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윤정 : Gaze & Trace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2018 OCI YOUNG CREATIVES
한윤정 – Gaze & Trace
OCI미술관



작가명 한윤정
전시명 Gaze & Trace
전시기간 2018.7.19 - 8.18
전시장소 OCI미술관 1층 전시실
개막식 2018.7.19 (목) 오후 5시
작가와의 대화 2018.7.25 (토) 오후 7시 


○데이터, 디자인, 예술 작업의 만남을 주선하는 한윤정(1983~)의 개인전

○색과 형체와 움직임과 소리를 입어 눈앞에 드러나는 데이터의 생김새

○자연, 사회, 인간 개별에 이르기까지 눈과 귀로 두루 널리 만지는 전시

○인터랙티브 감상 속에서 세상의 맥락과 개인의 의미를 되짚는 시간



[전시 소개]

정보화 시대에 넘쳐 나는 데이터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딱딱한 숫자와 문건 대신, 신기하고 휘황한 예술 작품으로 접하는 기회가 생겼다. 바로 7월 19일부터 8월 18일까지 종로구 OCI미술관(관장 이지현)에서 열리는 한윤정 작가의 개인전 《Gaze & Trace》. OCI미술관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 2018 OCI YOUNG CREATIVES의 여섯 선정 작가 가운데 하나인 한윤정의 이번 개인전은 산더미같은 데이터 속에서 자연과 사회와 인류의 사연을 짚어 내고, 그것을 관객이 직접 보고 듣고 느낄 수 있게 하는 기술 고도화 시대에 걸맞은 사유의 장이다.


    
Across the Universe, interactive art installation, dimensions variable, 2012


안 보인다고 없는 게 아님은 물론이요, 사실은 안 보이는 것조차 아니다. 뼈가 안 보인다고 전부 연체동물일 리 없고, 단지 X-ray 촬영 전일 뿐이다. 보는 방법의 문제인 것. 데이터도 마찬가지로, 개별적으로도 거시적으로도 감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영상과 미디어를 전공하여 디자인 기반의 작업이 강점인 한윤정은, 데이터에 형태와 색과 질감과 동작과 소리를 입혀, 사건의 형체와 움직임과 파동을 보여준다. 


 
California Drought Impact, interactive data visualization, 40×14×2㎝ each, 6pcs, 2016-2017


대상을 물색하는 시야도 폭넓기 그지없다. 가뭄과 사막화, 수자원의 고갈, 환경 변화와 바다사자의 생태, 도서관 정보 검색 키워드 분포, 음계의 수학적 질서 변화, 홍채, 지문 등 인간 개별을 구분할 생체 단서까지, 말하자면 자연, 사회 인류가 지닌 사연 조각들을 산처럼 긁어 모아, 감질 나는 부스러기 대신 두툼하고 묵직하고 선명하게 와닿을 색과 소리와 촉감의 장노출 디지털 초상을 선보인다.


 
Eyes, interactive art installation and 3D printed sculptures, dimensions variable, 2018


특히 이번 개인전에 야심차게 선보이는 신작 <Eyes>는 개인의 ‘아이덴터티’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실시간 형상화하는 작업이다. 지문을 소재로 한 <Digiti Sonus>에 이어 이번에는 홍채에 주목한다. 세부 정보량이 지문의 수 배에 달하며, 겹칠 확률이 10억분의 1에 불과하여 지문보다 10배에서 많게는 100배까지도 정밀하게 신원을 판별할 수 있는 정보로 알려진 홍채. 홍채인식기를 통해 스캔한 이미지에서 지점별 색상값 등 특정 정보를 샘플링하여 3D이미지를 생성하고 색채를 입힌다. 이미지는 전후좌우로 애니메이션되어 그 모양새를 낱낱히 들여다 볼 수 있고, 샘플링된 데이터는 음파로 변환되어 고막을 자극한다. 변환된 형태는 3D프린팅하여 실물로도 전시되며 입체 표면에 영상을 투사하여 정보의 시청각화를 완성한다.


