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허스토리 HerStories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HerStories 허스토리

-『한국사회와 여성사진가』 아카이브전-


기획: 이필

어시스턴트: 서민경

주관: 눈빛출판사 

후원: 인덱스갤러리



I. 전시 개요

《허·스토리 HerStories》는 한국 여성사진가들이 기존의 역사적 관점과는 다른 시각에서 한국 사회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사진 이야기’ 전이다.

작가들의 작업과 사진집, 기획자의 저서 『한국사회와 여성사진가』에 담긴 글귀 등을 통해 한국현대미술을 이끄는 여성 사진가들의 작업을 맥락화하는 아카이브 성격을 지닌다.

기획자는 여성사진가들이 제시하는 동시대 문화 담론을 ‘역사, 이주, 공간, 사물, 몸’이라는 다섯 개의 주제로 구성했다. 전시는 정물, 인물, 다큐멘터리, 연출, 풍경, 디지털 포토몽타주 등 다양한 사진 장르를 아우른다.


II. 개념 및 기획 의도

기존의 HerStory가 남성 중심적 역사 서술에 대한 대항적 개념이었다면, HerStories는 이를 확장하여 여성의 경험과 관점이 다층적으로 교차하며 담론을 형성하는 방식을 강조한다.

기획자는 1970년대 등장한 Herstory 개념을 발전시켜, 단일한 내러티브를 넘어 다양한 여성들의 이야기가 사진을 통해 기록되고 기억되는 방식을 제시한다.

이번 전시는 이러한 시각을 바탕으로, 기획자의 저서 『한국 사회와 여성사진가』를 토대로 여성 아티스트들이 역사와 사회에 개입하는 방식과 그들의 작업이 미술 담론 속에서 갖는 자리와 의미를 조명한다.

개별 서사가 모여 다성적(多聲的) 역사를 이루는 과정 속에서, 여성 예술가들의 목소리와 실천이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기를 바란다.

이 전시는 그동안 미술사와 현대미술의 맥락에서 소외되었던 한국 여성 사진가들의 활동을 역사에 기록하고자 한다.


III. 장소 및 일시

장소: 갤러리 인덱스(서울시 종로구 인사동길 45. 인덕빌딩 F3)  

일시: 2025.03.19.~03.31

오프닝 리셉션: 2025.03.19. 4pm~7pm

북콘서트: 2025.3.29.(토) 2~4pm


III. 전시의 의의 및 구성

사진은 현대미술의 주요 매체로 부상하며, 현대미술의 지형도를 바꾸었다. 이 과정에서 주목할 점은 여성 사진가들의 부상이다.

세계적으로 많은 여성사진가가 현대미술의 풍성한 담론을 이끌며 주요 작가로 자리매김했으며, 이는 한국미술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많은 한국여성사진가가 글로벌하고 로컬한 시각의 교차점에서 한국현대미술의 담론을 이끄는 작업을 하고 있다.

그들의 작업은 한국 여성의 현실, 한국 역사가 기억되는 방식, 우리 삶 곳곳에 자리 잡은 젠더화된 공간, 사물에 대한 다층적 철학적 사유, 후기식민주의 및 이주 시대 한국 사회의 다원성과 혼종성을 드러낸다.

전시는 다음과 같이 주제별로 구성되었다. 


역사의 틈과 대항 기억: 한국 근·현대사를 바라보는 다른 시각. 역사적 사건에 해석적 시각을 넣어 사적 기록화


이주와 정주: 한국의 역사와 사회에서 여성 이주와 정주, 교차-문화성과 용감한 경계 넘기


사물 존재론/기이한 사물: 한국의 문화적 배경에서 자생한 독특한 미학적 언어를 표명하는 사물 사진 


공간의 질서: 남성 중심사회의 규범과 규율이 은밀하게 침투해 있는 젠더화된 공·사적 공간 


몸 콤플렉스의 허구: 유교적 가부장제가 여성의 몸에 가한 억압을 드러내고 위반함



IV. 참여작가 

고현주, 구성연, 김수강, 김은주, 김옥선, 난다, 박영숙, 신은경, 안준, 윤정미, 윤진영, 이선민, 이정진, 임안나


V. 기획자 소개 

이필은 미술사학자이자 미술비평가, 전시기획자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예술기획 전공 교수이다.

현대미술과 사진을 전공으로, 뮤지엄 연구를 부전공으로 시카고대학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스마트미술관(Smart Museum of Art) 현대미술 & 사진분과를 거쳐, 시카고대학교 MFA 프로그램 큐레이터, 시카고 미술관 사진분과 큐레이토리얼 펠로우로 활동했다.

2017년 서울사진축제 특별전 <공존의 스펙트럼>(SeMA 창고), <Research & Development>(2005, Little Black Pearl, 시카고), <Sculpture Now 2002>(워싱턴 조각가 협회), <불-임 Im-Pregnancy>(2000, 아르코) 등

국내외에서 다수의 전시를 기획하며 현대미술과 사진 담론을 확장해왔다.






박영숙_미친년들_C 프린트_150×120cm_1999




임안나_Simulation of tragedy #8_피그먼트 프린트_100×150cm_2018




고현주_강은택_아버지의 저고리(밖)_2018



구성연_사탕시리즈 #R02_2013




김수강_Tea-Bag-4_2000




김옥선_BNP_8630BK_2018





김은주_다시, 봄 85_양능자, 자택(제주시 부록길 6)_2018





난다_전쟁과 평화_잉크젯 프린트_160×120cm_2010





신은경_웨딩홀, 웨딩 캐슬_피그먼트 프린트_120×150cm_2005





안준_Self-Portrait, 뉴욕_2008





윤정미_Red Face_02_2004





윤진영_Invasive Species 001_Artist grown fungi_디지털 C 프린트_2016





이선민_종원이네_1999





이정진_thing 05-38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