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타이틀 매치: 임민욱 vs. 장영규 《교대》
전 시 명
2021 타이틀 매치: 임민욱 vs. 장영규《교대》
전시기간
2021. 10. 13.(수) ~ 11. 21.(일)
※ 코로나 19로 인해 일정은 변경될 수 있음
전시장소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전시실 1, 2, 프로젝트 갤러리 2
전시부문
조각, 드로잉, 영상, 사운드, 설치 등
전시작가
임민욱, 장영규
- 2인전 형식을 다양하게 실험해 온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대표 연례전 여덟 번째 ‘타이틀 매치’ 전시를 2021년 10월 13일(수)부터 11월 21일(일)까지 북서울미술관에서 개최
- 전통과 근대에 대한 예술과 문화 사이의 괴리와 문제의식을 공유해 오고 있던 미술작가 임민욱과 음악가 장영규가 만나, 사라지는 매체와 목소리, 역사와 환경으로부터 파생된 시간의 조각들을 비선형적으로 재구성하는 전시
- 재구성의 원리로 두 사람은 순환과 공존의 의미를 담고 있는 ‘교대’라는 단어를 제안해, 무엇이 변동하고 불변하는지 추적하며 공간과 시간에 대한 관점을 다중화
2021 타이틀 매치_전시 전경
□ 서울시립미술관(관장 백지숙)은 2021 타이틀 매치: 임민욱 vs. 장영규《교대》를 2021년 10월 13일(수)부터 11월 21일(일)까지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전시실 1, 2, 프로젝트 갤러리2에서 개최한다.
□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은 2014년부터 ‘타이틀 매치’라는 이름으로 두 명의 작가를 초대하는 전시를 기획해오고 있다. 그동안 타이틀 매치는 경쟁을 함의하는 명칭의 틀을 깨부수고 새롭게 정의하며 2인전이라는 전시 형식을 다양하게 실험해 왔다. 올해는 처음으로 미술작가(임민욱)와 음악가(장영규)를 초대해 한 단계 더 나아간 전시 형식을 시도한다.
□ 임민욱은 퍼포먼스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설치와 일상 오브제를 조각으로 만들어 내는 미디어 아티스트로, 공동체와 기억의 문제, 장소와 존재의 관계를 탐구하면서 근대성과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이어가고 있다.
□ 장영규는 영화, 무용, 연극, 현대미술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음악가로, 비빙과 씽씽에 이어 밴드 이날치를 이끌며 전통 음악의 새로운 가능성을 향한 실험을 지속하고 있다.
□ 전통과 근대에 대한 예술과 문화 사이의 괴리와 문제의식을 공유해오고 있던 두 사람은, 이번 전시에서 사라지는 매체와 목소리, 역사와 환경으로부터 파생된 시간의 조각들을 비선형적으로 재구성해 본다.
□ 그 재구성의 원리로 두 사람은 ‘교대’라는 단어를 제안한다. 기능적인 관점으로 시간을 다루는 ‘교체’와 다르게, ‘교대’는 순환과 공존의 의미를 담고 있다. 두 사람은 ‘교대’라는 단어를 전면에 내세워 무엇이 변하고 움직이는지, 혹은 변하지 않는지를 추적하며 공간과 시간에 대한 관점을 다중화하고자 한다.
□ 임민욱은 하찮은 것과 고귀한 것, 성스러운 것과 세속적인 것 등 상반된 가치로 여겨지는 부분들을 ‘절합’하여, 고착화를 지연시키고 그 빈틈을 응시할 수 있는 작동 모델로 교대를 상정한다. 경주 포석정의 석축 구조를 빌려와 틀을 만들고 기억의 사물과 물질로 채운 뒤 다시 해체해서 단면들을 보여준다.
□ 이처럼 임민욱은 근대적 사고에 의해 시간과 공간으로 은폐되었던 장소에 대해, 운동성의 한계와 이분법적 사고의 구조를 돌파하여 미완의 구조로 재구성한다.