    
Causes and Effects, single channel video, 2017-2018


그의 작업은 말랑말랑하고 탄력이 넘친다. 딱 정해진 형태, 고정된 결과물을 줄곧 늘어놓고 보존하려 들지 않는다. ‘시시각각, 이 사람 저 사람, 어느 곳, 어느 때인가’에 맞춰 항상 반응하고 변화하는, 살아 숨쉬는 작업이다. 다이얼을 돌리면 환경 조건과 색상과 시기가 바뀌고, 만 가지 다른 모양새의 홍채와 지문에 늘 반응하여 새로운 형태와 애니메이션을 실시간으로 제시하는 놀라운 대응성을 지녔다. 이 대응성을 낼 작동 모델 설계와 코딩, 테스트, 디버깅을 위해 보이는 것 보다 훨씬 큰 노력과 투자가 있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그의 작업 모델에 끝이나 완성이란 없다. 매번 버전업하고 리뉴얼하고 보완해, 하나의 데이터 더미도 다양한 방식으로 감각화되고 진보하는 통시적 가변성마저 부여한다.
  
 
Drought in Korea and California, 2 channel video, 2018


융합의 시대에 데이터라는 딱딱한 기술과 개성 넘치는 예술 표현 사이의 접점을 찾는다면 바로 한윤정의 작업일 것이다. 어쩌면 데이터에 대한 숱한 접근 방식 가운데, 이러한 감각적인 접근이야말로 문맥과 의미를 곱씹을 만한 새로운 계기가 될 수 있다.


 
Eyes: Iris Sonification, 3D printed sculpture, 22×15×5㎝ each, 5pcs, 2018


한윤정(1983~)은 서울대학교에서 디자인과 영상을 전공, 이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와 산타바바라에서 미디어 아트 석사와 박사를 마치고 현지에서 활발한 강의와 작품활동을 펼치고 있다. 2009년 첫 개인전《The Fragments of Sound》을 필두로, 미국 중심의 전시들 사이 2014년 《Sonic Trace》가 마지막이었던 한국에, 오랜 준비를 거쳐 《Gaze & Trace》를 OCI미술관에서 선보인다.
 


[작가 약력]
  
한윤정(1983~)
Han Yoonchung

hanyoonjung@gmail.com

학력 
2016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 미디어 아트 앤 테크놀로지 박사, 미국
2010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디자인 앤 미디어 아트 석사, 미국
2008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영상디자인 석사, 한국
2006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 학부 학사, 한국

주요 개인전
2014     “소리의 발자취 (Sonic Trace)” 개인전 (앨리스온 주최), 더미디엄, 서울, 한국
2012     “Tree Rings” A Solo exhibition in gallery 479, 산타바바라, 미국
2009     “The Fragments of Sound” – 첫번째 개인전, 아트스페이스 현, 서울, 한국

주요 단체전
2018     “Digiti Sonus: Listen to your Fingerprint” MOXI Museum, 산타바바라, 미국
2017     ISEA 2017 국제 전자 아트 심포지엄, 마니잘레스, 콜롬비아
           ACM CHI 2017 Art 아트 전시, 콜로라도 컨벤션 센터, 콜로라도, 미국
2016     LA 오픈 쇼 2016, 갤러리 825, 로스 앤젤레스, 미국 
           IEEE VIS 2016 Arts Program, 볼티모어, 미국
           RESOUND Simons Center for Geometry and Physics, 뉴욕, 미국
2015     L.A.S.T Festival, 스탠포드 대학교, 미국
           ZKM GLOBALE:Infosphere Exhibition, ZKM, 칼스루에, 독일 
2014     “Hybrid Highlights” 서울대학교 MOA, 서울, 한국
            다빈치 크리에이티브 2014, 금천예술공장, 서울, 한국
            "Daily Reflections", 토탈미술관, 서울, 한국
2013     ACM SIGGRAPH 2013 Art Gallery, 애너하임 컨벤션 센터, 미국

