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조재영·박세윤: Abstraction-Creation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CHO JAI YOUNG , PARK SE YOON 

전시명 : Abstraction-Creation (앱스트랙션-크리에이션)
전시기간 : 2020. 3. 05 (Thur) – 2020. 4. 17 (Fir)
전시장소 : GALLERY MARK
전시기획 : GAERY MARK 


작가명 : 조재영, 박세윤
전시명 : Abstraction-Creation (앱스트랙션-크리에이션)
전시기간 : 2020. 3. 05  (목) – 2020. 4. 17 (금)
관람시간 : 월-금 10:00-18:00 / 토 11:00-17:00 / 일요일 및 법정공휴일 휴관
장소: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20길 3 B2 오프닝: 2020. 3. 05 (목) 5p.m  
문의: 02-541-1311 /  info@gallerymark.k  www.gallerymark.kr






Abstraction-Creation
: 박세윤. 조재영 2인전

박세윤과 조재영은 오늘날 현대 추상 조각의 조형적 가능성과 비전을 개성 넘치는 방식으로 보여주는 작가이다. 지난 세기 예술사의 가장 큰 획을 그은 추상 예술은 헤아릴 수 없이 다양한 역사적 방식으로 전개되어왔다. 그 중에서도 추상이 하나의 새로운 예술사조로 급부상하던 1930년대 파리에서 결성된 앱스트랙션-크리에이션(Abstraction-Creation)은 이후 현대 추상미술의 전개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들은 그 자신의 단체명에서처럼 추상 미술의 전략을 크게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대상의 재현적 형상성을 간결·단순화하는 방식[abstraction]과 순수 기하적 형태 요소를 조합하여 창조하는 방식[creation]이 그것이다. 추상 미술의 전위적 포화가 한 세기를 풍미한 오늘의 시점에서 그들의 전략은 이 한국의 두 젊은 조각가들에게도 여전히 뜨거운 예술적 화두이다. 

.박세윤은 구체적인 대상의 본질적 조형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극도로 단순화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한다. 그는 건축가로서 오랜 경력을 거치면서 일차적인 기능과 용도에 대해 항상 고민해야 했다. 이 버거운 실용적 책무를 벗어던지고 대상의 조형적 요소 그 자체에만 자신의 열정을 집중하고자 박세윤은 조각의 길을 택하였다. 기능적·공학적 요청을 걷어내듯이, 그는 대상의 복잡하고 유기적인 형태를 간결한 모듈로 치환하여 추출하는데 탁월한 재능을 보인다. 작가는 빛과 어둠에 대해 오랜 기간 관심을 두고 있기에 이 추상화 작업의 대상으로서 나무의 자연적 형상을 택하여 집중적으로 작업한다. 나무는 태양빛에 섬세하게 반응하는 종합적 유기체로서 뿌리, 가지, 새순 등 이루 헤아릴 수 없는 조형적 다채로움을 한 몸에 보여준다. 박세윤은 이 복합적 구조체의 조형적 본질을 지향한다. 그는 나무의 시지각적 형상에서 유연하고도 절제된 선과 면, 효율적으로 할절된 공간, 프랙탈적 확장 등의 순수 추상적 요소를 추출해 내었다. 표백된 나무 펄프처럼, 나무의 형형색색은 작가의 손을 통해 고도로 추상화된 유닛의 조형적 아름다움으로 새롭게 탄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전시에서 그는 개별 선반 위에 각각의 작품을 올려놓음으로써 그의 작업 과정을 집합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 대형전시 작품은 그의 예술적 탐구가 어떤 서사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한 눈에 전개해 보일 것이다. 

조재영의 접근 방식은 박세윤과 시작점을 달리한다. 박세윤이 유기체의 본질적 조형 요소를 찾아내어 이를 추상화한다면, 조재영의 작품은 이미 추상화된 유닛을 덧대어나가면서 형상을 재-창조하는 전략을 택하고 있다. 조재영의 몬스터(Monster) 연작은 대표적인 사례이다. 불명확하고 애매모호한 지점들을 가시화하기를 선호하는 그의 작품은 항구적인 조각이라기보다는 조형적으로 변형되는 과정 그 자체를 적극적으로 보여준다. 카드보드지로 제작된 몬스터들은 습도와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해 변형되기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이를 잘라내고 덧붙이는 방식으로 증식한다. 이를 통해 조재영의 추상적 유닛들은 초기의 단순한 기하구조에서 보다 바이오몰픽(biomorphic)한 형상으로 거듭나고, 바퀴를 달린 지지대를 통해 능동적인 생명의 움직임을 지속해 나간다. 이를 통해 최초의 반듯한 기하학적 질서는 교란되고, 느슨한 관계망과 시각적 불확실성을 횡단하는 몬스터가 탄생한다. 고도로 단순화된 추상 요소들이 조합되어 촉각적으로 증식하고 전이하는 그 순간, 작가는 유기체와 무기체의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추상 조각의 조형적 지평을 열어 보이고 있다.

