레전시관, 광주)
— 구(球)_체(體)_경(景) '힐링 그라운드'(Healing Ground)(소마미술관, 서울)
2012
— 이미지 재구성(세인갤러리, 서울)
— 2012 대구예술발전소 실험적 예술 프로젝트 1 - 미술의 생기(대구예술발전소, 대구)
— 진경(크라쿠프국립미술관, 폴란드)
— 판화와 소통(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서울)
— 플라스틱데이즈(포항시립미술관, 포항)
— 내게는 너무 가벼운 드로잉(갤러리 27, 계원예술대학)
— AR FESTIVAL(파주출판도시, 파주)
2011
— 감각의 브리콜뢰르(진천군립 생거판화미술관, 진천)
— 근대의 숲 충정로를 거닐다!(대안공간 충정각, 서울)
— 판화와 정보(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서울)
— 〔상:像상:想〕형상에 시선이 머물다(터치아트갤러리, 헤이리)
— 인사동 풍물(風物)에 류(流)를 더하다(서울지하철 3호선 안국역 내)
— 내게는 너무 가벼운 드로잉(갤러리 27, 계원예술대학교, 의왕)
2010
— Place(이화아트센터, 서울)
— 순천만 대지미술 프로젝트(순천만 일대, 순천)
— HHEME TIK MIMUS(국민대학교미술관, 서울)
— PUBLIC ART NEW HERO FLY IN HEYRI(터치아트갤러리, 헤이리)
— Convergence: Korean Prints Now(Williams Tower & Landmark 갤러리, 텍사스, 미국)
— Tool Tool Tool Print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서울)
— Art Road 77 - With Art, With Artist !(한갤러리, 헤이리)
— 과학과 미술의 만남(국립과천과학관, 과천)
— Touch At(스페이스15, 서울)
— Dreamaker_ART & TOY(롯데에비뉴엘백화점, 서울)
— 김환기국제미술제전 Eco Zone( Kunstraum T27, 베를린, 독일)
2009
— 김환기국제미술제전 Eco Zone(이앙갤러리, 서울)
— 김환기국제미술제전 Eco Zone(롯데갤러리, 광주)
— 로보아트(부천로보파크, 부천)
— Print Your Life !-Variation_Mutation(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서울)
— 공공의 걸작–경기도미술관2008신소장품전(경기도미술관, 안산)
2008
— 멀티플아트 러버스(대구MBC 갤러리M, 대구)
— MoA Vision 1(서울대학교미술관, 서울)
— 신소장작품2007(서울시립미술관, 서울)
— 복제시대의 판화미학_EDITION(경남도립미술관, 창원)
— 동심: 한국미술에 나타난 순수의 마음(이화여대박물관, 서울)
— Very Vary New Year(김진혜갤러리, 서울)
2007
— 오픈 스튜디오 3(고양미술창작스튜디오, 고양)
— 멀티플아트 러버스(대구MBC 갤러리M, 대구)
— 유클리드의 산책(서울시립미술관, 서울)
— Into Drawing 1(소마미술관드로잉센터, 서울)
— 팝 콘 믹스(영은미술관, 광주)
— 공간을 치다(경기도미술관, 안산)
— 소재로부터 발견(추계대학교미술관, 서울)
— 2007서울미술대전-판화(서울시립미술관, 서울)
— 성남의 얼굴(성남아트센터, 분당)
— 방으로의 초대(고도갤러리, 서울)
— 한국현대판화의 스펙트럼(노보시비르스크 미술관, 러시아)
2006
— 프린트 스펙트럼_from plate to digital(선화랑, 서울)
— SEO + LOVE + MEMORY(세오갤러리, 서울)
— 갖고 싶은 프로젝트(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일대)
— 성남 리빙디자인 페스티발 2006(코리아디자인센터, 분당)
— 우리 사회를 찍자(국민대학교미술관, 서울)
— 헤이리국제판화축제_from paper to digital(아오카에루갤러리, 헤이리)
— 고양이는 외부에 있다(부평구청사, 인천)
— 새로운 에너지(성신여자대학교미술관, 서울)
— 판전27(아트팩토리갤러리, 헤이리)
2005
— 부산롯데아트페어(롯데백화점 부산본점)
— 안산미디어아트(단원전시관, 안산)
— 찾아가는 미술관(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사이 공간들(이화아트센터, 서울)
2004
— KIMI for You(KIMI Art, 서울)
— 정상일탈(이화아트센터, 서울)
— 찾아가는 미술관(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Spirit(KIMI Art, 서울)
— 정물예찬(일민미술관, 서울)
2003
— 유쾌한 공작소(서울시립미술관, 서울)
— The Color of Korea(이와테미술관, 모리오카, 일본)
— The Color of Korea( ATC미술관, 오사카, 일본)
2002
— CHEMICAL ART(사간갤러리, 서울)
— Black & White(피쉬갤러리, 서울)
— The Color of Korea(아이치현립미술관, 나고야, 일본)
— 슈퍼마켓 뮤지엄(성곡미술관, 서울)
— 한민족의 빛과 색(서울시립미술관, 서울)
— 인터프로젝트-공생(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
2001
— Command 'p'(사간갤러리, 서울)
— LOOP TOP(관훈갤러리, 서울)
— 판화_오늘(롯데갤러리, 대전&서울)
2000
— THRU-THE BOOK(there's갤러리, 서울)
— 이화판화회전(삼성플라자갤러리, 분당)
1999
— 이화_액션_비젼(예술의전당, 서울)
— 중앙미술대전(호암갤러리, 서울)
1998
— Plus Print(인사갤러리, 서울)
— 이화판화회전(관훈갤러리, 서울)
— 서울현대미술제(문예진흥원미술회관, 서울)
1997
— 한국현대판화공모전(문예진흥원미술회관, 서울)
— Plus Print(관훈갤러리, 서울)
— NEF(덕원갤러리, 서울)
— 952WPG(인사갤러리, 서울)
1996
— 한국현대판화공모전(문예진흥원미술회관, 서울)
— 중앙미술대전(서울시립미술관, 서울)
— NEF(인사갤러리, 서울)
— Plus Print(이화미술관, 서울)
1995
— 뉴프론티어전(경인미술관, 서울)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