□ 장영규는 전통 음악의 전승과 변화 과정에 주목해 판소리 명창 스승과 제자 사이에 주고받던 노래와 이야기가 담긴 전수 카세트 테이프 음원을 전시한다. 그의 작업은 소리의 기록과 저장을 가능하게 한 매체가 복사와 반복 재생을 통해 변형되고 변질될 수 있음을 암시하며, 완벽한 전통의 복제라는 신화에 균열을 낸다.
□ 전승 음원을 잘게 잘라 샘플링해 만든 장영규의 신작 <세공>은 전통 음악에 생동감을 불어넣어 주면서, 전통을 화석화하지 않고 능동적으로 현재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상상하도록 한다.
□ 백지숙 서울시립미술관장은 “이번 타이틀 매치는 미술과 음악이라는 장르적 차이를 극복하고 두 사람의 합일을 찾는 방식보다는, 상호적으로 끊임없는 배움의 계기와 가능성을 찾아나서는 전시가 될 것” 이라고 말했다.
□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에서는 전시 기간 중 전시 트레일러 및 전시 전경 등을 담은 온라인 전시 영상을 서울시립미술관 공식 SNS 채널을 통해 제공할 예정이며, 서울시립미술관 전시도슨팅 앱 및 네이버 오디오클립을 통해 온라인으로 작품 해설을 들을 수 있다.
○ 인스타그램 : instagram.com/seoulmuseumofart
유 튜 브 : youtube.com/seoulmuseumofart
페 이 스 북 : facebook.com/seoulmuseumofart
네이버오디오클립: audioclip.naver.com/search/all?keyword=북서울미술관
□ 서울시립미술관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하여 서울시 공공서비스 예약 사이트(yeyak.seoul.go.kr)를 통한 사전 예약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시 관람 일정을 포함한 자세한 정보는 서울시립미술관 홈페이지(sema.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1 타이틀 매치_전시 전경
기획의 글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은 매년 ‘타이틀 매치’라는 이름으로 두 명의 작가를 초대해 전시를 연다. 지난 7년간 ‘타이틀 매치’는 경쟁을 함의하는 자신의 이름을 깨부수고 새롭게 정의하며 2인전이라는 전시 형식을 다양하게 실험하고 있다.
올해도 예년처럼 두 사람이 만났다. 한 사람은 미술가이고 다른 사람은 음악가이다. 이번 타이틀 매치는 두 사람의 조화나 통합보다는 둘 사이의 거리를 드러내 본다. 가깝고도 먼 거리를 두고 만난 두 사람이 함께 그려내는 이야기를 전시라는 무대 위에 펼쳐 보이고자 한다. 다르기 때문에 가능한 서로에 대한 집중과 존중의 태도는 자연스럽게 무대 밖 다른 존재들에 대한 성찰로 이어질 것이라 믿는다. 물과 기름의 불화로 그려진 마블링처럼, 두 사람의 작품 세계가 엉키며 공생하는 상상의 영토로 초대한다.
임민욱은 퍼포먼스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설치와 일상 오브제를 조각으로 만들어 내는 미디어 아티스트라고 불리지만, 정작 화면 위에 다차원의 시공간을 구축해 넣는 방식에 골몰하는 화가의 태도를 일관되게 견지해 왔다. 이 태도는 매체를 넘나들며 공동체와 기억의 문제, 장소와 존재의 관계를 탐구하면서 근대성과 정체성에 대해 던지는 포괄적인 질문으로 이어지고 있다.
