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산문화회관기획 전시공모 선정작가展
2024 유리상자-아트스타Ⅰ 신예진
열 명의 나무 가운데 한 아이가 있어요
◊ 전시 개요
전 시 명 : 2024 유리상자-아트스타Ⅰ 신예진
열 명의 나무 가운데 한 아이가 있어요
전 시 기 간 : 2024. 1. 19.(금) ~ 3. 24.(일) ※월요일, 설연휴 전시 없음
작 가 만 남 : 2024. 1. 19.(금) 17:00
시민참여 워크숍 : 2024. 3. 2.(토) 15:00
장 소 : 봉산문화회관 2층 아트스페이스
코디네이터 : 공도영 barlog09@naver.com
기 획 : 봉산문화회관
페이스북(bongsanart), 인스타그램(bongsanart_), 트위터(@bongsanart)
◊ 시민참여 워크숍
제 목 : 말랑말랑 숨 쉬고 있는 자연 - 오브제 콜라주
일 시 : 3월 2일 토요일 오후 3시
장 소 : 2층 아트스페이스
내 용 : 작가가 상상한 숲의 이미지를 드로잉해둔 도화지에 크레파스, 색연필로 그림을 그린다.
그림을 오리고 그 위에 여러 자연물의 이미지를 콜라주 한다.
참여자들의 작품을 이어 붙여서 새로운 숲을 만든다.
2008년부터 이어진 봉산문화회관 기획 「2024 유리상자-아트스타」 전시공모선정 작가展은 동시대 예술의 새로운 시각과 담론을 보여주고자 합니다. 이 전시는 봉산문화회관만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공간인 유리상자(아트스페이스)에서 펼쳐집니다. 사면이 유리로 이루어진 유리상자는 미술관의 화이트큐브와 같이 폐쇄적인 공간이 아니라 외부에서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구조로, 설치된 작품을 언제든지 관람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람객에게 열려있는 생활 속 예술공간입니다.
‘유리상자-아트스타’는 이러한 유리상자의 특성을 이용해 현대미술의 다양성을 담을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기획된 프로그램으로, 작품의 형태와 형식의 제한과 한계를 넘을 수 있도록 작가의 실험정신을 북돋아 실험적인 미술작품을 창작하는 공간의 역할을 다하고자 합니다. 앞으로도 지역의 경계 없이 역량 있는 작가들이 누구나 참여해 참신한 작품을 선보일 수 있는 전국공모 예술가지원프로그램으로 성장시킬 것입니다.
2024년 유리상자 전시 공모작 첫 번째 전시, 유리상자-아트스타 | 에서는 신예진 작가의 ‘열 명의 나무 가운데 한 아이가 있어요’을 선보입니다. 2022년 공모 주제 ‘공간으로부터’에 대해 작가는 숲속 생명체들과 교감하던 어린 시절 자연에 대한 기억을 바탕으로 현대 도시의 산업화, 재개발 같은 폭력적인 환경 속에서 진화하게 될 미래 자연의 형태를 글라스 큐브에 박제하는 방법으로 공모하였습니다.
전시실 바닥 제기(祭器) 형태를 가진 백자 더미는 나무나 돌과 같은 원석으로 보이고 그 위에 개구리, 나비 등을 전사한 후 하나하나 ‘돌 위에 나무, 나무 위에 돌’로 쌓아 산을 짓습니다. 이렇게 쌓인 세라믹 탑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을 그리며 열주를 이루고, 그 중심에 우직하게 서 있는 나무 하나는 기계장치를 그 핵심부인 밑동에 품어 스스로 진화해 다시금 수천 년의 세월을 버티려고 합니다. 엔진 장치를 이식받아 위협적인 모습을 한 미래의 나무는 양분을 저장하고 퍼트리는 일을 더 잘 하는 우월한 어머니 나무가 되었습니다. 삼림생태학 교수 수잔 시마드(Suzanne Simard)의 ‘어머니 나무는 자신의 자녀들이 유리한 위치에서 시작하도록 출발선을 당겨 주지만, 자손을 위해 마을이 번창하도록 가꾸는 일도 잊지 않는다.’라는 말을 시각화하였으며, 전시 공간 안에 우드 와이드 웹(The Wood-Wide-Web) 을 설계하여 숲을 조성했습니다. 전체적인 모습은 장승과 노거수를 옆에 두고 돌무더기에 서낭신을 모시는 서낭당과 닮아 다음 세대에도 취람(翠嵐)이 지속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제단을 쌓은 듯합니다. 내부에는 산란기의 개구리 울음소리가 번성(蕃盛)을 기원하는 주술처럼 퍼지고 관람객은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시 공간 안에 여백을 포그(안개)로 채워 신성한 공간을 감상하는 방법으로 제단 쌓기에 동참하기를 유도합니다. 열 명의 나무가 경쟁이 아닌 연결성과 소통으로 서로를 잘 보살펴 숲을 이룬 것처럼, 자원을 독식하는 우리의 모습을 반성하고 자연과 인간이 관계를 유지하며 서로를 보살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기를 제안 합니다.
