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OCI YOUNG CREATIVES
이승훈 개인전 《만들어라 MAKE》
Lee Seunghoon, MAKE
작가명 이승훈
전시명 만들어라 MAKE
전시기간 2021. 9. 2 - 9. 29
전시장소 OCI미술관 2층
개막식 별도의 개막식 없음
작가와의 대화 2021. 9. 11 (토) 오후 3시
OCI미술관 유튜브 채널 생중계
○ 2021 OCI YOUNG CREATIVES 선정작가 이승훈(1986-)의 개인전
○ 움직임을 통해 시간을 가시화한 ‘시간-회화’ 만들기
○ 꿈틀꿈틀, 삐걱삐걱 어딘가 괴상하고 기이한 동세를 가진 형상들
○ 대상의 질감을 독특한 색채와 치밀한 선으로 한 땀 한 땀 묘사
[전시 소개]
OCI미술관(관장: 이지현)은 2021 OCI YOUNG CREATIVES 선정작가인 이승훈의 개인전 《만들어라 MAKE》를 9월 2일부터 9월 29일까지 OCI미술관 2층 전시장에서 선보인다.
말 잘 듣는 사람들_time-painting(single channel video)_4K(2160p), 3min 30sec_2021
이승훈의 그림은 움직인다. 보통의 것과 가장 큰 차이점이다. 캔버스와 같은 평면 위에 여러 질료로 형상을 그려 나가는 일반적인 방식에서는 물감이 쌓이며 생겨난 층위에 시간이 누적된다. 그러나 작가의 회화는 동세를 담고 있기 때문에, 화면 속 대상의 자세나 위치가 바뀌는 동안 흘러간 시간이 오롯이 보인다. 말하자면 움직였기 때문에 분명해진 ‘시간’을 재료로 회화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속절없는 시간의 굴레에 동참한다고 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겨울 산_time-painting(single channel video)_4K(2160p), 3min_2021
이번 전시의 제목인 《만들어라 MAKE》는 이승훈이 작업을 대하는 자세를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마치 가느다란 실을 붙여 나가며 커다란 인형을 완성하듯, 작은 점과 얇은 선들이 오랜 시간을 거쳐 켜켜이 겹치면서 형상을 이룬다. 어느 하나 헛되이 존재하지 않도록 정성스레 쌓아 올렸다. 이러한 노동 집약적 과정을 반복하다 보니 어느새 그림은 ‘그리는’것이 아닌 ‘만드는’것이라는 생각에 닿게 됐다.
붉은 방(부분)_time-painting(single channel video)_4K(2160p), 3min_2021
애니메이션에서 이미지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하나의 에피소드를 아우르는 사건의 내용과 전개이지만, 작가의 회화에는 내러티브가 전적으로 부재한다. 오히려 이야기를 담아내는 것을 스스로 거부하고 있다. 〈겨울 산〉, 〈붉은 방〉과 같이 작품에 명확하고 직관적인 이름을 붙여주는 것 또한 의미와 내용이 담긴 도상을 재현하는 것보다는 특정한 맥락이 없는 형태와 표면의 묘사에 집착하는 그의 태도와 상통한다. 자잘하게 나누어진 점과 선들의 집적만으로도 할 말 투성이기 때문이다.
바람이 심한 날 밖에 나가는 것은 몸에 해로운 것이다_time-painting(single channel video)_4K(2160p), 3min_2021
그의 작업 방식은 강박적이리만큼 치밀하다. 겉면의 묘사에 끈질기게 집착하며 파고들다 보니 대상이 과도하게 틀어지거나 비뚤어지고, 삐걱거리는 동세는 어딘가 부자연스럽고 기이하다. 잘게 나누어진 점과 선들의 떨림은 마치 잠시 후 큰 폭발이라도 일어날 것만 같은 폭풍전야의 불안한 분위기를 조성했다. 또한 작가의 그림에는 명확한 광원을 찾아볼 수 없다. 빛이 있으면 그림자가 생기기 마련이지만, 제아무리 자연스러운 현상일지언정 어둠 속에 탈락되는 부분 없이 모든 면을 치밀하고 꼬질하게, 정성을 다해 한 땀 한 땀 만들어내야 했다. 그래야 직성이 풀린다. 그래서 화면에는 빛과 그림자도, 어둠도 존재하지 않는다.
붉은 방(부분)_time-painting(single channel video)_4K(2160p), 3min_2021
하염없이 그림을 만들다 보니 어느새 신체는 누적되고, 시간이 만들어졌다. 시작과 끝이 없이 무한정 반복된다. 작가는 이를 ‘시간에 직접적으로 참여’한다고 말한다. 속절없는 시간의 굴레에 동참한다고 볼 수 있을까. 그가 만들어낸 화면 속에서 대상들은 여전히, 무한히 꿈틀거린다.
