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이기칠: 그림연습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이기칠
 2019. 11. 29 - 2019. 12. 31

모두가 주목할 만한 연습

본 편을 터트리기 전에 예고편을 흘리는 것은 예술과 문화산업의 기획에서 당연한 일이 되었다. 결말이나 극적인 장치가 드러나면 곤란하겠지만, 어느 정도의 정보가 제공되어야 기대 대비 만족도가 커지는 법이다. 여기 이기칠 작가의 전시는 많은 정보를 숨긴 채 준비되었다. 그러려고 그랬던 건 아니다. 최초의 착안으로부터 본격적인 준비와 완성에 이르기까지 필요했던 지난 두 해가 너무나 서둘러 지나가버린 탓이다. 어떠한 언로를 통해서라도 그의 신작에 대한 배경을 설명하고 궁금증을 풀어주는 일 자체가 쉽지 않았다. 작가를 포함하여 이 일에 가담해 온 우리는 관람자들의 반응이 매우 궁금하다. 이기칠의 새로운 개인전은 새롭더라도 너무 새로운 전시이기 때문이다.

이 전시는 조각가 이기칠이 화가 이기칠로 다시 태어나는 선언이다. 조각 작품이 놓였어야 할 공간에는 그림만 가득히 벽에 걸렸다. 아무 사전 정보 없이 갤러리를 찾은 그의 지인이라면 적잖이 당황할 법도 하다. 전시 제목이 <그림연습>이다. 제목이 왜 이럴까? 방금 썼던 내 표현처럼 이 전시가 선언이고, 준비 과정이 실험이라면 거창한 타이틀을 달았어도 이상하지 않았을 텐데 그냥 그림을 연습한 것이라고 한다. 그림그리기 연습은 어린 아이들도 한다. 그리기 놀이도 있지만, 노는 것과 연습하기는 좀 다르다. 연습은 개인이 거의 아무 것도 없는 상태에서 방법을 익히고 그 속에 담긴 문화를 깨우치는 사회화 과정이다.

뭐든 처음은 불편하다. 조각가로서 그는 조형의 기본적인 표현법은 마땅히 손에 익은 상태였다. 하지만 그렇게 펜을 써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것과 회화 작품을 완성하는 일은 별개의 일이다. 모르긴 몰라도 이 전시를 준비하는 최초의 단계에서 이기칠 작가의 회화 작업은 몹시 뻣뻣했을 것이다. 현 시점에서 그의 회화 실력은 당연히 숙련도가 붙었다.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을 병행하는 그는 휴일과 여가시간과 방학을 일상에서 지워버렸다. 쉼 없이 이어진 작업 시간을 보내며 그가 바뀌지 않는 게 더 이상한 일 아닌가? 이것은 인간승리다. 하지만 화단에는 날고 기는 무수한 능력자들이 있다. 그들이 지금의 경지에 오르기 위해 투여한 시간과 작가 이기칠이 캔버스를 마주한 일 년 남짓한 시간의 차이는 굉장하다. 그래서 이 기간은 연습이라 불러도 된다. 지금으로부터 좀 더 지난 어느 시점에 이르러 화가 이기칠의 화풍이 뚜렷한 회화적 성취를 이루었을 거란 말을 작가 본인의 입으로 하는 건 다소 어색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의 첫 번째 관찰자인 나는 그 단계의 도래를 확언한다.