봉산문화회관 큐레이터 김영숙
열 명의 나무 가운데 한 아이가 있어요, 500×480×510cm,
백자 위에 전사, 훼손된 자연 오브제, 내연기관디젤 엔진 및 부속 등, 2024
◊ 작가 노트
사람들이 자주 지나다니는 땅에는 풀이 자라지 않는다. 풀이 없어진 땅에는 더 단단한 형태로 포장된 길, 그리고 새로운 도시가 만들어지고 더 이상풀이 자라날 수 없는 곳이 되어 버린다. 만약 이러한 인간적인 환경 속에서 주변으로 밀려나게 된 자연물들이 인간이 그래왔듯이 산업 문명을 받아들인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자가-재생산의 과정을 거쳐 기계적인 조직화를 이루는 형태를 가지게 된 어떤 개체들은 무너지지 않을 정도의 단단한 금속을 두르게 되고, 기계부품을 적절히 활용하여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형태를 보이게 될 것이다. 혹은 자기 보호시스템을 갖춘 공격적인 형태를 가지게 된 개체가 나올지도 모르겠다. 전시는 이런 상상에서 비롯된 개체를 숭배하는 제단을 만드는 것으로 시작한다.
전시장 한가운데에는 거대하게 박제되어 명확히 어떤 것인지 설명할 수 없는 존재가 마치 실재하는 나무의 형상으로 보이다가도 생물의 한 부분 같기도 한, 알 수 없는 형태로 설치된다. 자연사 박물관에 있던 공룡의 뼈대를 감상하며 그 뼈대 위에 살을 붙이고 생명을 불어넣던 어린아이의 마음으로 설치된 대형작품은 가동을 기다리며 숨죽이고 있는 미지의 생명을 연상하게 한다. 그 주변에는 백자 입방체로 제작된 나무와 돌들을 하나하나 쌓아 올린 세라믹 타워가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을 그리며 나열해 있다. 마치 자연물들이 모여 새로운 탄생을 축하하는 모습을 연출한 작품은 자연이 스스로 만든 신전이나 제단의 형태로도 보인다. 신도들에게 은혜를 내리는 듯, 연출된 빛의 움직임이 전시장 이곳저곳을 움직이며 비춘다. 그리고 찬송 같기도 하고, 기도 같기도 한 이해할 수 없는 소리가 공간을 채우고 있다.
이제 주변으로 밀려난 자연은 스스로 신물이 되어 그 힘을 공고히 하고 새로운 의지를 가지고 인간과의 관계를 재설정하려고 한다. 우리는 코로나시기를 겪으면서 인간에게 위협적인 태도를 취하는 자연을 바라보며 그저 묵도할 수밖에 없었다. 코로나 이전, 일방적으로 자연을 훼손하던 우리들에게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원론적인 고민과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 온 것이다. 이제까지 자연의 적극적인 반발 없이 인간의 선택으로 이루어진 현재는 그 선택권이 자연에게 돌아가 그들이 자신만을 위한 선택을 하게 되는 순간, 모든 것이 변할지도 모른다.
이 전시를 통해 “자연이 인간과의 관계를 지속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계문명을 받아들인다면?” 이라는 질문을 던지고 현재의 우리가 자연과의 미래를 생각할 때 해야 할 근본적인 문제와 답을 함께 고민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작가 신예진
열 명의 나무 가운데 한 아이가 있어요, 500×480×510cm,
백자 위에 전사, 훼손된 자연 오브제, 내연기관디젤 엔진 및 부속 등, 2024
◊ 작품 평문
숭고한 도시생태학- 상상의 도시/숲
유리 상자 안에는 작가 신예진이 상상으로 일군 신화의 세계로 가득하다. 전시장 중앙에 뿌리를 드러낸 채 육중한 자동차 엔진을 안고 거꾸로 매달린 거대한 나무, 그 주위로 높거나 낮게 쌓아 올린 하얀 도자기 탑, 포그머신을 통해 바닥을 잠식하면서 뿜어져 나온 운무 효과, 그것들을 비추는 강렬하거나 은은한 조명, 전시장에 흐르는 형언할 수 없는 신묘한 사운드!
