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2020-02-19 ~ 2020-02-25
노재준
02.733.4448
【작가 노트】
달항아리와 한 획
조선 백자대호(白瓷大壺)는 순백색의 바탕흙에 투명한 유약을 발라 구워 만든, 둥그런 보름달 모양의 항아리이다. 백자대호를 혜곡 최순우가 ‘달항아리’라는 멋진 말로 표현한 이래 지금껏 불리고 있다. 혜곡은 ‘달항아리’를 다음과 같이 썼다. ‘백자 달 항아리’라는 글의 한 부분이다.
“아무런 장식도 고운 색깔도 아랑곳할 것 없이 오로지 흰색으로만 구워 낸 백자 항아리의 흰빛의 변화나 그 어리숭하게만 생긴 둥근 맛을 우리는 어느 나라 항아리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는 데서 대견함을 느낀다. 이러한 백자 항아리를 수십 개 늘어놓고 바라보면 마치 어느 시골 장터에 모인 어진 아낙네들의 흰옷 입은 군상이 생각나리만큼 백자 항아리의 흰색은 우리 민족의 성정과 그들이 즐기는 색채를 잘 반영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달항아리는 어떤 존재일까? 세계적인 도예가 버나드 리치는 달항아리를 구입해 가면서 “나는 행복을 안고 갑니다”라는 말을 남겼고, 영국의 엘리자베스 여왕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그릇”이라는 찬사를 남겼다. 가야금 명인 황병기는 자신이 추구하는 음악 세계의 본질이 달항아리와 같아 공연의 주제를 ‘달항아리’로 정하기도 하였다. CEO 출신의 미술 애호가이자 수장가인 이우복은 새벽에 문득 달항아리를 향해 큰절을 올리고는 신령님으로 모셨다고도 했다. 평창동계올림픽의 성화대는 달항아리를 모티프로 하였다. 화가 도상봉과 김환기는 이른 시기에 선각자적인 안목으로 달항아리에 빠져들어 달항아리 작가로 우리 미술사에 이름을 남겼다. 지금도 달항아리를 소재로 재해석하여 나름대로 자기 예술 세계를 일구어가는 작가들이 있다.
나는 분필(粉筆)을 잡는 시간이 많은 가운데, 모필(毛筆)과 철필(鐵筆)도 짬을 내 잡으며 동행해 왔다. 서화(書畵)를 통해서는 수묵(水墨)의 향기를, 전각(篆刻)을 통해서는 금석(金石)의 향기를 맡으며 왔다. 언젠가부터 항아리에 눈길이 가게 되면서 전시를 찾고 책을 통해 토기(土器)와 자기(瓷器)에 대해 들여다보기도 하였다. 곁으로 다가온 항아리들을 통해서는 완상하면서 작품의 영감을 얻기도 하였다.
‘항아리’는 ‘항(缸)’이라는 한자어에 ‘아리’라는 우리말 접미사가 붙어 이루어진 말이다. 나는 이 항아리를 한자로 ‘缸我裏’로 쓴다. ‘항아리는 내 속내’라는 의미다. 내 나름으로 의미를 부여한 항아리에 내 마음을 담고 싶었다. 이번 「달항아리, 담고 닮다」라는 주제로 여는 전시는 그 작은 결과물이다. 한국적인 정서와 미감을 대표하기에 오롯한 달항아리에 글씨의 필획, 전각 기법, 탁본과 판화 기법, 회화성, 메시지 등을 버무려 담아내고자 하였다.
‘한 획을 긋다’라는 말이 있다. 사전적 의미와 함께 비유적 의미가 있다. 비유적 의미는 나의 영역이 아니다. 언감생심이다. 단지 사전적 의미대로 한 획 한 획을 그어가다 보니 오늘의 전시가 이루어졌을 뿐이다. 차곡차곡 쌓인 작품들 앞에서 ‘한 획’의 큰 힘을 느낀다. 앞으로도 분필, 그리고 모필과 철필로 한 획 한 획 그으며 살아가지 않을 수가 없겠다.
획생자실(劃生子室)에서 노재준 삼가
달항아리, '백범 김구 선생'을 담다
달항아리, '김수환 추기경'을 담다
달항아리, '이육사 시인'을 담다
달항아리, '천상병 시인'을 담다
달항아리, '최현배 선생'을 담다
달항아리, '체 게바라'를 담다
노재준(盧在俊)
한갈, 한갈질꾼, 중은(中隱), 대추전주인(大隹田主人), 멱심서루(覓尋書樓), 획생자실(劃生子室), 멱심재(覓尋齋), 만죽서루(萬竹書樓), 청완재(淸翫齋), 청완재(聽阮齋), 포월헌(抱月軒)
・ 1969년 충북 중원군(현 충주시) 출생
・ 충주고등학교 졸업
・ 공주대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졸업
・ 공주대 대학원 한문학과 졸업
・ 초등학교 6학년 때 담임 유복순 선생님의 권유와 지도로 붓을 잡음.
・ 대학 시절부터 석헌 임재우 선생께 서예와 전각을 배움.
