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 BAAK × FRED SANDBACK
시간과 공간의 향연展
9 April 2019 - 20 June 2019
시간과 공간의 향연
디지털 시대를 넘어 복잡하고 정교한 데이터 기술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어쩌면 우리의 일상을 데이터화 혹은 데이터의 일상화를 하며 살아가고 있지 않을까? 인간의 행동, 욕구, 그리고 생각의 방식마저도 데이터로 읽혀지고 분석될 수 있는 차가운 “신 암흑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시간과 공간의 향연》은 데이터화된 가상현실 공간이 자유로운 인간적 사유의 공간으로 다가오고, 실재하는 것을 보는 것 이상의 또 다른 3차원의 감각을 경험하게 하는 자유로운 정신세계에 우리가 들어와 있음을 느끼게 한다.1) 아울러 시적 사유와 상상적 지각을 통해 동시대 뉴미디어 매체와 드로잉 작업의 서로 이질적인 아트폼 속에서 조형적 개념적 감각의 예기치 않은 조화와 소통을 발견해 본다.
이 전시를 통해 보다 따뜻한 아날로그적 감성과 상상의 힘을 되찾고 언제나 열려 있는 공간이 되어 보다 많은 이들을 초대하고 서로 자유로운 생각과 다양한 느낌을 한껏 공유할 수 있는 마치 미지(微妙)의 “시간과 공간의 향연”과도 같은 자리를 마련함에 그 의미를 두겠다.
The Feast of Time and Space
It is undoubtedly true that we now live in the era of hypercomplex and elaborate data technology beyond the digital age. Being sometimes perplexed by its overwhelming metrics, perhaps are we making the ubiquitous of data in our everyday life or our everyday life in the ubiquitous of data? In this so called cold, “new dark age” that even our behaviours, favourites and ways of thinking are read and analysed from data, a duo exhibition entitled The Feast of Time and Space presents a 3D animation by Je Baak, a new media artist from Seoul and drawings by Fred Sandback, a sculptor from New York offers a subjectively contemplative space for the open ended, liberating human mind in a virtual reality in the realm of data. The exhibition also leads us into another invisible three-dimensional world beyond what we see in our reality through the two-dimensional works of art. An indefinable illusion gives insight into how we perceive our liberating mind and world alongside the contemplative discourse in the virtual shown in the exhibition. Furthermore it discovers unexpected combina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agency of poetic feeling and illusionistic sense in perception in terms of visual and conceptual aspects from the work of 3D animation and the drawings.
We hope this timely exhibition will warmly welcome as many people as possible so that we can share a myriad of thoughts and feelings liberally about the profound and ambivalent nature of The Feast of Time and Space. It will evoke an analog experience intertwined with digital technology and the power of imagination stirring our unique emotions.
Note
The idea of the ‘feast’ for the exhibition title is more focused on association with the cultural and philosophical side of the friendly speech contest in the course of a lively drinking party depicted in a text entitled The Symposium by Plato.
1) James Bridle, New Dark Age: Technology and the End of the Future, 2018
박제성 Je Baak
1978년 생
서울과 런던에서 활동
B. 1978
Live and work in Seoul and London
서울대학교 비주얼커뮤니케이션과 영국왕립예술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아트앤디자인을 전공한 박제성은 사진, 설치, 영상, 3D 애니메이션, 퍼포먼스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활동하고 있다. 동시대 슈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기술 권력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바탕으로 보다 인간적인 사유와 시적 정서를 구하고, 다시 상징적 메타포들로 구현하여 가상현실 공간 속에서 조우하게 한다. 이번 전시에서 소개되는 3D 애니메이션인 <여정>(2015)은 동시대 디지털 게임 문화의 진화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극사실주의 RPG 게임에 영감을 받아 제작된 작품이다. 현실과 게임의 경계를 허무는 RPG의 가상현실 공간이 <여정>에서는 게임의 존재 이유인 미션달성을 위한 역할 수행이 완전히 배제된 채 알 수 없는 상징들과 상황들로 재구성된 초현실적 사유의 세계로의 ‘여정’을 담아낸다. 살아가면서 파생되는 다양한 질문들을 던지고 사유에 대한 갈구를 <여정>을 통해 비춰본다.