[작가 약력]
이승훈 (Lee Seunghoon, 1986- )
windpg@naver.com
공주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학사와 동 대학원 만화학과 석사를 취득하였다. 움직이는 그림을 통해 시간을 연구하고 있다. 이번 OCI미술관 전시 《만들어라 MAKE》는 그의 첫 개인전으로, 시간-회화에 대한 그간의 실험 결과를 만나볼 수 있는 자리이다.
학력
2019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만화학과 석사
2012 공주대학교 예술대학 만화애니메이션학과 학사
개인전
2021 만들어라 MAKE, OCI미술관, 서울
단체전
2020 뽈뽈뽈, 아트스페이스 휴, 파주
비스듬한 경계, 쉐마미술관, 청주
2019 세상의 중심에서, GS강서 N타워, 서울
미래와 꿈의 공예 - 몽유도원이 펼쳐지다, 청주공예비엔날레 행사장, 청주
고독한 밤 당신을 찾아온 그대에게, 문래 술술랩, 서울
아트바자르 특별전, 성안길 특별전시장, 청주
UHD MULLAE 초고해상도로 빛나는 이미지-기억의 벽, 강이스튜디오, 서울
2018 mullae vallue #1 : 발화, GS강서 N타워, 서울
문Layer ; 문래의 술집들, 문래동 일대 주점들, 서울
2015 MOVE OR DIE 2015, 아터테인, 서울
2014 MOVE OR DIE, 아트스페이스 휴, 파주
젊은작가展 VARAM, 스페이스씨, 대전
2013 김준 X MOD, 꼴라쥬플러스, 서울
나에게 너를 보낸다,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대중의 새발견, 문화역서울284, 서울
2011 만원으로 미술하기, 대전시립미술관 창작센터, 대전
수상/선정
2020 2021 OCI YOUNG CREATIVES, OCI미술관
2019 문래예술창작촌 지원사업 MEET 선정, 서울문화재단 문래예술공장
2018 문래예술창작촌 지원사업 MEET 선정, 서울문화재단 문래예술공장
[전시 서문]
여기 ‘시간’으로 그림을 그리는, 아니 ‘만드는’ 작가가 있다. 시간으로 그림을 만든다? 도무지 이해 가지 않는 단어투성이다. 그래서 일단 그림을 들여다보기로 한다.
두서없이 투박하게 흩뿌려진 대상들이 재잘재잘 움직인다. 누구보다 깊은 속사정을 품고 있을 듯하여 내막을 파헤쳐 보려 하지만 오리무중이다. 궁금증을 못 참고 질문하려는 찰나, 이야기는 각자의 몫으로 넘어간다. 이승훈이 집중하는 것은 내러티브가 아닌, 거대 서사도 아닌 움직임을 통해 어렴풋이 존재를 드러내는 시간, 그 자체이다.
잔잔하게 요동치는 선들이 여기에서 저기로 움직이면 마치 갯벌 위를 열심히 기어간 생물이 남긴 흔적을 보듯, 그만큼의 시간이 보인다. 상징적 개념을 논하자는 게 아니다. 성실히 쌓아낸 동세와 질감만이 존재할 뿐이다. 겉면에 천착하다 보니 왜곡이 생긴다. 잘게 나누어진 점과 선의 집약이 만들어낸 화면은 마치 10초 뒤 큰 폭발이라도 일어날 것만 같은 폭풍전야, 일촉즉발, 위기일발의 불안한 떨림으로 가득 찬 채 무한 반복된다.
속절없는 시간의 굴레에 동참한다고 볼 수 있을까. 화면 속 선들은 여전히 꼼지락꼼지락 저마다의 춤을 춘다. 그 ‘춤 선’의 퇴적이 만들어낸 시간의 지층을 하염없이 바라본다.
정유연 (OCI미술관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평론]
유령 같은 시간의 잔상을 재생시키기
OLED, QLED 등 스스로 발광하는 디지털 평면 디스플레이의 눈부신 진화는 현실보다 더 생생한 현실감을 선사한다. 우중충한 현실보다 더 이상적인 현실상을 반짝이는 스크린 위에 살아 움직이게 만든다. 좀 더 선명하고, 좀 더 찬란하고, 좀 더 매끄러운 움직임이 구현되는 가상의 스크린 위로 ‘기술나라의 푸른꽃’은 그렇게 손에 바로 잡힐 듯하다.
