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문명: 지금 우리가 사는 방법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문명: 지금 우리가 사는 방법전
2018-10-18 ~ 2019-02-17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국립현대미술관
《문명-지금 우리가 사는 방법》개최  

  ◇ 동시대 문명의 다양한 모습을 포괄 조망하는 국제 사진전
   - 칸디다 회퍼, 왕칭송, 정연두 등 32개국 135명 작가의 300여점 작품
   - 《인간가족》전(뉴욕현대미술관, 1955) 이후 최대 규모 
   - 2018년 10월 18일(목)부터 2019년 2월 17일(일)까지, MMCA 과천 개최
   - MMCA 과천 이후 중국, 호주, 프랑스 등 순회전 진행 예정


국립현대미술관(관장 바르토메우 마리)은 사진전시재단(Foundation for the Exhibition of Photography, 대표 토드 브랜다우)과 공동 주최로 《문명-지금 우리가 사는 방법》전을 2018년 10월 18일(목)부터 2019년 2월 17일(일)까지 MMCA 과천에서 개최한다. 

《문명-지금 우리가 사는 방법》전은 사진을 통해 동시대 문명의 다양한 모습을 조명하는 전시로 아시아, 호주, 유럽, 아프리카, 북남미 등 32개국 135명의 작가들이 300여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칸디다 회퍼, 토마스 스트루트, 올리보 바르비에리, 에드워드 버틴스키, 왕칭송 등 이미 국내에도 익히 알려진 해외 작가들의 작품뿐만 아니라, 국내작가 KDK(김도균), 김태동, 노상익, 노순택, 정연두, 조춘만, 최원준, 한성필의 작품도 함께 소개된다. 이번 전시는 1955년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서 개최된 에드워드 스타이컨의 《인간가족(The Family of Man)》전 이후로는 거의 최초로 동시대 문명의 모습을 포괄적으로 조망하는 세계적 규모의 사진전이며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에서의 전시를 시작으로 중국 베이징 울렌스 현대미술센터(2019년 3월), 호주 멜버른 빅토리아 국립미술관(2020년 9월), 프랑스 마르세이유 국립문명박물관(2021년 1월) 등 10여개 미술관에서 순회전이 개최될 예정이다.

《문명-지금 우리가 사는 방법》전은 1990년대 초부터 25년간 형성되어 온 지구의 문명을 조망한다. 특히 개인성을 강조하는 우리 시대에 가려진 ‘집단적인’행동과 성취에 초점을 맞춘다. 이번 전시는 개인주의나 개별문화를 부정하기보다 다수의 사람이 집단으로 공유하는 것들에 주목한다. 전 세계 다양한 도시의 작가들은 ‘지금 우리가 사는 방법’, 즉 우리가 어디에서 어떻게 사는지, 어떻게 일하고 노는지, 우리의 몸과 물건과 생각을 어떻게 움직이는지, 어떻게 협력하고 경쟁하는지, 어떻게 사랑하고 전쟁을 일으키는지를 관찰하고 기록하고 해석한다. 은행, 정부기관, 교도소, 학교를 포함한 온갖 형태의 일터에서 사진가들이 작업 중이며, 그들 각자는 우리 문명의 다채로운 모습을 각자의 시각으로 담아낸다. 







전시는 작가들이 포착해낸 문명의 다양한 측면을 담은 8개의 섹션 ‘벌집(Hive)’, ‘따로 또 같이(Alone Together)’, ‘흐름(Flow)’, ‘설득(Persuasion)’, ‘통제(Control)’, ‘파열(Rupture)’, ‘탈출(Escape)’, ‘다음(Next)’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섹션인 ‘벌집(Hive)’은 우리가 발전시키고 확장해가는 도시유기체를 담고 있다. 사진을 가득채운 사람들이 곤충 떼처럼 거대한 군집을 이루는 시릴 포체의 <무제>와 인간 벌집의 핵심적 장소이자 인간의 집단적 노력을 모아놓은 도서관을 작품으로 담은 칸디다 회퍼의 <장크트 플로리안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원 Ⅲ 2014> 등이 있다.

