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SeMA 옴니버스: 공용공간프로젝트 커플링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SeMA 공용공간 프로젝트 《커플링》


SeMA 공용공간 프로젝트 《커플링》은 서소문본관 파사드를 비롯한 1층 로비 등 공용 공간에 설치되는 유망작가 3인의 공간 커미션 프로젝트로 일상과 자연, 환영과 기억, 진실과 아이러니와 같은 작업의 화두를 동시대 감수성의 접점에서 풀어냅니다. 현대인의 삶 속에서 일상과 예술을 연결하면서도 예술적 (비)쓸모로 전환시키는 공간 프로젝트를 통해 동시대 현대미술의 보다 유연한 확장을 시도합니다.


커플링 프로젝트_이원우, 세상에서 가장 진실한 입, 2024

○ 이원우, 〈세상에서 가장 진실한 입〉(2024) 삶에서 찾은 유머의 코드를 활용해 익숙한 현실에 가벼운 균열을 내고자 하는 이원우는 끊임없이 관람객의 일상에 개입하고 그것을 환기시키는 "상황의 조각"을 통해 조각 아닌 것으로 조각을 합니다. 설치, 조각, 퍼포먼스, 영상 등 다매체를 활용해 불확실한 미래에서 느끼는 현대인의 불안을 블랙 유머와 위트, 그리고 아이러니로 전환시키는 작업을 선보여왔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진실한 입〉은 영화 '로마의 휴일'에 등장하는 진실의 입 석상을 모티브로 하는 작업으로, 서울시립미술관의 가장 큰 건축적인 특징인 고전적인 파사드 아치로부터 영감을 받아 관객의 동선 자체를 작업으로 끌어들이면서 장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환기를 만들어냅니다. 관객이 조각의 입 속을 통해 무대 뒤편의 퍼포머(혹은 또 다른 참여자)와 펼치는 퍼포먼스 '당신의 진실을 아름답게 만드세요'를 통해 우리 각자가 가진 아름다움의 진실에 다가가도록 하는 발견의 기쁨과 소소한 위로의 상호작용을 이끌어냅니다. 이것은 보다 본질적으로 현대인들에게 예술 작품이나 미술관이 주는 의미와 역할에 대한 질문으로 확장됩니다.





○ 장종완, 〈기둥사이의 예언〉, 〈날으는 전단지〉, 〈농부의 꼬리〉, 〈매달린 행복〉, 〈메론 버섯들〉(2024)
이기적인 합리성을 강조하는 인간 중심의 사회에서 여전히 끝없는 불안감과 공허함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현대 인류에 주목하는 장종완은 특유의 따뜻하지만 냉소적인 시각으로 인위적인 세련됨이 없는 키치적인 방식의 회화를 선보입니다. 작가 자신이 만들어낸 우화 속에는 구원에 대한 인간의 간절한 바람, 맹목적이며 광기 어린 믿음, 그렇지만 결국 다시 되돌아오는 현실의 불안과 마주하게 될 때의 괴리감을 마주하게 합니다. 그에게 유토피아는 희망적인 아름다움만으로 가득 찬 낙원이 아닌 인간들의 부질없는 욕망이 탄생시킨 허망한 상상의 파편으로 기능합니다. 〈기둥사이의 예언〉, 〈날으는 전단지〉, 〈농부의 꼬리〉, 〈매달린 행복〉, 〈메론 버섯들〉은 여우, 족제비 등과 같은 동물의 오브제와 가죽 내피에 그린 '가죽 회화'가 미술관 곳곳에서 낯선 오브제가 되어 관람객들과 만나게 함으로써 어떤 이상향, 유토피아에 대한 약속을 향한 믿음과 대비되는 거대한 사회와 권력 속에서 느끼는 개인의 불안과 내재된 잔인함이 동시에 펼쳐지는 헤테로토피아가 선사하는 서늘한 즐거움의 아이러니를 경험하게 하는 작품입니다.








커플링 프로젝트_최수정, 여행으로의 초대, 2024

○ 최수정, 〈여행으로의 초대: 매디슨카운티 X_파란돌사막 1999〉(2024)

캔버스라는 전통적 회화의 조건과 그것을 넘어서기 위한 회화적 방식들에 대한 실험을 시도하는 최수정은 표면 위의 물리적 이미지인 회화를 통해 그 표면 너머를 볼 수 있는 기억과 서사를 자극하고, 회화와 공간, 서사와 서사를 작동시키는 이미지 사이를 탐구해왔습니다. 〈여행으로의 초대_매디슨카운티 X〉는 RGB 삼원색을 통해 잊히지 않는 아름다움과 강렬한 경험에 대한 작업이자, 기억에 대한 기념비로 제시했던 삼면화 〈매디슨 카운티 X〉의 모티브를 서울시립미술관 우측 로비공간에 공간적으로 확장하여 새롭게 제시하는 작업입니다. 회화의 표면에 바느질되어 반짝이는 색실들은 회화 속 엑스(X) 형태를 따라 서울시립미술관의 철망으로 확장되어 직조되고, 기억의 에너지를 시각적으로 구현하여 실재화 시킵니다. 허구와 실재를 연결하는 다리로서의 실은 그림 안에서 시작해서 철 메시 망을 지지체로 확산되고, 미술관 통풍 공간은 하나의 유리 식물원처럼 회절 필름과 인공 선인장을 설치해서 빛의 변화에 따른 공간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끝없이 변화하는 인간의 복잡한 감정과 기억 그리고 관계의 본질에 대해 질문합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