동시대 미술에서도 생생한 현실감과 자연스러움을 장착한 디지털 아트의 기술적 역량은 갈수록 그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작품의 지향점이나 기술적 매체는 각각 다르지만 몰입감 있는 환영적 세계, 나아가 증강 현실을 열어주는 많은 작업들이 대중적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현실을 잠시 구멍 내는 희열이야말로 예술에게 대중이 가장 기대하는 역할이기 때문일 것이다. ‘메타버스’라는 용어가 ‘4차 혁명’ 이후 등장한 또 다른 깃발처럼 휘날린다. 하지만 우리는 이미 현실이라는 물리적 ‘유니버스’를 초과한 세계를 살아내고 있다. 우리는(대개 도시에 거주한다고 치자.) 온통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둘러싸인 세계에 살고 있다. 아침에 눈뜨자마자 확인하는 스마트폰 액정부터 TV, 컴퓨터 모니터, 그리고 광고 전광판들… 버스 안이나, 거리나, 집 안 어디에서도 디지털 디스플레이로부터 도망치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그리고 그 스크린들에는 언제나 내 곁의 사물들보다 더 찬란하고 완벽한 형상들이 넘쳐난다. 오히려 우리는 이 완벽하지 않은 현실의 사물과 인물을 완벽해보이게 만드는 애플리케이션과 장치들로 보정하고 매끈하게 만들어 온라인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승훈의 디지털 애니메이션 작업은 그러한 광학적 디스플레이를 일종의 통로로 삼되, 현실적인 감각의 증강과는 다른 방향을 향한다. 우리가 미술사에서 알고 있는 초현실주의가 현실을 초월하는 어떤 이상적인 상태의 재현이나 환상과는 정반대이듯이, 이승훈의 디스플레이는 현실보다 더 매끈한 디지털 환영을 오히려 삐걱거리고 울퉁불퉁한 매질로 변형시킨다. 이상한 말이지만, 나는 그의 애니메이션을 보는 순간 메렛 오펜하임의 <오브제, 모피로 된 아침식사>가 떠올랐다. 모피로 만들어진 찻잔과 티스푼은 따스하고 매끄러운 유기질의 감촉을 떠올리려는 찰나, 그 환기된 정서를 불쾌하고 난감하게 뒤집어버린다. 이승훈의 작업은 ‘오브제’가 아니고 디지털 평면 회화지만, 오펜하임의 찻잔처럼 익숙하고 편안한 감각을 거스르는 반항적 텍스처를 드러낸다. 말하자면, 그의 애니메이션 회화는 디지털 디스플레이에서 으레 기대하는 매끈하고 환영적인 이미지, 현실보다 더욱 실감나는, ‘자연스러움’을 자랑하며 ‘살아나는animated’ 이미지를 배반한다. 메렛 오펜하임의 찻잔은 일종의 농담이면서 무의식 속에 각인된 그 무엇이 뒤집혀 나오는 언캐니한 사물이며 현실 이미지의 배후를 열어보이는 촉매제다. 이승훈의 작업에서 분절되고 이상하게 확대되고, 반복적으로 삐걱거리는 인물, 사물, 동물, 식물들의 형상 또한 희미한 (불)쾌를 불러일으킨다. 거기엔 은밀한 농담의 뉘앙스 또한 깃들어 있다고 나는 짐작한다.
그는 “디지털 평면에서 일종의 시간의 원근법을 만들어내고 싶었다”고 이야기한다. 처음 들었을 때 무슨 말인지 잘 이해되지 않았다. 대신 그의 그림에서 원근법이 철저히 깨져있다는 점은 금방 알아챌 수 있었다. 또 애니메이션이지만 서사 구조가 없을 뿐 아니라 루프되는 짧은 장면에서조차 세부적으로 생산되는 의미, 혹은 이야기가 거의 없다. 본디 투시 원근법은 서사의 한 장면을 구현하는 데 탁월한 재현 기법이다. 대략 콰트로첸토 시기부터 시작된 원근법적 회화들은 흐르는 이야기가 일시 정지한 한 장면으로서, 우리는 그 한 장면으로부터 캐릭터, 이야기, 역사, 신화라는 장대한 총체를 환기한다. 하지만 또 해체적이고 탈원근법적인 그림은 현대 회화가 지닌 패러다임이라 이 그림이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재생된다 한들 그다지 새로울 것은 없다.
