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리암 길릭 전: The Work Life Effect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리암길릭 The Work Life Effect
2021.02.25 ~ 2021.06.27
광주시립미술관
본관 제1, 2전시실, 로비, 북라운지



‘광주시립미술관 특별기획전’
리암 길릭 <워크 라이프 이펙트> 개최   
                               


 ▪전 시 명 : 리암 길릭 <워크 라이프 이펙트> 
                (The Work Life Effect)
 ▪전시기간 : 2021. 2. 25 ~ 2021. 6. 27
 ▪전시장소 : 광주시립미술관 본관 제1~2전시실, 로비, 북라운지
 ▪참여작가 : 리암 길릭(Liam Gillick)
 ▪주    최 : 광주시립미술관
 ▪주    관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시립미술관(관장 전승보)은 세계적인 설치미술작가이자 관계미학의 선구자 리암 길릭의 <워크 라이프 이펙트>전을 개최한다. 이 전시는 아시아의 미술관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리암 길릭의 대규모 개인전으로, 지난 30년 간 그가 발전시켜온 주요 주제들을 한데 모아 선보인다.

○ 이 전시는 2월 25일부터 6월 27일까지 진행되며, 본관 제1전시실과 2전시실과 미술관 로비, 북라운지까지 확장된다. 미술관 1층 전체가 작가의 작업의 토대를 형성하는 주요 요소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몰입형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 <워크 라이프 이펙트>라는 제목에서 암시하는 것처럼, 전시의 주제는 ‘일과 삶 간의 복잡 미묘한 긴장과 균형’이다. 작가는 지속적으로 연구해온 주제, 특히 생산과 관련된 문제, 일의 다양한 양태 및 동시대 추상에 대한 끝없는 관심과 탐색을 이어간다. 

○ 전시는 디지털과 팬더믹 시대에 우리 일과 삶이 결합하는 양상들, 그리고 그 영향들을 감지할 수 있는 물리적인 공간을 제시한다. 삶과 일 사이의 복잡다단한 관계를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대신, 익숙한 것들이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날 때 우리의 인식과 경험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다양한 형태로 드러내고 있다.

○ 제1~2전시실에서는 크게 5가지의 테마로 작품을 선보인다. 유럽에서 흔히 사용하는 형태의 램프를 사용한 작품, <신경망에서 감지되는 행복에 대한 기대>는 움직이는 그림자의 파도를 만들어내며 전시장의 입구를 나타낸다. 전시장 벽면에서 빛을 발산하는 커다란 수학공식들은 런던 유니버시티 칼리지(UCL)에서 발표한 ‘행복을 계산하는 공식’이다. 마치 도시의 야경과 같은 모습으로 관람객을 향해 빛을 발한다. 

○ 기존의 가벽이 모두 제거된 전시실에는 두 개의 커다란 건축적 공간이 세워진다. 환하게 빛나는 쇼윈도우같은 이 공간은 사실 유리가 없으며 우리는 쉽게 그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 두 개의 공간들은 작가의 작업이 가지는 두 개의 역설적인 측면, 즉 사회적 삶의 경험과 갈등, 그리고 그것과 긴장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추상성을 보여준다.  

○ 각각 <워크 라이프 이펙트 스트럭처 A, B>로 명명된 두 공간 중 첫 번째 큐브 <워크 라이프 이펙트 스트럭처 A>에는 추상적 형태의 “Fins'와 'Horizons' 시리즈의 신작이 자리잡고 있다. 이것은 산업과 건축 분야의 ‘부차적인(secondary)’ 재료를 사용하는 리암 길릭의 중요테마를 보여주고 있다. 건물의 기능적 부속품들은 작가에 의해 추상적 형태로 변모되어 시적으로 재현된다.