■ 개인전
・ 2005(예산문예회관 / 白墨의 香氣 10년과 翰墨)
・ 2020(서울 경인미술관 / 달항아리, 담고 닮다)
■ 단체전
・ 석헌서회전(1993~ )
・ 소원회전(1995년 창립전~ )
・ 제1회 대전충청청년미술제 초대 출품(2001, 대전시민회관)
・ 충남미술대전 초대작가전(2002~ , 천안)
・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깃발서예전」 초대 출품(2005,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한ㆍ중 서예문화 교류전(2007, 대청호미술관)
・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깃발서예전」 초대 출품(2007,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충북서예대전 초대작가전(2008, 청주예술의전당)
・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깃발서예전」 초대 출품(2009,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한국현대문자예술전(2010, 인사동 이형아트센터)
・ 추사선생추모 전국휘호대회 초대작가전(2011, 12, 14, 추사고택)
・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아름다운 한국전」 및 「한글 11,172자전」 초대 출품(2011,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대한민국서예대전 초대작가전(2012, 서울 예술의전당서예박물관)
・ 송강작품유물특별전(2013, 서울 세종문화회관)
・ 한·독 수교 130주년 기념 「아름다운 우리 한글전」(2013, 독일 베를린)
・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모빌서예전」 초대 출품(2013,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제37회 김생서예대전 심사위원 초대전(2013, 충주문화회관)
・ 대한민국서예대전 초대작가전(2014,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고래축제 기념 울산전국서예문인화 깃발전 초대 출품(2015, 울산 태화강변)
・ 충청남도서예대전 초대작전가전(2015, 천안 충남학생교육문화원)
・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깃발서예전」 초대 출품(2015,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서울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재개관전(2016)
・ 정년퇴임기념, 채헌 유복순 서화전(2016, 충주문화회관)
・ 대산항 국제여객선 취항 기념, 한·중서화국제교류전(2016, 서산)
・ 대한민국서예대전 초대작가전(2016, 경주 보문단지)
・ 2017 무주 WTF세계태권도대회 기념 「한국대표서예가 200인 깃발서예전」(2017 무주 WTF세계태권도대회조직위원회・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조직위원회 주관)
・계서예전북비엔날레 「역(力)·기(氣)·도(道)·예(藝) 서론(書論) 서예전」 초대 출품(2017,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한국서예의 미래전 「청춘의 농담(濃淡)」(2018, 서울 예술의전당서예박물관)
・ 대한민국서예대전 초대작가전(2018, 창원 성산아트홀)
・ 대전광역시서예대전 초대작가전(2019, 대전 예술가의집)
・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서·화 융화전」 초대 출품(2019,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안중근 의사 의거 110주년 기념 초대전(2019, 중국 하얼빈 흑룡강성미술관)
■ 기획 ・ 출간 ․ 논고
・ 『탄생 100주년 기념 석봉 고봉주 서예 전각 유작전』 기획(2006)
・ 한글전각작품집 《돌에 새긴 관동별곡》 출간(2006, 이화문화출판사)
・ 《낙성비룡 집자 송강가사》 출간(2008, 도서출판고륜)
・ 《추사 김정희의 만년기 삶의 시적 형상화 양상 연구》(석사논문, 2012)
・ 유배 가사 「만언사(萬言詞)」의 작가와 그의 삶에 대한 고증(『문헌과해석』 2014년 겨울 69호)
・ 추사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의 원형과 참모습 고찰(『문헌과해석』 2015년 겨울 73호)
・ 「추사 연구의 확장에 대한 고찰」(2017, 충남・세종향토사대회, 공주대 공주학연구원 고마나루실)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예산군 교육’ 부문 집필(2017)
・ 묵가학당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글전각」 연재(《월간묵가》 2017년 1월~12월)
・ 2019 예산지명 1100주년 기념 기획 연재, ‘추사와 자암 김구, 그리고 고암 이응노’ (《월간예산소식》 2018년 10월호)
・ 성락원의 암각 글씨 「장외가(檣外家)」에 대한 고찰(《월간서예문인화》 2019년 10월호)
・ 추사의 「계산무진(谿山無盡)」에 대한 진위 고증(《월간서예문인화》 2019년 11월호)
・ 추사의 「명선(茗禪)」에 대한 진위 고증(《월간서예문인화》 2019년 12월호)
・ 현재 「추사 김정희, 그 낯섦과 들춤 사이」 연재 중 (예산무한신문, 2017년~ )
■ 수상
・ 충남미술대전 대상(2000)
・ 대한민국서예대전 우수상(2009)
■ 현재
・ 대한민국서예대전 초대작가
・ 충남미술대전 초대작가
・ 충북서예대전 초대작가
・ 대전광역시서예대전 초대작가
・ 추사선생추모 전국휘호대회 초대작가
・ 예산고등학교 국어 교사
■ 멱심서루 (32432) 충남 예산군 예산읍 벚꽃로 20번길 26, 205호
041-967-5001, hangaljun@hanmail.net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