장영규는 영화, 무용, 연극, 현대미술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음악가이다. 비빙과 씽씽에 이어 밴드 이날치를 이끌며 전통 음악의 새로운 가능성을 향한 실험을 지속하고 있다. 두 작가는 사라지는 것들, 눈에 보이거나 들리지 않지만 이어지는 것들에 관심을 가지며 다른 시간대의 공존에 주목해 왔다. 전통과 근대에 대한 예술과 문화 사이의 괴리와 문제의식을 공유해 오고 있던 두 사람은, 사라지는 매체와 목소리, 역사와 환경으로부터 파생된 시간의 조각들을 비선형적으로 재구성해 본다. 의심과 추측을 통해 잔존하는 것들에서 나타나는 징후를 포착하고, 이를 단서로 미래의 새로운 가능성을 암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 재구성의 원리로 두 사람은 교대라는 단어를 제안한다. 기능적인 관점으로 시간을 다루는 교체와 다르게, 교대는 순환과 공존의 의미를 담고 있다. 두 사람은 교대라는 단어를 전면에 내세워 무엇이 변하고 움직이는지, 혹은 변하지 않는지를 추적하며 공간과 시간에 대한 관점을 다중화한다.
우선 임민욱은 하찮은 것과 고귀한 것, 성스러운 것과 세속적인 것 등 상반된 가치로 여겨지는 부분들을 ‘절합’하여, 고착화를 지연시키고 그 빈틈을 응시할 수 있는 작동 모델로 교대를 상정한다. 이를테면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옆에 위치한 별 광장에서 927년 신라 시대 어느 하루, 제식이 중단되고 언어가 멈춘, 빛과 어둠이 겹쳐지는 ‘개와 늑대의 시간’을 떠올려 본다. 전복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는 포석정의 석축 구조를 빌려와 틀을 만들고 기억의 사물과 물질로 채운 뒤 다시 해체해서 단면들을 보여준다.
물길이 끊어진 포석정은 능동도 수동도 의미 없는, 과정과 우연만이 각각의 모습을 드러내며 미지의 영역으로 풀려나게 하는 한편, 다시 한발자국 물러서서 경직되지 않는 유동하는 힘들을 우리가 주시하도록 한다. 이처럼 임민욱은 근대적 사고에 의해 시간과 공간으로 은폐되었던 장소에 대한 사유를 통해, 운동성의 한계와 이분법적 사고의 구조를 돌파하여 위기에 놓인 관계들을 미완의 구조로 살려내곤 한다.
장영규는 전통 음악의 전승과 변화 과정에 주목해 판소리 명창 스승과 제자 사이에 주고받던 노래와 이야기가 담긴 전수 카세트테이프 음원을 전시한다. 그의 작업은 소리의 기록과 저장을 가능하게 한 매체가 복사와 반복 재생을 통해 변형되고 변질될 수 있음을 암시하며, 완벽한 전통의 복제라는 신화에 균열을 낸다. 전승 음원을 잘게 잘라 샘플링해 만든 신작은 전통 음악에 생동감을 불어넣어 주면서, 전통을 화석화하지 않고 능동적으로 현재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상상하도록 한다.
사실 교대는 김민기의 노래극 <공장의 불빛>에 나오는 노래의 제목이기도 하다. 1978년 <공장의 불빛>은 2만여 개의 녹음테이프 사본으로 제작되어 세상에 퍼져 나갔다. 당시 열악한 노동 환경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에게 “낙심하지 말고 찬란한 내일을 우리 스스로 만들어 가자”고 독려했던 <공장의 불빛>은 깜깜한 밤 작은 별과도 같았다. 이 노래를 2021년 가을, 끝나지 않을 것 같은 팬데믹 속에서 임민욱과 장영규가 전시장 안에 다시 꺼내어 놓았다. 그러므로 이번 전시는 어쩌면 교대 그 자체에 대한 노래라기보다는 교대의 시간, 그 틈 사이에서 빛나는 별밤을 같이 기억하고자 청하는 돌림노래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임민욱, 나무는, 간다, 2021, 혼합 매체, 가변 크기
임민욱, 두두물물, 2021, 혼합 매체, 가변 크기
임민욱, 드림랜드, 2021, 혼합 매체, 가변 크기
임민욱, 불의 마음, 2021, 혼합 매체, 가변 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