○ 두 번째 큐브 <워크 라이프 이펙트 스트럭처 B>에는 디지털 피아노와 스노우머신으로 구성된 작품인 <눈 속의 공장 (우편 배달부의 시간(2007)>이 놓여있다. 피아노에서는 군사정부에 대항하는 1974년 포르투갈혁명의 시작을 알렸던 민중가요 ‘그란돌라 빌라 모레나(Grandola Vila Morena)’가 자동연주 된다. 

○ 전시실 너머 미술관 로비와 북라운지에도 작품들이 관람객을 맞이한다. 미술관 입구의 커다란 유리벽에 배치된 텍스트는 <개체 관계 맵핑> 작품으로, 우리 삶에서 직접 사용하는 업무용어들이 패러디 되어 혼란스러운 현대적 시(詩)를 보여준다. 로비에 가득한 색색의 벤치들은 2003년 베니스비엔날레에서 소개된 이후 발전을 거듭하는 작품이다. 미술관의 ‘부차적인(secondary)’요소로부터 미술관 경험이 영향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북라운지 공간은 미술관의 내부과 외부, 관람객과 공원이용객이 마주하는 특별한 영역이다. 작가는 유리창에 시공된 <마음의 키오스크 광주> 작품에서 ‘관계의 형태’를 가장 적절하게 표현하는 형태로 ‘키오스크(임시 판매대)’를 제시하고 있다.  

○ 작가는 ‘일과 삶의 관계’라는 주제에 오래 관심을 두었으며, 이번 전시를 준비하는 동안의 팬더믹 상황에서 그 고민은 더욱 심화되었다. 특히 2019년 작가가 광주를 방문했을 때 그는 중외공원과 미술관을 찾는 시민들에게 깊은 인상을 받았다. 이 풍경은 작가에게 새로운 영감으로 작용하여 광주를 위한 전시를 만드는데 주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 리암 길릭은 현대미술사의 중요한 미학인 ‘관계 미학(Relational Aesthetic)’의 이론적 성립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의 작업에서 관람객은 전시의 일부이며, 작품과 전시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이야기들을 생성하는 존재이다. 따라서 이번 전시는 정해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보다는 ‘끝이 열린’ 가능성의 형태로 제시된다. 

○ 광주시립미술관 전승보관장은 “세계적인 거장인 리암 길릭의 전시를 통해 심도 깊은 미학과 수준높은 작품을 감상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고 말하고 “팬더믹이 장기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그 어느 때보다 평범한 일상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있다. 지친 시민들에게 이 전시가 명상을 통한 치유와 희망을 얻을 수 있는 시간이 되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 리암 길릭은 “새로운 생활환경을 맞이한 이 시대에는 특히, 복합성과 더불어 파생된 긴장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라고 말하며 “이번 전시는 직접 광주를 방문했을 때 느꼈던 인상이 곳곳에 드러난다. 여러분이 마주하게 될 빛, 여러 추상적 형태들로 채워진 전시 공간이 흥미로운 경험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작가소개
리암 길릭(Liam Gillick)


리암 길릭

1964년 영국 출생
1984년 영국 하트퍼드셔 예술대학 졸업
1987년 영국 골드스미스대학 졸업
2002년 영국 터너상 최종후보
2001년 영국 테이트모던갤러리 개인전
2003년 미국 뉴욕 현대미술관(Moma) 개인전
2005년 프랑스 파리 팔레드도쿄(Palais de Tokyo) 개인전
2005년 스페인 말라가 현대미술관(CAC Málaga) 개인전
2009년 베니스비엔날레 독일관 대표작가
2009년 미국 시카고 현대미술관 개인전
2016년 포르투갈 세할베스 미술관(Museu de Arte Contemporânea de Serralves) 개인전 
2019년 이탈리아 나폴리 도나레지나현대미술관(Madre Museum) 개인전 


