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명진: Edgewalker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김명진 개인전 ‘Edgewalker’
2020. 7.15 ~ 8 .10, 갤러리가이아



김명진 개인전, 'Edgewalker'가 오는 15일부터 서울 종로구 갤러리가이아에서 열린다.

자유롭고 활기에 넘치는 붓 터치로 국내외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있는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20여점을 선보인다.

김명진의 그림은 드로잉과 낙서, 일러스트의 경계가 지워져있다. 그것은 온통 그리기의 흔적으로 자욱하다. 환상적이고 엽기적이면서도 도발적이고 대담하고 그러면서도 화면전체를 비상한 기운과 흥미로 채우고 있으며 날 것 그대로의 활기를 대담하게 보여준다.

<Edgewalker>는 의식과 무의식 사이에 걸린 외줄 위를 걷는 자의 뒤엉킨 의식 속에 부침하는 혼성적 자아의 몽상이자 그 환유적 서사의 주인공이다.
그의 그림에서 삶은 생리적 순환이면서 몽상적 산물이다.

 <Edgewalker>에서의 조형언어들은 그에게 다양한 자화상적 스팩트럼을 진술하고 서사할 수 있는 몽상적이고 환유적인 심리적 유희공간을 허용하고 있다. 그 유희공간 속에서 그는 일상적인 언어의 표정으로는 가닿지 않는 삶의 곡면의 심리적 풍경을 드러내 보인다. 
그 은유와 환유 사이에서, 그 사이의 외줄 위에서 그는 흔들린다. 노래처럼 아름답게, 때로는 몽상처럼 위태롭게.
그래서 그의 작품은 작가의 몽상적 서사로 우리를 인도하는 문학적 힘을 지니고 있다.
 
작가는 2015, 2016 연속 KIAF에서 문화관광부에서 선정하는 우수작가로 뽑혀 삼성 블루스퀘어 등에서 특별전을 가진바 있고, 삼성동 트레이드 타워의 특별전시에도 선정되어 전시를 가진 바 있다. 국내뿐만 아니라 마이애미, 뉴욕, 휴스턴, 토론토, 런던, 홍콩, 싱가폴 등의 해외 아트페어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으며 활발한 창작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13년 첫 개인전시 이후 지금까지 갤러리가이아에서 5회의 개인전을 열고 100회 이상의 국내외 아트페어에 참여했다.



외줄 위의 몽상 - 환유적 삶의 노래 

 그는 뉴욕의 무역센터 110층 쌍둥이 빌딩 사이에 강철 외줄을 걸고 그 위를 걷기로 한다. 외줄 위에 서는 순간, 그는 완벽하게 인간의 일반적 존재 양태로부터 분리되고 고립된다. 서 있지만 외줄 위에 있고, 아득한 허공 속에 떠 있다. 그는 깊고 아득한 그 공간을 걷기를 희망했고, 걸었고, 성공했다. 그의 이름은 필립 쁘띠뜨(Phillip Petite)이다. 그는 깊은 허공 속에 외줄을 걸고 그 무의미의 공간을 두 발로 걸음으로써, 길의 의미를 지상에서 허공 속의 그 무엇으로 끌어 올린다. 허공 속에 비로소 누군가의 삶의 족적이 그의 몸으로 새겨진다. 허공은 삶속으로 빠르게 수렴된다. 

 <Edgewalker>는 의식과 무의식 사이에 걸린 외줄 위를 걷는 자의 뒤엉킨 의식 속에 부침하는 혼성적 자아의 몽상이자 그 환유적 서사이다. 그 속에서 출몰하는 이미지들은 의도적으로 왜곡되고 과장되고 뭉개지고 농축되고 생략되면서, 부러 탈의미화 하는 비자아적 경향을 나타낸다. 의미들은 기이하고 모호하며, 배타적으로 변주되거나 변용되며, 뭉개고 긁어 지운 듯 판독 불가능한 흔적들만 암시하듯 간신히 남겨진다. 그 흔적들은 불안한 듯 비죽거리며 중얼거리고, 허공을 떠돌고, 발아래 구르고, 냄새나는 농담과 조롱을 던지다가, 독설을 퍼붓다가, 성적 유희로 들뜨다가, 밥을 먹다가, 어느 순간 뜻 모를 희미한 웃음을 지으며 모호한 표정으로 공간 속으로 사라진다. 외줄 하나를 품고 흔들리는, 그 깊고 아득한 허공 속으로. 삶은 허공 속으로 빠르게 수렴된다.
 
