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호 2022년 장지에 혼합채색
작가노트
작품을 논하기 이전에 작가로 살아남음이 우선하던 지난날을 돌아본다. 그렇게 나의 작품은 살아남기 위해 만들어야 했던 증명서 같은 그런 것이다. 그러나 당당히 못 내미는 스리슬쩍 내미는 그런 것이다. 등 떠 민사람 없고, 오로지 나만을 위한 선택이고 삶이여야 했겠지만 실상 고단하고 불안하며 비루하고 캄캄한 나날이어서 암울했던 기억들로 가득하다. 그래서 이런 것이 나의 작품에 그대로 묻어있겠구나 싶다.
그저 열심히 그리 고, 또 그리 고, 맨날 그리 면 뭐라도 될 것 같았던 무지했던 시기도 있었고 빌고, 또 빌고, 사정하면 뭐라도 들어줄 것 같았던 맹목의 그런 시기도 있었다. 그리기에 익숙해진 손은 그리면서 세월을 소거하고 맹목적 기원은 허공에 붓질하듯 허무하기 이를 때 없다. 눈으로 보고도 알지 못하고, 귀로 듣고도 알아듣지 못하는 망각의 나날들 이제야 눈을 뜨고 귀를 열어 무지와 맹목의 지난날을 돌아보게 된다.
나의 작업은 그런 세월위에 올라서 있다. 허무했던 붓질은 나의 몸이 감각했던 시간의 무게를 고스란히 담고 있고, 하염없이 맹목적이던 믿음은 기민하게 조짐을 읽어 낸다. 꿈속을 해매이다 깨어나 기억을 더듬고 짜내어 뭐라도 쓰 내려가듯, 손을 통해 내려진 수많은 선들은 몽롱했던 꿈의 기억 속 그림자를 형상으로 드러낸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인의 모습은 현실 속 여인인 듯 꿈속의 여인인 듯 명료하지 않다. 그리기를 반복하지만 그 끝은 도식화된 기호로 굳어진다. 나에게 있어서 여인의 형상은 작품을 이어나갈 가장 강력한 예술적 충동의 방아쇠와 같다. 몰입을 유지해 주고 표현의지를 자극하는 힘의 원천이며 끈임 없이 기억의 파편들을 화폭 속으로 쏟아내게 도와준다. 본래 영감을 주는 인물의 묘사는 심미감과 호기심이란 감각적 욕구의 결과인 것에 명백하지만 작품에 들어나는 여인의 형상은 심미적 강박 또는 욕망을 표상한다. 스스로 보건데 기호로서의 인물은 결과적으로 아름다움이란 기표에 거쳐 감상자와 소통은 가능하되 깊은 교감은 불가능하지 싶기도 하다. 오히려 배경을 가득 매운 식물(자연)이미지에 감성적 교감의 가능성을 보는 아이러니함이 나의 작품 속에서 발생하는 건 아닐까?
“모델 같은 여자의 이미지는 현실에 대해 어떤 것도 말하지 않는다. 그저 욕망 그 자체를 보일뿐이다. 개별성이 없는 세계는 볼거리로 내몰리고 볼거리는 자신의 눈, 주체의 시선을 그곳에서 없애는 것이다. 타자의 눈, 욕망만이 그곳에 있음을 보인다. 그가 던지는 메시지는 우리의 욕망, 구름이아니라 물기로 우리에게 스며들다 사라지고 말 현실의 잉여가 아니겠는가. 그가 보여주는 여자들 앞에서 알 수 없는 쓸쓸함의 정체는 이런 것이 아닐까.”
- 강선학(2019), 불의 우울, 부산대학교 출판문화원, p.325.
기운이란 것과 표정이란 감상은 나의 작품 속 전통적 필선이 가진 기운생동의 아이콘과 연결점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또한 한국화를 전공한 탓도 있겠지만 전통회화에서 가져온 몇몇 도상들(구름, 소나무, 바위 등)과 변형된 기호들(운문, 수문 등)을 본래의 서사구조에서 도려내어 콜라주 하고 이어 붙이면 제법 생경한 의미로 자리 잡게 된다. 결과적으로 전통적 감상의 아이콘과 구조적 생경함이 도식화된 인물의 건조함을 힘겹게 떠받친다.
인물화뿐만 아니라 몇 개의 풍경화는 ‘산수’를 반영하여 제작한 작품들이다. 예로부터 산수화는 산(자연)을 사생한 그림이 아니라 산을 바라보는 인간의 모습(마음)을 산과 물의 이미지로 나타낸 관념회화이다. 동양에선 인간도 자연의 일부이며 인간이 자연으로서 자연을 마주보는 동질적 관점을 산수로 표현한 것이라 했다. 그래서 나의 그림에 등장하는 산과 나무들은 인간 또는 인간 군상들을 그린 것이라 말 할 수 있다.
이번 전시에 출품된 작품들은 대부분 일상 속 불안감(憂患) 또는 길상(吉祥) “좋은예감”에 대한 소망과 벽사 (僻邪) “나쁜 기운을 막다”의 기대감 등의 다양한 직감적 기운들을 주제로 그려진 작품들이다. 징조(SIGN)라는 주제로 다가올 미래에 대한 기대감과 불안감등을 예지몽(豫知夢)의 형태로 표현한 작품들이다. 예지몽이란 다가올 미래의 일을 꿈속에서 예견하는 형태로 일상적이지 않은 기괴한 상황이 펼쳐진다. 여기에는 다양한 패턴이 존재하고 각각의 해석이 따라온다. 그 해석으로 미래를 예견하는 구조의 꿈에 대한 해몽이다. 다만 이것에 대한 진위여부는 증명할 수 없다. 그래서 그것의 구조만 차용해서 작품에 반영한 것이다. 이와 같은 일상 속 심리상태를 기대감과 불안감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구성하고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풀어나간 작품들이 이번 전시에 출품된다.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