신예진의 설치 작업은 그것 자체로 동시대에 구현하는 ‘도시/숲’이라는 거대한 신전이 된다. 도시/숲? 신전? 작가가 기계 덩어리를 뿌리로 감싸 안은 ‘서낭당의 신수(神樹)’를 중심으로 신령한 도자기들이 거대한 우주의 궤도를 따라 집적, 도열한 듯한 ‘도시이자 숲’인 낯선 풍경을 만들어 시원(始原)의 성소(聖所)로 변환하고 있기 때문이다.
작품을 보자. 신의 노여움을 받은 것이겠지? 마치 형벌처럼 나무뿌리가 머리를 든 채 중력을 거스른 상태로 매달렸으니까. 아니야! 신의 자비를 받은 것이지! 기계 심장을 안고 부활한 저 나무를 보면 알 수 있어. 그래? 그런데 인간이 왜 신에 저항하지? 백색 도자기들이 하늘을 향해 집적되면서 신에 대항하는 바벨탑처럼 올라가고 있잖아. 아니, 아니라고! 신께 경배드리는 거라고! 그건 바벨탑이 아니라 인간의 최고 산물인 예술품들을 구슬처럼 하나의 바늘에 꿰어 쌓아 올린 숭고한 재단이란 말이야.
관람객마다 각기 달리 보이는 신예진의 전시는 신과 인간이, 자연과 도시가, 상상과 현실이 그리고 과거-현재-미래가 하나로 맞닥뜨리는 심리적 장소성을 획득한다. 그녀가 ‘우뚝 솟아있는 나무들이 가득한 산’을 맞닥뜨렸던 어린 시절의 강렬했던 경험과 기억을 ‘지금, 여기’에 상상력으로 소환하고 있는 까닭이다. 우리는 안다. 상상, 상상력이란 과거의 기억을 통해 축적된 현실에서 작동하는 ‘꿈꾸기’라는 것을 말이다. 당시 어린 소녀는 ‘스스로 그러하다’는 자연(自然)의 한자 의미처럼 산의 풍경을 자생적인 것으로 이해하는 대신 “누군가 나무와 돌을 켜켜이 쌓아 올렸다”라고 하는 동화적 상상의 나래를 펼쳤을 것이다. 어린 소녀에게는 ‘산’이란 모든 자연물에 정령이 있다는 애니미즘 대신 산신 혹은 거인이 만든 창조물로 이해되었으리라.
베르그송(Henri Bergson)에 따르면, 과거로부터 발원하고 현재에 인식되는 ‘이미지-기억(souvenir-image)’이란 어떠한 작위적인 노력 없이 강렬한 경험으로 인해 저절로 인간 주체에게 보존되었다가, 현재의 자극이나 요청에 따라 자유롭게 이미지 형태로 떠오르는 기억이다. 그것은 ‘머리로는 어렴풋하지만, 가슴으로 선명한’, ‘순수 기억’(mémoire purifiée)으로 남아 미래를 향해 지속하는 현재를 살아가는 주체가 된다. 작가 신예진이 어린 시절의 경험을 ‘이미지 기억’, ‘순수 기억’으로 떠올려 현실화하는 동화적 상상은 이질성(heterogeneity)이 한 덩어리로 만나는 ‘이미지 복합체’로 구현된다. 즉 신령한 신과 욕망 가득한 인간이, 알레고리가 가득한 신화와 은유로 가득한 동화가, 원초적 자연과 인공적 도시가 그리고 무한한 상상과 유한한 현실이 신예진의 작품 안팎에서 시공간적 만남을 지속한다. 그것은 과거를 먹고 사는 현재가 미래를 향해 펼치는 무한의 상상이다.
여기서 생각해 볼 것은, 작가 신예진이 던지는 다음과 같은 문제 제기가 오늘날 사회생태학(Social ecology) 담론과 긴밀히 연동되어 있다는 사실에 관한 것이다. 즉 “자연이 인간과의 관계를 지속하는 방법으로 기계문명을 받아들인다면?”이라는 질문과 더불어 “산과 숲의 황폐화 과정을 거꾸로 해석하여 기존의 도시를 개간하고 다시 자연으로 회귀할 수 있는 방법론”이 무엇인지를 상상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간략히 말해 인간과 인공으로부터 사회생태학적 사유를 성찰하는 것이다.