삶은 표정을 먹으며 얼굴 위에서 성장 한다. 누군가의 얼굴에 드리워지는 표정은 그 삶의 양식이며, 그 삶이 뱉어내는 삶의 배설물이기도 하다. 삶은 생리적 순환이면서 몽상적 산물이다. 그의 몽상이 빚어내는 심리적 조형 언어들은 조이스(James Joyce)가 그의 작품 속 인물들의 심리상태나 의식의 흐름 등을 서사하기 위해 만들어낸 그의 언어적 유희의 산물인 혼성어(Portmanteau)나 신조어들과 심리 생태적으로 닮아있다. 언어적 유희에 의해 만들어진 단어들의 다중심리적 의미가 조이스에게 낮과 밤의 삶의 풍경들과 그 이면의 표정들을 불러내어 은유적 언어로 변주할 수 있는 조이스적 언어공간을 허용하듯이, <Edgewalker>의 심리표상적 조형언어들은 그에게 혼성적 자아의 다양한 자화상적 삶의 스팩트럼을 진술하고 서사할 수 있는 몽상적이고 환유적인 심리적 유희공간을 허용하고 있다. 그 유희공간 속에서 그는 일상적인 언어의 표정으로는 가닿지 않는 삶의 곡면의 심리적 풍경을 드러내 보인다. 그 공간은 낮의 빛과 밤의 어둠으로 상징되는 삶과 죽음의 은유적 공간이고, 삶과 죽음이 서로 얽히고설켜 이상한 체취를 풍기는 체화된 환유적 공간이기도 하다. 세상은 그 두 공간 사이에 떠 있는, 부재하는 현존이며 현존하는 부재다. 삶은 그 은유와 환유 사이에서, 그 사이의 외줄 위에서 흔들린다. 노래처럼 아름답게, 때로는 몽상처럼 위태롭게.
 
안개 속에서 사물의 형상들이 출몰하듯이 어둡게 덧칠한 회색의 더께를 뚫고 어떤 표정들이 출몰한다. 그 인상들은 다양한 사물들의 이미지처럼 보다 구체적이기도 하고, 뭉개고 지운 화면의 한 구석처럼 간신히 그 암시적 느낌만을 드러내기도 한다. 몰리 블름(Molly Bloom)의 기나긴 독백처럼 심리적이고 생리적인 뭉개진 회색 덩어리들은 화면 속 도처에 웅크린 채 뭐라고 중얼거리며 체화되지 않은 욕망을 욕망한다. 그러나 그가 서사하는 삶의 몽상적 이미지들은 그 모호성으로 인해 서로 유기적 관계 속에서 맥락화 하기보다는 오히려 탈맥락화 함으로써, 어떤 결핍된 부재와 과잉된 현존을 서사하는 것처럼 읽힌다. 중얼거림 속에는 옷의 안감처럼 부스럭거릴 수밖에 없는 외면화 하지 못한 삶의 인상들과 숨겼지만 숨길 수 없는 새어나오는 삶의 소란들이 덩어리져 있다. 뭐라고 끊임없이 중얼거리게 하는 삶의 과잉 혹은 결핍은 다양한 삶의 층위들을 이루면서 그 틈새에서 분열적이고 충동적인 페르소나들을 출몰 시킨다. 그런 까닭에 그의 그림에서 암시되는 삶의 주체는 그 심리변증법적 다면성으로 인해 하나의 정체성으로는 수렴 불가능한, 어쩔 수 없이 섞이고 축적되고 침식되면서 의식과 무의식을 가로 지르는 몽상적이고, 환유적이고, 기이하고, 모호한 존재양태로 나타난다. 그에게 삶은 정체불명의 낯선 조우이며, 내부에서는 외부로부터 고립되고 외부에서는 그 내부로부터 차단되는 카프카의 기이한 동굴 이미지처럼 여러 갈래로 나뉘어 출몰하며 사라지는 신경증적인 그 무엇이다. 그 삶의 표면에서 인식론적 자아의 현존과 부재가, 리비도적인 욕망의 과잉과 결핍이, 사도 마조히즘적 성적 욕망과 도착이, 나르시시즘적 독백과 조롱이 날 것 그대로, 때로는 은유의 옷을 입고 출몰한다. 
 
화면 속의 탈맥락화 하는 이미지들과 기이하게 맥락화 하는 그 환유적 의미들은 그가 대면하는 삶의 모순이자 그가 빠져 나오려고 몸부림치는 삶의 동굴의 인상이기도 하다. 그 자신조차 자신의 몽상과 그 언어적 의미에 대하여 우리만큼 무지하며, 그의 서사는 우리뿐만 아니라 그 자신에게도 불가해한 텍스트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 속의 삶에 몽상적 의미를 부여할 때, 비로소 삶의 가독성이 증가한다. 삶의 가독성은 숨겨진 의미의 발견이 아니라 의미의 부여로부터 생겨난다. 몽상은 은유의 날개로 날아오른다. 덧칠하고 뭉개진 화면의 어두운 색깔들 사이를, 흩어진 사물들 사이를, 어두워진 표정들 사이를, 그 인상들 사이를, 그 의미의 어둠 속을 가로지른다. 몽상은 삶속으로 스미고 번지며 의미화 하는 삶의 인기척과도 같다. 화면 속의 뭉개진 회색 덩어리는 그렇게 삶의 배면이 되고 배음이 된다. 