말과 정치가 조형적 고민보다 앞서 달리는 현대 미술계에서, 박세윤과 조재영 두 작가가 실천하는 조형적 탐구는 지극한 근원을 향하고 있다. 순수한 색과 면들이 다양한 앵글을 통해 서로 만나고 헤어지는 그들의 조각은 추상예술의 탄생한 한 세기 전 어느 시점보다도 더 먼 과거형 미래를 지향한다. 박세윤의 앱스트랙션과 조재영의 크리에이션이 어떤 지점에서 서로 교차하거나 혹은 원환적 만남을 가질지 앞으로 기대해봄직하다. 

-송진협 평론가- 


Artist: 박 세 윤  (PARK SE YOON)

Education
2010     미국 콜럼비아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건축학과 졸업

CAREER HISTORY 
 Artist, Director @ SE YOON PARK STUDIO, New York, USA, 2014 - Present
Co-Founder, Director @ CARVALHO PARK, New York, USA, 2019 - Present
Founder, Director @ JOHN DOE GALLERY, New York, USA, 2016 - 2019
Architect @ REX (Joshua Prince-Ramus), New York, USA, 2012 - 2013
Project Architect @ FR-EE (Fernando Romero), New York, USA, 2011 - 2012
Architectural designer @ BIG (Bjarke Ingels Group) - New York, USA, 2011
Architectural designer @ MIKE JACOBS ARCHITECTURE, New York, USA, 2010
Architectural designer @ OMA (Office for Metropolitan Architecture) – Rotterdam, Netherlands, 2008 -2009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19 Telephone to the Divine, CARVALHO PARK, New York, USA
2019 International Space Design Exhibition, Seoul, Korea
2018 Light, Darkness and the Tree, JOHN DOE, New York, USA
2017 Venice Biennale, 57th Venice Art Biennale, Personal Structures, Venice, Italy
2017 UNCCD Exhibition, Ordos, China 
2017 Desert X - Bombay Beach Biennale, CA, USA
2014 Infinite Loop, Gulf Architecture Biennial, Dubai, UAE
2013 Public-Private Housing, XI GALLERY, Seoul, Korea
2012 Public-Private Housing, Beijing Architecture Biennial, Beijing, China
2010 Unplanned, SUPERFRONT, LA, USA
 

TEACHING
 2014 Lecturer, Columbia University GSAPP, New York, NY
2012 - 2018 Invited Jury, Columbia University GSAPP, New York, NY
2014 Invited Jury, NJIT Architecture School, New York, NY
2014 – 2018 Invited Jury, Pratt Institute School of Architecture, New York, NY
2013- 2014 Invited Jury, NYIT Architecture School, New York, NY
2013 Invited Jury, Harvard Graduate School of Design, Cambridge, MA
 
 
AWARDS AND HONORS
 2017 Honorable mention of emerging designer 2017, Archdaily, NY 
2014 Honor Award Hormuz Bridge Competition for 2014 Gulf Architecture Biennial, Dubai, UAE
2010 Lucille Lowenfish Memorial Prize, the best graduate design award given by Columbia University, NYC
2010 Honor Award for Design Excellence, the 2nd  highest design award given by Columbia University, NYC
2010 LG Global Fellowship, Travel & Research Fellowship, LG Corp, Seoul
2008 2nd Prize, Xi international Design Fiesta Housing Competition, Xi, Seoul
2008 Finalist, Urban Competition London 2008, Arquitectum, London
2006-10 Published selected projects, Abstract 2006, 2007, 2008, 2009.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Artist: 조 재 영 (CHO JAI YOUNG)
Education
2012   위트레흐트예술학교 순수미술전공 M.A 위트레흐트, 네덜란드
2007   이화여자대학교 조소전공 M.F.A 서울, 한국
2003   이화여자대학교 조소전공 B.F.A 서울, 한국 