2016년 서울시립미술관의 《미디어시티서울》, 2013년 국립현대미술관의 《젊은 모색》, 2012년 영국 런던 사치 갤러리의 《Korean Eye 2012》등 국내외 유수의 전시에 참여한 바 있으며, 2010년 중앙미술대전에서 대상을 수상하였고 2016년 현대자동차 뉴미디어아트 공모 프로젝트인 VH 어워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한 바 있다.
Upon graduating from BA in Visual Communic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and MA in Communication Art and Design at the Royal College of Art, London, Je Baak works with diverse range of artistic practices across photography, installation, film, 3D animation and performance. He seeks for contemplative humanism and poetic fondness underlying critical perspective towards the digital hegemony in the contemporary era. He then implements symbolic metaphors as figurative language reconfigured from the critical pursuit, which are eventually encountered in a virtual reality. A Journey (2015) presented in the exhibition, which is inspired by a hyper realistic RPG (role-playing game) mechanism, blurs boundary between the reality and the RPG. With eliminating the fundamental purpose for the function of the role-playing for game missions, the raison d'êre of the work becomes an alternative experience of a meditative journey into a whole new world governed by enigmatic symbols and surroundings—it constitutes reflection of the artist own desire to seek questions and contemplations derived from living life.
Baak has participated in several major exhibitions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including SeMA Biennale Mediacity Seoul at Seoul Museum of Art (SeMA), 2016, New Visions New Voices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2013 and Korean Eye 2012 at Saatchi Gallery in London, 2012. Baak has received several prominent recognitions. He was awarded the Grand Prize of Joongang Fine Arts Prize in 2010. He won the Grand Prix of VH Award in 2016, the Hyundai Motor Group’s Media Artist Cultivation Project.
프레드 샌드백 Fred Sandback
1943년 생, 뉴욕, 브롱스빌
2003년 작고, 뉴욕
B. 1943, Bronxville, New York
D. 2003, New York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철학과 조각을 전공한 프레드 샌드백은 아크릴 실과 탄성이 있는 노끈, 금속 와이어 등 선적인 요소를 지닌 극소화된 재료를 사용하여 마치 공간에 ‘드로잉’하듯 설치 작업을 하였다. 작가는 “실재와 환영은 동등한 것”이라 말하며 극도로 간결한 조형적인 ‘선’이 부피가 느껴지는 조각적 물성으로, 실재하면서도 실재하지 않는 것을 3차원 공간 속에서의 ‘지각적 환영’을 통해 만들어내는데 그 가치를 두었다.2)
이번 전시에서는 그가 설치 전에 실행한 드로잉 작업을 통해 선과 공간이 소통할 수 있는 무수한 3차원적 감각을 평면 작업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몇 개 되지 않는 선들의 모순된 유희의 상호작용을 통해 보이는 것 이상의 또 다른 지각현상을 경험하고 그 확장의 가능성을 발견해 보고자 한다. 그의 작품은 현재 뉴욕 디아 비콘에 영구 전시되어 있고, 지금도 세계 유수의 미술관에서 계속 전시가 열리고 있다.
Fred Sandback majored in philosophy at Yale University as an undergraduate and he studied sculpture at Yale School of Art and Architecture as a graduate. The artist worked with singular, linear structure by employing a simple material such as coloured acrylic yarn, elastic cord and metal wire. He most often stretched them taut from wall to wall and floor to ceiling. Manipulating the neutral property of the materials, ‘lines’ are featured either as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geometric forms within space. The artist paradoxically reflected his own value of the practice by noting “fact and illusion are equivalents” yet through sculptural quality of his work. As if he drew a line into the space, he produced the absolute linear mediums as space-filling volumetric forms, and their nearly intangible quality as the tangible quality through experiencing perceptual illusions while addressing their physical surroundings using the most minimal of means.
A series of his drawings featured in the exhibition, which is seen in seemingly more architectural drawings, explores the distinctive three-dimensional sense in the two-dimensional work on paper. A few lines operate less as contours of a shape and more as unfinished ones themselves. However it allows viewers for an exploration of the numerous possibilities of the lines as a formal element that could be in a kind of impossible space emerged—if only the ethereal and fleeting being of the lines performs the illusory play. Sandback's work is on permanent display at Dia:Beacon, New York and has been invited continuously for exhibitions at many art institutions and galleries around the world.
2) Fred Sandback, “1973 Notes”, Fred Sandback 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