두 번째 ‘따로 또 같이(Alone Together)’는 사회적 동물인 인간이 맺는 관계를 살펴본다. 동시대 가족의 모습을 담은 도나 슈워츠의 두 연작 <장래의 부모들>과 <빈 둥지의 부모들>, 그리고 모두 똑같이 생긴 가구의 거실에서 31장의 가족사진을 찍은 정연두의 <상록 타워> 등이 있다.

세 번째 ‘흐름(Flow)’에서는 자본, 석유, 컨베이어 벨트, 도로 위 자동차 등 문명이 만들어 낸 움직임을 따라가 본다. 중국의 대규모 닭 공장에서 기계의 톱니바퀴처럼 일하는 노동자들을 촬영한 에드워드 버틴스키의 <제조 17번, 더후이시 데다 닭 처리 공장, 중국 지린성>과 고속 성장하는 거대 도시의 희망찬 미래를 가리키는 초고층 콘크리트 타워를 작품으로 담아낸 올리보 바르비에리의 <특정 장소_멕시코 시티 11>등이 있다.



올리보 바르비에리, 〈특정 장소_멕시코시티 11〉 2011 © Olivo Barbieri


네 번째‘설득(Persuasion)’은 광고, 프로파간다, 마케팅 등 문명이 만들어낸 설득의 방식을 들여다본다. 건설 현장이나 보기 흉한 건물 개축 현장을 숨기기 위해 그려진 가림막의 그림에 주목한 한성필의 <듀플리케이션>과 광고회사, 법률회사, 브랜딩 컨설팅 회사의 사무실 등을 수년 동안 촬영해온 안드레아 알베스 드 올리베이라의 <운송 금융 은행의 휴게실> 등이 있다.

다섯 번째 섹션은 ‘통제(Control)’로 권력기관이 여러 가지 형태로 자신들의 권력을 행사하는 모습을 담아낸다. 군사 기밀 시설인 더그웨이 성능 시험장을 촬영한 데이비드 메이셀의 <키디모스: 전쟁의 소란>과 가동 중인 냉각탑 내부를 통해 통제의 시설을 보여주는 레히날트 판 더 펠더의 <가동 중인 냉각탑 내부. 주변으로 열기를 내보내는 동안 수많은 물방울이 떨어진다. 벨기에.> 등이 있다.

여섯 번째 섹션 ‘파열(Rupture)’에서는 사회의 붕괴와 충돌을 다룬다. 멕시코-미국 국경을 작품으로 담아낸 파블로 로페스 루스의 ‘국경’연작과 산처럼 쌓인 전자기기를 통해 소비주의가 만들어낸 문제를 보여주는 싱단원의 <단절 B12> 등이 있다.  

일곱 번째 섹션은 ‘탈출(Escape)’로 다양한 ‘상품’을 통해 여흥을 즐기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는다. 해변에서 해수욕을 즐기는 사람들을 통해 상품화된 레저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은 마시모 비탈리의 <하무스 수영장>과 옛 영화 촬영지에서 과거의 모습을 재현한 안미 레의 <‘프리스테이트’ 영화 촬영장, 코린스 전투> 등이 있다.

마지막 섹션인 ‘다음(Next)’에서는 21세기에 형성되고 있는 새로운 세상을 엿본다. 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로버트 자오 런후이의 ‘세계 동식물 안내서’연작과 500미터 구경의 망원경을 찍은 미하엘 나야르의 <빠.르.게> 등이 있다.

윌리엄 A. 유잉(전 로잔 엘리제 사진미술관장), 홀리 루셀(아시아 사진 및 현대미술 전문 큐레이터)과 함께 전시를 공동 기획한 바르토메우 마리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이번 전시는 동시대 문명을 보여주는 자리이자 세계적인 사진작가들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보여주는 중요한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정보는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http://www.mmca.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전시개요

○ 전시제목: 《문명-지금 우리가 사는 방법》
                Civilization-The Way We Live Now
○ 전시기간: 2018. 10. 18. ~ 2019. 2. 17.
○ 전시장소: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 원형전시실 
○ 부     문: 사진, 영상 등 
○ 전시작품/자료: 사진, 영상 등 300여점
○ 관 람 료: 2,000원 
○주  최: 국립현대미술관, FEP(미니애폴리스·뉴욕·파리·로잔 사진전시재단/Foundation for the Exhibition of Photography)