Solo Show
2017   Under the Paradise _ 파라다이스 ZIP, 서울 
2016   DON’T KNOW _ 금호미술관, 서울
2014   U에 대한 A의 차집합 _ 갤러리 쿤스트독, 서울
2009   SCAN _ 갤러리 토포하우스, 서울 
2009   Empty Material _ 송은 갤러리, 서울 
2008   NOW & HERE _ 갤러리 도올, 서울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18   뉴바우하우스 _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한강건축상상전 _ 문화비축기지, 서울 
​         플랫랜드 _ 금호미술관, 서울 
2018   이상한 나라의 괴짜들: Geek Zone _ K현대미술관, 서울
         보이지 않는 것을 공기 중에 배열하는 기술 _ 일우스페이스, 서울 
2017   매체연구: 긴장과 이완 _ 대구미술관, 대구
         무한한 벽碧, 창공 _ 횡성문화예술회관, 횡성  
          DCW ‘사물들: 조각적 시도’ _ 두산갤러리, 서울 
2016   폐관전 3부 ‘材’ _ 더 텍사스 프로젝트, 서울
         난지리뷰전 ‘구사구용’_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서울
2015   亮 BARE: About Korea _ 창동레지던시, 서울 
         APMAP yongin ‘Researcher’s Way’ _ 아모레퍼시픽 미술관, 용인
         The Art of Space+Light _ 이영미술관, 용인
         The Artists, Prologue Interlogue Epilogue _ SIA NY, New York
2014   화이트 스펙트럼 _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여가의 기술 _ 문화역 서울 284, 서울
2013   나 - 너 _ 갤러리 보는, 서울
         돌림노래는 세상을 구하지 못한다 _ 경기창작센터, 안산
         이상한 쑈 _ 대안예술공간 이포, 서울 
         What’s on _ 경기창작센터, 안산 
2013   신진기예: Up and Comers _ 토탈미술관, 서울
2012   Longing Belonging _ Academy Gallery, Utrecht 
         Three Artists Walk into a Bar... _ De Appel Boys' School, Amsterdam 
2011   Creative Basket _ 시몬느 사옥, 의왕 
2010   일상 ‘속’ soak; 스며들다 _ 경기대학교 호연갤러리, 수원
         모란미술관 개관 20주년 기념전 ‘사이와 긴장’ _ 모란미술관, 남양주
         현대미술 수(繡)를 놓다 ‘Art in sewing’ _ 북촌미술관, 서울
2009   키미아트 개관 5주년 기념전 ‘Salmons of KiMi’ _ 키미아트, 서울
   KIMI for You: Take Color _ 키미아트, 서울
         파브르 곤충 일기 _ 서호미술관, 남양주
         당연한 관계 _ 진선북까페, 서울

2007   The observers _ 스페이스 무음, 서울
2006   기억의 보물창고 _ 갤러리 인데코, 서울
         LOVE IS _ 갤러리 도스, 서울
2005  시사회 展 _ 대안공간 팀 프리뷰, 서울
         비밀과 거짓말 _ 스타일큐브 잔다리, 서울
2004   VISION 21: Painting & Sculpture _ 성신여대 미술관, 서울
 
Residency
2016-18   금천예술공장 _ 서울문화재단, 서울
2015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_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3    경기창작센터 _ 경기도미술관, 안산
 
Fellowship
2017   파라다이스 ZIP UP _ 파라다이스문화재단, 서울 
         예술창작지원 _ 서울문화재단, 서울 
2015   금호영아티스트 _ 금호미술관, 서울
2013   쿤스트독 갤러리 전시작가 _ 쿤스트독, 서울
2009   SeMA 신진작가 전시지원 프로그램 _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ARTO Art Fair 신진작가공모 대상 _ ARTO Art Fair, 부산 
2008   송은 갤러리 전시지원 _ 송은 문화재단, 서울 
         갤러리 도올 신진작가 _ 갤러리 도올, 서울 
 
Public Project
2018   한강예술공원 _ 여의도 한강공원, 서울 
2016   커뮤니티 아트 프로젝트 ‘White Stones’ _ 소망어린이 공원, 서울
2016   태화강 국제설치미술전 ‘사이의 형식’ _ 태화강 대공원, 울산
2014   무빙트리엔날레 _ 부산연안여객터미널, 부산
PYEONGTAEK #3 _ 평택대학교 예술관, 평택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