리암 길릭(Liam Gillick, b. 1964)은 국제적인 명성과 함께 동시대 미술계 흐름을 주도하며 순수미술 외에도 출판, 디자인, 전시기획, 미술비평 등 다방면에 걸쳐 자신의 예술세계를 진일보 시켜왔다. 그는 1990년대 초반부터 현대적으로 구축된 사회와 그 공간들의 역학에 대한 구조적 개념을 자신의 미술에 적극적으로 끌어 들이며, 사회 현상의 분석과 미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인간, 환경, 삶, 예술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규정해왔다. 특히, 사회적 시스템이 새로운 정치사회적 어젠다와 충돌하며 병존하는 현상에 주목하고 이를 작품과 공공 설치물, 저술을 통해 풀어내며 현대미술사의 중요한 개념인 ‘관계 미학(Relational Aesthetic)’의 이론적 성립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리암 길릭은 테이트 미술관, 뉴욕 현대미술관, 시카고 현대미술관, 르 마가젱 국립현대미술관, 쿤스트할레 취리히, 나폴리 도나레지나 현대미술관, 말라가 현대미술관 등 세계 유수의 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해왔다. 2009년에는 베니스 비엔날레 독일관 대표 작가로 참여하는 등 세계 주요 미술 행사에 활발하게 활동중이다. 



※ 작품 소개


1. Object Related Mapping (로비 설치)
개체 관계 맵핑 
2021 matte black vinyl 검정 무광 시트커팅 855 x 980cm each, 2parts

미술관 로비의 커다란 유리벽에 쓰여진 텍스트 작품은 하나의 패러디이다. 작가는 특정한 업무분야에서 사용하는 전문용어들과 이와 관계없는 단어들을 결합한 새로운 문구를 만들었다. 서로 다른 언어는 유리창의 구조와 결합하며 단어들의 부조화와 혼란을 더욱 강조한다. 마치 인쇄기가 오작동하여 단어를 쏟아내는 것 같기도 하다. 업무환경에 따라서 사용하는 언어가 변화하는 방식은 작가의 글과 그래픽 작업에서 중점적인 부분이다. 



2. Moderation Toolbox & Gwangju Stool
중용의 툴박스 & 광주 스툴
2021 
MDF, paint
합판에 페인트

작가는 2003년 베니스 비엔날레, 2008년 구겐하임 뮤지엄에서 이 작품을 선보이는 등 2000년대 초반부터 나선형 벤치 시리즈를 발전시켜왔다. 관람객이 이용할 수 있는 벤치인 이 작품은 미술관의 ‘부차적’ 요소들에 의해 전시의 경험이 영향 받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S자 형태의 벤치에 등을 맞대고 앉는 구조는 개인과 집단 사이의 철학적 긴장상태에 대한 작가의 관심을 선명히 드러낸다.



3. Gwangju Kiosk of the Mind (북라운지 설치)
마음의 키오스크 광주
2021 matte black vinyl 검정 무광 시트커팅 335 x 870cm

한국어로 ‘임시 판매대’를 의미하는 키오스크는 이 전시에서 물건 뿐 아니라 아이디어 또한 판매하는 곳이다. 갖가지 ‘경쟁’에 관한 생각들이 키오스크의 형태와 함께 투명한 유리벽 위에 자리 잡고 있다. 고정되어 있는 구조물들 사이에 존재하는 이 유동적인 건축물은 ‘관계의 형태’를 적절하게 보여준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미술관 내부와 외부의 중외공원이 만나는 북라운지에 설치되어, 비공식성의 특별한 영역을 조성한다.



4. Happiness Predictions from Striatal Activity
신경망에서 감지되는 행복에 대한 기대
2021 lamps, kinetic lights system 램프, 키네틱 조명 시스템 dia. 46cm each, total 24 lamps

유럽의 가정과 직장 등 일상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형태의 이 램프는 작가가 새로운 건축 –건축물 내부에, 혹은 홀로 존재하는 건축- 을 구축할 때 사용해온 중요한 소재이다. 내부의 모든 가벽이 제거된 전시실 공간의 입구에 배치된 이 램프는 특별히 위아래로 움직이는 그림자의 파도를 만들어내며 관람객에게 전시의 시작점을 알려준다. 



