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아카이브 리듬 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아카이브 리듬

전시 기간
2023-07-21 ~ 2023-10-29

전시 장소
경남도립미술관 1·2층 1~3전시실


전시의 제목을 이루는 ‘아카이브’는 그리스어 ‘아르케’에 어원을 두고 있으며 ‘시작’과 ‘명령’의 뜻을 동시에 지닌다. ’원시적이며 근원적인, 최초의 것‘이자 ’인위적이고 규제적인 질서‘의 이중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아카이브‘의 사회적 조건은 물리적, 역사적, 존재론적으로 유의미한 가치가 있는 ’기록물‘이면서, 이를 수집, 연구, 보존하여 이용객들에게 제공하는 장소를 포함한다. 미술관에서 주로 다루는 ‘미술 아카이브’는 미술 또는 미술 활동과 관련된 각종 사건과 사실, 미술인과 그 주변에 관한 기록물 혹은 장소를 말한다. 미술 아카이브의 일반적인 유형으로는 작가노트를 비롯한, 사진, 영상, 메모, 편지, 브로슈어, 신문, 잡지, 도서 등이 될 수 있으나 아카이빙 주체의 가치 지향점에 따라 그 기본 구성의 방향과 구체적인 유형들이 결정될 수 있다.

2008년 오쿠이 엔위저가 기획한 전시 <아카이브 열병 : 현대미술의 도큐먼트 사용>이후 ‘아카이브’는 현대미술 전시의 형식과 매체로 흔히 활용되고 있다. 현재 미술을 포함한 예술의 영역에서 유행을 넘어 이제는 익숙해진 ‘아카이브’에 대한 관심은 무엇으로부터 비롯되었을까? 데리다의「아카이브 열병」(1996)에서는 근대(산업혁명, 개인존중, 민주주의, 자본주의) 이후 아카이브를 향한 강박적이고 반복적인 욕망이 가속화되었음을 지적하고 이와 같은 현상을, 기억의 부재를 보상받으려는 징후로 읽어낸다. ‘아카이브’에 대한 여러 논의에서 반복적으로 선언하듯 ‘기억’의 부재를 ‘기록’으로 보완하려는 욕망은 동시대 미술관의 ‘미술 아카이브’에서 어떤 방법론(장치)을 통해 유의미해질 수 있을까? 

20세기 이후 현대미술은 전통적인 회화나 조각과 같은 장르의 해체, 즉 오브제, 영상, 퍼포먼스, 설치, 개념 등 그 유형이 복합적으로 전개되었으며 이는 미술 아카이브의 유형까지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게 한다. 이에 동시대 미술관은 무엇을 어떻게 아카이빙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으로부터 출발하는 「아카이브 리듬」은 2000년 이후부터 국내 미술관이 적극적으로 주목하고 있는 ‘미술 아카이브‘에 대한 논의의 일부를 전시의 형식을 통해 다루어보고자 한다. 전시는 궁극적으로 동시대 미술관으로서 경남도립미술관이 현대미술을 어떻게 아카이빙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 되겠지만, 질문에 앞서 ’미술 아카이브‘가 무엇인지, 또한 그것은 어떤 잠재적 가능성을 가질 수 있으며, 어떤 형식으로 가시화될 수 있는지 살피려 한다. 

어떤 측면에서, 무한할 수밖에 없는 ’아카이브‘에 한계와 경계를 설정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여 관리, 보존할 수 있는 완벽한 해결책은 없을 것이다. 다만 이번 전시에서 이건용, 안규철, 방정아의 작품세계를 통해, 이들의 ’미술 아카이브‘의 한계와 경계를 잠정적으로 결정하고 선점해봄으로써 ’미술 아카이브‘가 작가의 작업 스타일과 철학, 작품을 구성하는 요소에 따라 어떻게 조정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에 따른 아카이빙의 다양한 접근방식은 무엇인지 제안하고 논의해보고자 한다. 아울러 전통적인 예술 이론이 주장해 온 작품의 조건을 재 사유하며 동시에 전시된(수집된) ’미술 아카이브‘들 사이에 성립되는 문맥을 통해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이야기 그리고 누락된 이야기를 찾아 낼 수 있기를 바란다. 

한편 이번 전시가 경남도립미술관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 기반이 될 수 있는 ’미술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필요성을 복기하고 그에 따른 방법론을 연구할 수 있는 하나의 단초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