작가는 현 단계의 설정부터 아주 치밀하게 준비하고 실행했다. 그것은 매우 영리한 결정이다. 이번 작업의 주된 원칙은 화가로서의 오리지널리티를 작업에서 배제시킨 일이다. 그는 자신이 보기에 회화의 역사에서 특별한 의미로 읽히는 그림들을 베껴 그린다. 어떤 그림을 선택할지는 전적으로 본인의 주관적인 결정이다. 대신 거기에 자신만의 해석이나 변형이 들어가는 일은 없다. 이건 무미건조할 만큼 객관적인 실행이다. 자기 해석 과정을 뺀 이 원칙 자체가 역설적으로 특별하단 것은 더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아, 단 한 가지 빼고. 두 번째 원칙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하나의 화폭 안에 몇 점의 레퍼런스를 겹쳐 그리는 시도겠다. 오래된 과거부터 가까운 과거의 작품이, 서양화와 동양화가 뒤섞인 이 원칙에 관하여 나는 궁금했다. 현실적으로는 전시공간 내 위치선정까지 고려할 때, 나는 그 작품들의 순서에 작품 발표년도 같은 패턴이 담겨있는지 작가에게 물어본 바 있다. 만약 있다면 그건 허술한 기획이 될 우려가 있다.

세 번째 원칙은 온전한 전시를 위한 리스크 관리를 염두에 둔 선택이다. 그는 지적재산권 문제로부터 자유로운 사후 70년 이상이 된 화가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니까 올해 기준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1950년 이전에 작고한 작가들 그림이 여기 다시 등장한다. 그림들은 이기칠 작가가 형태를 재현하고 색을 지정한 이후 본인과 그의 보조자들이 채색을 거듭해 완성되었다. 주로 오십 호 크기의 캔버스로 통일된 작품은 일정한 필법과 톤을 지켜가며 포드주의 시대 대량생산되던 공산품에 비유할 정도로 양을 불려왔다.

이렇게 세상에 나온 그의 작품은 호불호의 취향을 탈 것 같다. 한국 현대 조각계에서 비중 있는 작가로 활동해 온 그가 벌이는 기획은 한 편의 사람들에게 당혹감을 줄 수도 있다. 하지만 작가가 지닌 전력을 보면 이게 그리 놀랍지 않다. 이 모든 게 연극 무대에서 1막 2막 3막으로 진행되는 예술가의 생애다. 그 누가 등 떠밀어 올라온 게 아닌, 본인이 펼쳐가는 그 무대의 주제가 연습이다. 그가 벌여온 연습은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전곡을 연주하는 결과로 공개되었다. 바이엘과 체르니를 거쳐 정석의 기교를 쌓아가는 연주자의 길 가운데, 이기칠 작가는 골드베르크 변주곡이라는 목적을 향해 자신을 집중했다. 물론 음악을 좋아하지만 건반을 다룰 줄 몰랐던 그가 몇 년에 걸쳐 분투한 결과는 영상으로 기록되었다. 그 영상은 때로는 단독의 작품으로, 어떨 때는 자신의 조각과 더불어 공간에 배치되었다. 그 시도가 연습 프로젝트의 본격적인 출발이었다.