사회생태학이란 기존의 심층생태학(Deep ecology), 정신생태학(Spiritual ecology)이 주창해 온 ‘생물 중심적 평등주의(biocentric egalitarianism)’, ‘반인간중심주의’ 및 ‘반이성주의적 접근’에 대해 비판하면서 인간의 이성을 회복시키는 관점의 생태학이다. 즉 사회생태학은 환경 대재난의 시대에서 인간의 이성은 거부될 것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 모두를 위해 더욱 진보시켜야 할 무엇으로 간주하는 시도가 된다. 그래서 머천트(Carolyn Merchant)나 북친(Murray Bookchin)의 주장처럼, 사회생태학은 ‘자연과 인간의 상호 작용’ 뿐만 아니라 사회적 실천을 화두로 ‘인간의 인간 지배의 역사’마저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군국주의, 자본주의, 산업주의 등 인간 욕망이 낳은 사회 맥락 속 생태적 위기까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그렇다. 작가 신예진이 인공의 유리 상자가 설치된 문명의 현실계 안으로 어린 시절의 기억을 소환해서 구현한 자연 풍경은 ‘산업 문명을 받아들인 자연’을 가정하고 그것이 어떻게 변화할 수 있을지를 무한대로 상상하고 실험하는 사회생태학적 사유의 장이 된다. 자연목, 자연의 디지털 이미지가 새겨진 세라믹, 도형과 입방체로 전환된 자연, 나무의 심장처럼 자리한 자동차 엔진, 조명, 안개 장치와 더불어 신묘한 사운드 장치로 구현된 숭고한 제단 형식은 이러한 사유를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이러한 차원에서 ‘상상의 도시/숲’을 구현하는 신예진의 전시는 자연 이미지를 인공의 사회적 맥락 속에 가져와 오늘날 사회생태학적 담론을 성취하는 ‘숭고한 도시생태학’이라고 평가할 만하다.
미술평론가 김성호
열 명의 나무 가운데 한 아이가 있어요, 500×480×510cm,
백자 위에 전사, 훼손된 자연 오브제, 내연기관디젤 엔진 및 부속 등, 2024
◊ 작가 프로필
신예진 辛叡鎭 Shin Yejin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조소과 졸업
국립 창원대학교 미술학과 졸업
개인전
2024 [유리상자-아트스타] 열 명의 나무 가운데 한 아이가 있어요, 봉산문화회관, 대구
2023 자연선택 ∘∴∥∥라는 생물이 ∘⨀⊸∩하게 진화했다, 박수근미술관, 양구
2022 자연13BL 지역 재개발. 정비사업 프로젝트 : Pre-Design,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김해
2021 자연(自然)스러운 설계, 김해문화의전당 윤슬미술관, 김해
2013 감촉의 또 다른 시선, 갤러리 이즈, 서울
2012 감각의 시간 - 감촉으로 재구성한 사물, 갤러리비원, 서울
단체전
2022 ARIST SHOWOOM, 경남도민의집/도지사관사, 창원
파트론기획전 ‘자연의 심장박동’, 파트론디지털센터, 서울
산림단지 조성을 위한 바람직한 증식법, 평택문화원/웃다리문화촌, 평택
2021 닷 닷 다앗 – 도시예술프로젝트, 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 원주
감각의 정원, 평택문화원/웃다리문화촌, 평택
DMZ문화예술삼매경-Re:MAKER, 강원문화재단/명파비치하우스, 고성
Plat Flat - 평면 속 입체작품을 만나다, 서정아트센터 × CGV(판교), 성남
2020 ‘K-auction’Preview, 케이옥션아트타워, 서울
창원조각비엔날레-비 조각: 가볍거나 유연하거나, 창원성산아트홀, 창원
2019 항구도시의 만남-동시이역, 523KunstDoc, 부산
비 조각 프롤로그-가볍거나 유연하거나, 창원성산아트홀, 창원
창원아시아미술제-상상피크닉, 창원성산아트홀, 창원
정∙중∙동-조용한 가운데 움직임, 김해문화의전당/의정부예술의전당, 김해/의정부
2018 The Next Big Movement, KIMI ART, 서울
김해서부문화센터개관기념전-언더그라운드展, 김해서부문화센터, 김해
INTERCITY-경계의무늬, 김해문화의전당/안산단원미술관, 김해/안산
GIAF-광화문국제아트페스티벌, 세종문화회관, 서울
2017 POSCO the great artist, 포스코미술관, 서울
Emergent Property, KIMI ART, 서울
AKUA ART SHOW NEWYORK, MOKAH MUSEUM, NEWYORK
조형, 의미와 형태, 국립아시아문화의전당, 광주
산수심원기, 서호미술관, 남양주
서울국제기획초대작품전-다문화 조형의 산책, 예술의전당, 서울
그 외 70여회
레지던시
2023 가나아뜰리에 입주작가
2022-2023 박수근미술관 - 창작스튜디오 17기 입주작가
2020-2021 클레이아크미술관 - 세라믹창작센터 레지던시 입주작가
수상 및 선정
2020-2021 김해문화의전당 - NEW FACE in GIMHAE 선정
2018 세종문화회관 - GIAF 올해의작가 선정
2017 포스코미술관 - POSCO the great artist 선정
키미아트 - 2017 KIMI for YOU 선정
syj342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