유독 흥미로운 점은 그의 그림에서 인물들(특히 여성의 형상들)이 너무 줌인되어 있거나, 비율이나 그리드가 맞지 않고 다소 음침한 왜상으로 그려져 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 작업들은 분명 애니메이션이지만 동작의 부드러운 움직임을 구현하는 데 그다지 관심이 없어 보인다는 점이다. 인물의 피부든 옷의 광택이든 식물, 사물의 표면이든 경련 같은 미세한 움직임, 혹은 기계적이고 반복적인 단순한 움직임이 주를 이룬다. 그러한 움직임으로 인해 형상들은 ‘살아났다animated’기보다 오히려 부동적으로 보인다. 그리고 여기서 작동하는 모션은 비현실적이고 망상적이어서 그 부동성을 훑어 관찰하는 빛의 시선에 가깝다(때문에 나는 빅토리아 시대 사후 사진Post-mortem photography을 떠올리기도 했다). 그는 디지털 펜과 포토샵을 사용해 세필 기법으로 형상을 그린다. 이미지를 확대한 상태에서 이뤄진 장시간의 작업으로 인해 어그러지는 형상과 색채의 변화가 누적된 시간들을 드러낸다. 이를 재생시키는 일은, 말하자면 붓질의 시간적 축적을 재생시키는 셈이다. 보통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재생되는 모션그래픽 회화는 일종의 픽처레스크한 환영성이나 생생한 자연을 모사한다. 나아가 거기에는 이야기가 있다. 동양화적 기법이든, 극사실적인 장면이든, 유명 명화를 움직이는 그림으로 만드는 키치든. 하지만, 이승훈은 이 노선들을 조금씩 비껴가 다소 무의식적이고 일상적인, 무엇보다 (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의미가 없는(!) 애니메이션을 공들여 재생시킨다. 그렇다면 이것은 형식 실험인가?
작가는 자신의 작업에 애니메이션의 세 가지 테크닉을 중첩시키고 충돌시킨다고 설명한다. 프레임 바이 프레임, 컷아웃 기법, 그리고 3D 렌더링 애니메이션을 한 화면에서 동기화시킨다는 것이다. 그러한 실험이 노리는 바는 정확하지 않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애니메이션 제작 툴이나 애플리케이션의 목적, 설계와는 충돌하게 마련이라는 점이다. 아직 기술상의 한계도 있겠지만, 어찌되었든 그의 작업은 부자연스럽고, 삐거덕거리는 요소를, 즉 비동기화되는 계기를 노출하게 된다. 그리고 반복적인 삐거덕거림은 자연스러운 현실에 매복한 언캐니한 실재를 어김없이 불러온다. <붉은 방>(2021) 작업에서 어정쩡하게 동떨어져있는 그림들의 비동기적인 모션은 기이한 단절과 연속의 긴장을 불러일으키는 대표적인 사례로 보인다. 이것은 애니메이션의 오용에 가깝다.
이승훈은 결국 그럴싸한 애니메이션을 추구하는 것은 아닌 듯하다. 그는 들뢰즈를 빌어 “재현적인 터치와 움직임도 아니고 어떤 추상적 효과의 장이 되어서도 안 되는, 어떤 분명한 형상figure-물건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작가노트에 써놓았다. 결국 그가 노리는 지점은 비재현적인 움직임이고, 그것은 움직이되 그 움직임을 통해 오히려 멈춤을 강조하는 움직임이 된다. 나아가 그 부동성 속에 잠복한 유동적인 형상을 발견한다는 저 테제를 애니메이션이라는 매체로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그의 작업에서 가장 꿈틀거리는 것은 가는 펜자국들이다. 때문에 인체는 전혀 입체적으로 보이지 않고, 사물들의 움직임은 불안하다. 특히, 피부나 털과 같은 표현에 있어서 작가는 강박적이리만치 매끈한 명암을 만들어내지 않는데, 그래서 피부는 비균질적이다 못해 푸석한 거죽이나 털 같은 느낌을 준다. 이렇게 면을 만들어내지 않는 상태에서 부여된 모션은 유기적으로 보일 리 없다. 오히려 그러한 움직임들은 스톱모션처럼 자잘한 단절들을 노출하며 형상 자체를 잔상들의 순환적인 흐름으로 바꿔놓는다. 형상은 윤곽으로도, 면으로도, 입체로도 고정될 수 없는 어떤 것으로 흔들린다. 이 단절적이면서 유동적인 잔상들의 반복은 유령 같은 감각과 닮아 있다. 어깃장 같은 이야기들, 나도 타인도 아닌 꿈의 이중감각, 소외와 미디어의 스펙터클 사이에 놓인 그 무엇의 감각. 그러나 이 감각 배후에 놓인 것이 블랙 유머인지, 지독한 회의인지, 연민인지는 아직 알 수가 없다.
이진실 (미술평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