수상 / 선정 
2017    2018 OCI YOUNG CREATIVES, OCI미술관, 서울 
           Faculty Enhancement and Instructional Development Grant, Cal State Fullerton, 미국 
           Junior/Senior Intramural Grant 2017, Cal State Fullerton, 미국
           Guest Curator Award 2017, Currents New Media, 산타페, 뉴멕시코, 미국 
2016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오픈 큐레이팅 어워드 2016 – 전시 “SV+VS”, 서울, 한국
2015    Fellows of Contemporary Art – Curator’s Lab Award 2015, 로스 앤젤레스, 미국 



[전시 서문]

물건 말고, ‘사건’에도 생김새가 있을까? 한윤정은 세상을 가득 채운 무형의 것들을 빤히 바라보면(gaze) 각도에 따라 실루엣도 비치고 색상도 들어오며 언뜻언뜻 그 결마저 엿볼 수 있음(trace)을 귀띔한다.

평생 머리 위에 이고 살면서도 깨닫지 못할 뿐, 별이 서로 부둥켜안고, 부풀고, 터지고, 흩날리는 저 밤하늘만 해도 이미 ‘사건의 생김새’이다. 있는 대로 부릅떠도 시커먼 허공에 희끗한 점 몇 개가 고작이라면 가시광선의 한계, 보는 방법의 문제에 불과하다. 감마선, X선, 자외선, 중성자선, 자기장, 중력장⋯ 갖은 각도로 뜯어보고 색을 입힌 게 바탕화면 단골 테마인 천문 사진들이다. 수채물감처럼 번진 성운, 긴 팔 휘날리는 나선은하, 그 귀퉁이 어느 한편의 ‘지구’라는 약간의 부스러기마저 서사의 궤적이며 동시에 내용이다. 이렇듯 물건과 사건의 경계는 칼 같지 않다. 사건의 아주 짧은 단위, 극히 좁은 구간의 스냅샷을 편의상 ‘물건’으로 부를 따름이다.

그 부스러기 지구에도 숱한 사건이 들끓는다. 가뭄과 홍수가 번갈아 들고, 베스트셀러와 유행어가 뜨고 번지며, 갖은 군상이 피고 진다. 데이터가 모이고 쌓일수록 그 판세는 제법 해상도를 차리고 점차 모양새가 읽히기 시작한다. 한윤정은 이 모양새를 추슬러, 보고 듣고 만질 수 있는 작품을 빚는다. 홍채의 색상 값은 입체의 요철로, 지문의 흐름은 음파의 고저로, 가뭄에 신음하는 땅은 그 가쁜 심박을 도형으로 치환한다. 말하자면 자연의 문맥, 사회의 줄거리, 인류의 사연을 장노출로 담은 디지털 초상이다.

‘데이터’는 각지고 건조하고 단단할 것만 같은데, 그의 작업은 촉촉하고 말랑말랑하다. 사건은 정착할 줄 모르며, 변덕이 끓어넘치는 때문이다. 감상자의 홍채와 지문은 서로 겹칠 겨를 없이 저마다 뜻밖의 모양, 갖은 색상, 판이한 소리로 화답한다. 다이얼을 돌리면 수온이 오르내리고, 시간이 뒷걸음질 친다. 툭툭 밀친 돌멩이를 타고 멜로디는 늘 새로이 출렁인다. 보여 주는 방법 또한 시시각각 자란다. 버전업을 거쳐 모델은 거듭 성숙하고, 새로운 기술의 접목은 이 내러티브의 싱싱한 새 단면을 또 한 꺼풀 들춘다.