연습 프로젝트의 서막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이유를 따져보면 그가 조소 작업도 연습과 같은 과정을 밟았기 때문이다. 그가 틀을 갖춘 입체 조형은 특정한 대상의 재현보다 추상에 가까웠다. 하지만 작업의 기조는 개념 미술로 볼 수도 있었다. 장식과 과잉을 제거하고 최대한 단순한 조형 형태를 만든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우리는 짐작할 수 있다. 블록과 같은 조각 작품을 가능한 많이 만들어내는 기준, 즉 생산성을 목적으로 두지 않는 예술 행위였으니까 망정이지, 어쩌면 이기칠 작가는 초창기 경영학에서 길브레스 부부가 했던 망상에 가까운 시간-동작 연구(time and motion study) 같은 교범을 개발해서 완성 단계에 이르는 최적의 조건을 꾀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사람이 하는 모든 일에는 역설이 따른다. 작가는 자신이 그렇게 제거하고자 했던 예술의 요소를 그림 그리기에 다시 불러들인다. 작가가 중심에 뒀던 본업에서 벗어난 연습 대상은 그에게 해방감만큼이나 책임감을 새롭게 안겼다. 반복해서 밝히는 사실이지만, 그는 자신이 본 딸 그림을 평소에 특별히 좋아하거나 영향 받은 목록 중에서 가지고 온 게 아니다.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고 표준화된 공정으로 완성에 이르는 작품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이 늘어나면서 컬렉션의 특성이 어렴풋하게 드러났다. 작가의 말을 전하자면, ‘연거푸 하다보니까 선호하는 화가와 화풍이 있었다’는 것이다. 최초로 손을 댄 겸재 정선의 그림으로부터 그랜트 우드(Grant Wood)가 그린 아메리칸 고딕 같은 그림을 보라. 공간을 가득 채운 그림들은 중세 이전부터 콘템포러리 아트의 여명기에 이르는 회화사의 단면이라 해도 좋다. 물론 우리는 안다. 원본이 된 그림들과 이기칠 작가가 재현한 그림은 전혀 다른 감상법을 가진다. 어쩌면 다음에는 딴 식으로 흘러가 두 번 다시 볼 수 없을지도 모르는 이 대규모의 모사 프로젝트는 앞선 시대의 화가들에 대한 경의일까? 아니면 짓궂은 도구화일까? 뭐든 좋다. 그의 진지하지만 동시에 강박적인 삶의 전환 앞에 굉장히 중요한 연습이 시작된 것은 분명하다.

(윤규홍, Art Director/예술사회학)


이기칠 ( 李基七, 1962- )

조각가, 교수

학력사항
chelsea college of Art & Design, London institute    MA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형학  석사
서울대학교  조소  학사

경력사항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교수  

전시이력
개인전

2001  소품전,  서미갤러리
2000  개인전,  런던 Mafuji Gallery
1996  개인전,  장흥 토탈미술관
1995  개인전,  나무갤러리

단체전

2005  한중문화교류전,  산동대학, 중국
2005  한국현대조각초대전,  춘천MBC
2005  한국미술의 새로운 흐름,  모란갤러리
2005  시간을 넘어선 울림-전통과 현대,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2004  되돌아보는 한국현대조각의 위상,  모란미술관
2004  제2회 오늘의 작가: 작업실,  김종영미술관
2004  스피릿,  키미갤러리
2004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특별기획전:집의 숨, 신비의 결,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2004  아트캡슐, 오늘을 담다,  연세대학교 박물관
2003  조각의 환기:물성과 고악대전,  대전시립미술관
2003  미륵이온다전,  국립전주박물관
2003  무빙마인드전,  경기영은미술관
2002  충남대학교 50주년 예술대축제,  충남대학교
2002  중원문화 은빛날개,  국립청주박물관
2001  제3회 모란조각대상 대상작가 초대전:The Studio,  모란미술관
2001  어느 조각 모임,  관훈미술관
2001  기초/전망/예술의 힘-청년작가전,  서울미술관
2001  용산가족공원 조각설치전,  용산가족공원
2000  Millennium Art Exhibition,  런던 Mafuji Gallery
2000  Fresh Air Show,  Old Rectory , UK Quennington
1999  강원관광박람회 환경조각전,  속초 엑스포조각공원
1999 조각가의 드로잉전,  모란갤러리
1998  Sculpture&Drawings 1994-1998,  미술회관
1998  어느 조각 모임,  관훈미술관
1998  오늘의 한국 조각 98-물질과 작가의 흔적,  모란갤러리
1998  서울 조각회전,  미술회관
1997  모란조각대상전,  모란미술관
1997  사물이 있는 풍경,  한전플라자 갤러리
1996  토탈소장품전,  서울 토탈미술관
1996  고 최정찬 추모전,  나무갤러리
1996  현대야외조각 초대전,  춘천MBC
1996  작은 조각 트리엔날레,  워커힐미술관

수상내역
2004  김종영미술관 오늘의 작가
1999  제10회 김세중청년조각상
1997  제3회 모란조각대상전 대상

gcyi@hotmail.com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