■ 크레딧

○ MMCA : 디렉터: 바르토메우 마리 
            학예연구실장: 강승완 
            큐레이터 팀: 강수정, 장순강, 배수현 
            디자인: 김용주, 김유나 
            운송설치: 명이식, 복영웅, 이태현, 최상호
            공간조성: 한명희
○ FEP : 프로젝트 디렉터: 토드 브랜다우
         큐레이터: 윌리엄 유잉, 홀리 루셀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쥴리엣 허그 
         큐레토리얼 어시스턴트: 라우라 고메즈-샤어, 신시아 곤잘레스-브레아트



■ 전시 파트별 내용 및 주요 작품 이미지

벌집(Hive/정착, 서식지, 거대도시)
 
소설가 톰 울프는 뉴욕의 정신없이 돌아가는 사회생활을 ‘벌집’이라고 표현했다. 하지만 벌집은 인간이 모인 큰 집합체 어디에든 쓰일 수 있는 비유이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시골 지역이 우세하던 오랜 역사는 완전히 끝을 맺었다. 호모 사피엔스가 존재해 온 20만 년의 역사상 처음으로, 도시의 인구가 도시 밖 인구보다 더 많아진 것이다. 우리가 발전시키고 확장해 가는 도시 유기체는 일상을 영위하기 위한 수동적인 벌집을 넘어서서, 배우고 생산하고 사고하는 능동적인 벌집이다. 마찬가지로 도시인인 사진가들은 끊임없이 오가는 군중에게서 얻는 시각적인 기회를 만끽한다. 




    
따로 또 같이(Alone Together/개인 통합)

시인 존 던의 유명한 말처럼 인간은 섬이 아니다. 우리는 유전자 상으로 사회적 동물이며,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 여러 형태의 친구와 짝을 찾는다. 하지만 우리의 사회생활은 마냥 매끄럽지만은 않다. 오해, 이해관계의 충돌, 집단에 따르라는 압박과 반대로 무리에서 돋보이려는 욕구가 존재한다. 우리는 ‘유행’에 따르고 싶어 하지만 그럼에도 우리가 대중적인 열풍에 맹목적으로 따르는 ‘양’이라는 말을 들으면 흠칫 놀란다. 우리가 이 세상에 나올 때와 세상을 떠날 때 그러하듯이 본질적인 인간 조건은 혼자이지만, 살아가는 동안 우리는 무리를 짓고 산다. 사진은 우리의 상호의존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이를 강화한다. 


흐름(Flow/도착, 돌진, 양식, 순환)



에드워드 버틴스키, <제조 17번, 더후이시 데다 닭 처리 공장, 중국 지린성>, 2005 
© Edward Burtynsky, courtesy of Flowers Gallery, London / Nicholas Metivier Gallery, Toronto


21세기 문명은 제 스스로와 그 안의 사람, 물질적 상품, 원자재, 발상과 심지어 문명의 상징까지도 100년 전에는 상상하지 못한 속도로, 땅과 하늘과 바다에서 움직인다. 문명의 주된 윤활제인 돈은 마찬가지로 주된 윤활제인 석유가 그렇듯이 빛의 속도로 ‘파이프라인’을 따라 움직인다. 자동차는 인간의 기동성을 50배로 늘렸다. 비행기는 우리를 하루 안에 한 대륙에서 다른 대륙으로 옮겨 준다. 그러나 ‘적시생산방식’처럼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의 경이는 고장이 일어날 때가 아니면 거의 감지되지 않는다. 사진가들은 가능성을 즐기면서 지구 차원 문명을 이루는 복잡한 부품들의 복합성을 드러내기 위해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산업 분야에서 작업 중이다. 


설득(Persuasion/회유, 파벌, 판매, 강요)

일이 되게 한다는 말은 다른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도록 설득한다는 의미를 지닐 때가 많다. 우리는 교육하거나 훈련하고, 설명하거나 주장하고, 격려하거나 위협도 한다. 설득은 미묘할 수도, 강압적일 수도 있다. 사실은 행동 당사자에게 이롭지 않은데도 이로운 것처럼 보이게 하여 어떤 행동을 하게 만드는 설득도 있다. 광고와 프로파간다, 마케팅과 홍보…. 이 같은 상업 미술의 정교함은 현대 사회에서 놀라운 수준에 이르러 대중은 자신이 유도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차리지 못할 정도이다. 사진가들은 이러한 조작을 가린 막을 걷어올려, 타인이 우리로 하여금 그들 지시에 따르게 만드는 교묘한 전략을 엿볼 기회를 준다. 