김영기 (OCI미술관 큐레이터)


[평론]


시선과 흔적 (Gaze and Trace)”

W. 칸딘스키는 소리를 색으로, 색을 소리로 바꿀 수 있다고 믿었다. 그가 이런 식으로 표현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 언어가 달라도 같은 인류로서 공유하는 삶이 있다면 거기에 같은 개념의 단어가 존재하듯이, 오감의 각각 다른 감각들 사이에도 공유하는 영역(=공감각)이 있다는, 즉 오감에는 지구상의 사람들의 언어들처럼 일대일 대응하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말하자면 어떤 색에 대응하는 소리를 찾아내는 일종의 ‘번역’이 가능하다는 발상이다. 그러나 공감각은 극히 일부의 사람들에게만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우리가 더 주목해야할 사실은, 칸딘스키가 그 ‘공감각’의 공유부분이 단지 말초적인 오감들 사이에만 걸쳐있는 것이 아니라, 보다 깊은 정신적 영역, 영혼의 통합적 영역에 까지 관여되어 있다고 믿은 점이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음악을 동작으로 바꿀 줄 안다. 춤을 추는 것이다. 그렇지만 그것은 일대일 대응되는 공감각을 사용한 것이라고 할 수 없고, 리듬이나 감정 등 다른 요소에 의해 매개되고 또 어떤 때는 정신적이거나 초현실적 감각에 의해 소통되는 번역이다. 

미디어아티스트 한윤정의 이전 작업들 중에서 많은 경우는 형태와 운동을 사운드로 전환 혹은 번역하는 작업이었다. 2000년대 초반부터 발표해 왔던 일련의 작업들은 그러한 경향성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면 <sound tree ring>(2013)은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악기’라고 부를 만하며, 형태가 소리로 번역되고, 조형으로 작곡이 가능하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one> (2009)이나 <color note>(2007)는 관객의 개입이나 새롭게 설정된 연주코드에 의해 다른 규칙이 생성되도록 유도하고,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해 이미지의 생태계가 형성되어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런데 최근 작업에서 한윤정은 이전의 추상적이거나 보편적 원리보다는, 각 개체의 생체정보를 통해 생명의 내적정체성을 드러내는 작업에 더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인터렉티브 설치 작품인 <손끝소리>(Digiti Sonus)는 개인의 지문을 3D프린터로 입체조형화하고, 그  나선형 패턴을 따라 마치 레코드판의 트랙에서 기록을 읽어내는 것처럼 소리가 발생되도록 고안하였다. 어떤 면에서 보자면 그것은 한 개인의 ID이기도 하고, 혹은 정체성의 상징으로도 통하는 지문에 내재된 생체의 비밀스런 코드를 매개로 해서, 그 본인=관객으로 하여금 ‘생의 심연으로부터 호출된 예기치 못했던 자신’과 만나고 놀고 소통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이번 OCI미술관 전시에서 지문 대신 홍채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설치 작품 <Eyes>를 선보인다. 이 일련의 작품에 사용되는 지문 혹은 홍채에서 얻은 생체정보에는 게놈지도보다 훨씬 복잡하고 방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끈이론이 암시하는 것처럼 우주의 파동과 입자, 중력과 양자력, 전자기력 등이, 그리고 이런 것들의 시작과 끝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면, 생명이 탄생하고 진화해 왔던 시간은 실로 일부에 불과하고, 빅뱅이나 물질진화(material evolution) 등 너무 장대한 스케일의 시간이 그 속에 각인되어 있을지도 모르겠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미지의 자기정체성과 만나고 놀고 소통하기 위한 이 작품이 실제로는 우리를 전혀 낯선 우주와 맞닥뜨리게 할 수도 있다. 

지문 혹은 홍채에는 우리들 인간의 과거의 내력이 축약/코딩되어 있을 것이라는 믿음이 작가는 물론 이 작품을 대하는 관객의 마음에도 존재한다. 그것은 그 신비한 모양이, 공감각의 경우에서처럼 일대일 대응방식이 아니라, 수학적이거나 임의로 설정된 다중코드에 의해 번역되고, 그 결과와 대면하고 소통하며 나아가서는 공감하는 일을 통해, 우리는 개개인의 삶에 대한 보다 높은 차원의 인식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감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객은 자신의 생체정보의 골짜기에서 울려나오는 사운드의 잔향(殘響 : sound reverberation) 속에서, 예기치 못했던 자신의 기이한 모습에 놀라게 된다. 관객은 미지의 심연으로부터 자신을 자각하고 공간에 체현되는 자신과 만나고, 지금까지 자신이 본 적이 없었던 마음의 내면이거나 생의 뿌리였다는 생각에 경이로운 감정으로 몰입하게 된다. 