5. Happiness Equations 행복 방정식
Subjective Well-being
2021 orange neon 115 x 700cm

일련의 커다랗고 밝은 색의 네온 공식들이 전시 공간을 잠식한다. 각각은 2014년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에서 출판한 학술논문에서 제시한 ‘행복을 계산하는 공식’이다. 수학 공식은 소통을 위한 도구라는 점을 비롯해 언어와 비슷한 특성이 있지만, 언어가 가진 한계를 넘어 더욱 넓게 통용되는 소통방식이다. 동시에 디지털 시대의 도시 야경을 연상케 하는 네온 풍경은 행복, 사랑 등 감정을 계량화하려는 시도에 함축된 인간의 오만함을 시사한다. 작가는 이 공식들을 유럽중앙은행, 이스탄불 근대 뮤지엄, 파리 북역 등 눈에 띄는 공공장소에서 선보여 왔다.



6. The Work Life Effect Structure A
워크 라이프 이펙트 스트럭처 A
2021 Room with LED framed window, sliding door LED 틀의 창과 미닫이 문이 있는 방 
250 x 1200 x 1200cm

The Work Life Effect Structure B 
워크 라이프 이펙트 스트럭처 B
2021 Room with LED framed window LED 틀의 창이 있는 방
250 x 900 x 900cm

다른 모든 가벽들이 철거된 미술관 내부에는 반半자율적 공간인 두 개의 커다란 건축적 공간이 있다. 하나의 공간 안에 존재하는 이 두 개의 공간들은 작가의 작업이 가지는 두 개의 역설적인 측면들을 보여준다. 즉 사회적 삶의 경험 및 갈등의 시학, 그리고 그 시학과 긴장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추상성이다. 두 공간 모두 상가의 정면 또는 거대한 진열장과 닮아 있다. 환하게 밝혀진 이 공간들의 파사드는 유리로 된 듯 보인다. 하지만 이것은 환영일 뿐이며 우리는 쉽게 그 안으로 걸어 들어갈 수 있다. 



7. Fin 과 Horizon 시리즈
Delivered Horizon 2020 powder coated aluminum 
140 x 250 x 5 cm overall
5 x 250 x 5 cm each, total 10 elements

작가의 대표적 시리즈  Fin 과 Horizon 은 2000년대 중반에 처음 시도되었다. 이 작품들은 새로운 건축 형식과 일의 방식에 대한 기대, 그리고 그것들에 대한 반응으로서 여러 해에 걸쳐 서서히 개발된 추상 어휘이다. 따라서 늘 산업과 건축에서 쓰이는 부차적인(secondary) 재료로 구성된다. 작품들은 현대적 공간 구조물에 존재하는 냉각핀, 데이터 서버, 통풍구의 외형을 떠올리게 한다. 건물의 기능적 장치들은 추상적 형태로 변모하여 작가에 의해 시적으로 재현된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시리즈는 작가의 미완 소설 ‘Construction of One’에 관련한 신작들이다. 이 책은 생산의 물리적 장소에 관련하는 인간관계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8. Factories In The Snow (Il Tempo del Postino)
눈 속의 공장 (우편 배달부의 시간) 
2007 Knabe WKG53 piano, midi file, snow machine Knabe WKG53 피아노, 미디 파일, 스노우 머신
Duration 7:24 min (Loop)

전시장에서는 하나의 단순한 후렴구가 반복적으로 연주되고 있다. 원곡은 1974년 군사정부에 대항하는 포르투갈 카네이션 혁명의 시작을 알린 노래 ‘그란돌라 빌라 모레나(Grandola Vila Morena)’이다. 작가는 2007년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가 기획한 전시에서 도시의 역사적인 유산을 떠올릴 수 있는 요소로서 이 멜로디가 관객과 관객의 사이를 채우기 원했다. 이후 2013년 팔레드도쿄의 전시에서 개작해서 다시 선보이는 등 연구를 심화해 가고 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