통제(Control/권력, 억제, 지도, 통치)

조금 추상적으로 보았을 때 문명은 복잡한 기계와 같아서 끊임없이 부품을 수리하거나 교체하고, 외부와 내부에서 오는 존재 위협에서 스스로를 보호해야 한다. 통제는 안전이나 혁신이라는 구호로 은근히 모습을 감출 때가 많으며, 세계화된 현대의 삶에서 피할 수 없는 것이 되었다. 전쟁과 외교를 행하는 지배 조직과 군대, 법, 기업과 교육 기관 등의 형태를 띠고 대규모로 일어나거나 또는 경찰서, 교도소, 법정, 학교, 중역 회의실, 발전소, 실험실 등 권력이 일상적으로 행사되는 장소의 체계 안에서 더 구체적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사진가들은 대중의 시야에서 감춰진 이처럼 복합적인 현실을 담아내는 다양하고 기발한 방식들을 찾아낸다.


파열(Rupture/쪼개짐, 분열, 분할, 틈) 

집단적인 문제, 자연 질서의 파괴, 가로막힌 정의, 인권 유린, 유민, 무력 분쟁, 서서히 혹은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산업의 몰락 – 우리의 21세기 초반에 걸쳐 일어난 파열의 이야기를 사진가들은 부지런히 전달해 왔다. 생각을 자극하는 그들의 작업은 개인적인 위험을 무릅쓰고 촬영되었거나 떠오르는 위기에 관심을 모으기 위해 세심하게 연출되기도 한다. 그들은 환경 문제, 국경 분쟁과 관리, 전쟁과 폭력, 대규모 이주, 정치나 이념 체계의 실패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냉정하게 추상적이거나 감정에 호소하는 사진으로 우리 문명의 맹점과 실패를 직면하도록 우리의 등을 떠민다. 


탈출(Escape/우회, 자유, 회피, 모면)

‘탈출’이라는 단어는 신체적이거나 감정적인 감금 상태에서 벗어날 때 사용되거나 일반적으로는 지독하거나 불편한 상황에서 도망치는 것을 뜻한다. 전쟁과 분쟁에서 도망치는 사람들에게 탈출은 말 그대로의 의미를 지닌다(<파열> 참고). 반면 그들보다 특권을 지닌 세계 곳곳의 사람들에게 이 말은 ‘모든 것에서 벗어난다’는 긍정적인 뜻을 함축한다. 우리는 기분 전환과 휴식을, 때로는 새로운 것, 모험, 자극을 찾는다. 만개한 즐거움의 산업은 전 세계의 열렬한 소비자들에게 매우 다양한 ‘상품’을 제공하는데, 사진가들에게는 이 값비싼 산업의 가림막을 걷어올리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영감을 다채롭게 제공한다.


다음(Next/이후, 옆, 나중, 뒤이은)  

‘그 다음은 뭐지?’ 우리는 일상적으로 스스로 묻는다. 운전자가 필요없는 자동차와 비행기는 이제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로봇은 이미 잔디밭을 깎고 우리의 몸을 수술하는데 인간보다 일을 잘 할 때가 많다. 한때 공상과학소설 속에나 존재하던 신기술이 실험실에서 상점 매대로 금세 자리를 옮긴다. 우리는 삶의 모든 분야에서 혁신과 변화를 기대한다. 그러나 2100년 우리의 세상이, 도시와 기계가 어떤 모습일지 누가 감히 예측할까? 더구나 우리 자신이 어떤 모습일지는? 분명한 한 가지는 이 멋진 신세계가 갈수록 집단적인 노력으로 만들어진다는 점이다. 사진가들은 그리 머지않은 미래 세상의 징후를, 뿌려진 씨앗과 세계 전역에서 싹을 틔운 식물을 찾아낸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