그런데 그것은 하나의 시뮬레이션이고 환영이다. 원래 세상에는 가짜는 아닐지라도 오독되는 정보가 더 많다. 정글이나 자연계에서도 생명체들은 생존을 위해 가짜정보를 생산하거나 위장하고, 나아가 생명체의 내부에서도 면역체계와 바이러스의 정보전쟁이 일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 작품에서 수행된 ‘형태에서 사운드로의 전환‘도 일대일 대응하는 단어를 번역하듯 하지 않았으므로 오역일 수도 있고, 말하자면 관객이 보고 느끼는 모든 것이 환영일 수도 있다. 특히 새로운 방식의 정보는 오독되는 것이 숙명이기도 하다. 나아가 그 환영도 우리의 그림자들 중 하나일 뿐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처럼 자신의 생체정보가 읽히고 변환되고 반향하는 공간 속에서 자신의 심연으로부터 발신되는 그림자와 만나고 공감하는 일이다.  

그런데 한편으로 한윤정은 매우 과학적인 태도로 작업하는 작가이다. 그의 작업세계를 이해하는 또 다른 키워드는 ‘디지털 시선’과 그것을 통한 ‘가시화’이다. ‘디지털 시선’이란 가시광선에 의해 한정되는 시야를 넘어, 데이터로 파악할 수 있는 모든 곳에까지 인식의 범위가 확장된다는 의미라고 생각된다. 적외선, 각종 전파 그리고 심지어 이제는 중력파까지, 센싱(sensing)에 의해 수치로 표시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모든 영역이 ‘시선’의 대상이다. 

한윤정이 이번에 선보이는 또 하나의 작품 <Drought in California and Korea>(한국과 캘리포니아 가뭄)은 두 지역 가뭄의 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한, 디지털 시선에 의한 가시화작업이다. 1980년대부터 관심을 끌었던 과학적 가시화(scientific visualization)는 말 그대로 과학연구의 수단으로 추구되었던 미션이다. 가시화는 자잘하게 흩어진 생각들을 하나로 모아서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매우 유효한 작업이다. 예를 들면 지구환경이나 온난화 등의 문제를 일목요연하게 이해하기 위한 가시화가 그것이다. 

그런데 ‘가시화’는 미술의 중대한 사명이기도 하다. 이 세상에 있거나, 있다고 믿지만 보이지 않는 것들. 그것들을 가시화하는 것. 대표적으로 교회와 사원에 수없이 그려지거나 조각된 신상들이 그 대표적 사례들이다. 

한윤정은 이 작업에서 촬영과 측정한 각종 데이터를 디지털처리하고, 한국과 캘리포니아 두 지역에서 일어나는 같은 종류의 현상에서 차이점과 유사한 점 그리고 관계성을 발견해 가게 될 것이다. 그런데 이 작업으로 측정된 데이터 혹은 해석된 결과가, 전술한 지문이나 홍채처럼, 장대한 지구의 역사가 빚어낸 생체정보의 연장선상에서 설명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굳이 가이아이론을 인용하지 않더라도, 두 지역은 서로 다른 생리적 특성을 지닌 개체일 것이기 때문이다. 

작가가 이 전시의 타이틀을 ‘시선과 흔적’이라고 한 것도 그 때문인 것 같다. 이처럼 자연과 우주의 내면과 순환 관계, 그리고 시간이 만들어낸 흔적에 숨어있는 내러티브는 새로운 의식의 탐험, 감상자의 자각을 위한 스토리텔링이다. 이 작가처럼 인체의 생체정보로부터 새로운 예술의 내러티브를 모색하거나, 존재의 출발점으로부터 먼 여정의 흔적을 통해 우주와 자연과 나를 각성하도록 인도하는 작업이야말로, 우리시대의 예술이 세상에 기여하는 가장 의미있는 발걸음이라고 생각된다.

이원곤 (미디어예술론 / 단국대학교 교수)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