그러나 그가 <Edgewalker> 연작을 통해 서사하는 삶을 가장한 변증법적인 그 모든 표정은 역설적으로 죽음의 차원에서 출몰한다. 그럼에도 그 죽음의 인상은 일반적인 죽음의 표정으로부터 멀리 벗어나 있다. 그가 드러내는 죽음의 인상은 블랙홀보다는 오히려 화이트홀에 가깝다. 화면에서는 소멸하는 삶의 중얼거림이 아니라 생성되는 죽음의 소란이 자리 잡고 있다. 어둡고 두껍게 덧칠된 절망적인 회색 덩어리 속에서조차 잠들지 못한 어떤 기이한 소란이 끊임없이 세어 나온다. 그 소란은 화면 위의 부산스러움으로 펼쳐진다. 부산스러움은 삶의 양식이면서 표정이다. 사물들은 도처에서 기이하게 출몰하며, 발아하지 못한 의미들은 유성처럼 어둠 속을 떠돈다. 의식의 어느 한 층위에서 빠져나온 잘 익은 노란 레몬과 빨간 의자와 마법사의 검정 모자는, 어느새 다른 의식의 층위에서는 빨간 물풍선이 되어 둥둥 떠다닌다. 새롭게 읽히고 의미 지워져야할 삶과 죽음의 행간의 구분과 의미는 애초부터 없어 보이기까지 하다. 그의 언어들은 삶의 외면에서 소멸 하는 죽음의 인상이 아니라 오히려 삶의 중심에 내재한 수다스런 죽음을 향하여 돌진한다. 화면 속의 부산스러운 소란과 중얼거림은 삶의 표정이면서 동시에 죽음의 인상이기도 하다.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공명과 간섭은 그의 몽상 속에서 때로는 기이하고 낯설게, 때로는 유머러스하면서도 희비극적으로 출현한다. 
 
삶은 모든 것을 현실화 한다. 현실화 하는 그 모든 것이 삶이다. 그 사이에 시차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우리는 한 생애를 통해 그 시차를 건넌다. 그 행간의 의미를 건넌다. 불안하게 흔들리는 외줄을 타고. 변증법적이면서 규정 불가능한 삶의 알레고리적 표정들은 그에게 인식론적 진술을 요구한다. <Edgewalker>는 그 요구에 부응하려는 몽상가의 1인칭 시점의 독백이자 진술이며, 심리적이면서 생리적인 그로테스크한 자전적 서사의 건축물이다. 그런 까닭에 그의 조형언어들은 몽상적 어둠을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문학적 읽기의 힘을 지닌다. 알레고리적인 맥락 속에서 의미를 잇는 계단들은 도처에서 끊기고 이어지며 서사의 미로를 이루고, 언어의 알을 품은 입 안의 어둠처럼 피어나는 몽상의 어둠 속에서는 어두운 발길을 유혹하는 낯선 색조의 희미한 불빛이 새어 나온다. 그 희미한 불빛이 문득 핥고 지나는 표정 하나가 그 어둠 속에서 불안하게 흔들린다. 삶의 중얼거림처럼 혹은 그 노래처럼.


김명진 Edgewalker, oil pastel & acrylic on canavs, 2020 116.8X91cm


김명진 Edgewalker oil pastel&acrylic on canvas  162.2X130.3cm 2020





김 명 진

1978년생
대구예술대학교
 
개인전
2020 Edgewalker, 갤러리 가이아, 서울
2019 Edgewalker, 갤러리 가이아, 서울
2018  Edgewalker, 갤러리 가이아, 서울 
2016  Edgewalker, 갤러리 가이아, 서울 
2013  Edgewalker, 갤러리 가이아, 서울 
2013  가나아트스페이스, 서울
2012  도서출판박람회 참여개인전, 코엑스, 서울


주요 아트페어 및 단체전
2020 화랑미술제
2019 KIAF
2018 아트스테이지, 싱가폴
2014~2017  KIAF, 서울
2016~2017 아트 마이애미 컨텍스트, 미국
2017 아트센트럴, 홍콩
2013~2018  아시아컨템포러리아트쇼 (홍콩, 싱가폴)
2015~2018  화랑미술제, 서울 
2014~2018  어포더블아트페어 (홍콩, 싱가폴, 브뤼쉘, 뉴욕, 런던)
2014~2018  아트 부산, 부산
2014~2018  BAMA, 부산
2014~2017  SOAF, 서울
2014~2017  대구아트페어, 대구  
2013~2015  AHAF (서울, 홍콩)
2014  아트사우스햄튼, 햄튼, 미국
2013  휴스턴파인아트페어, 휴스턴, 미국
2013  아트토론토, 토론토, 캐나다


김명진 Edgewalker oil pastel&acrylic on canvas  130X162cm 2020


김명진 Edgewalker oil pastel&acrylic on canvas  130X162cm 2020



김명진 Edgewalker, oil pastel & acrylic on canavs, 2020 116.8X91cm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