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윤선홍 회화전: 빛이 좋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윤선홍 초대전 '빛이 좋아'
2025.4.10 - 4.22
아트스페이스퀄리아



한국 화단에서윤선홍 작가는 전통 한국화 기법을 바탕으로 꽃과 식물을 조형 대상으로 삼아 독창적인 세계를 구축했다. 그의 작품은 사실적 묘사를 초월하며, 꽃과 식물이 일상의 오브제가 아닌 초월적 공간으로 기능한다. 공간의 확장보다는 수렴적 성향을 띠며, 작은 존재들의 내면을 탐구하는 방식으로 표현된다. 스크래치와 상감 기법을 활용해 색채와 질감을 조율하며, 원초적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해석된다. 그의 작품 속 꽃과 식물은 화려함보다 소박함을 강조하며, 정물의 의인화를 통해 인간의 내면을 반영한다. 최근 전시에서는 바다가 등장하며 그의 세계가 새로운 변곡점을 맞이했다. 그러나 여전히 그의 작품은 식물원을 통해 내면의 이상향을 탐색하는 여정을 담고 있다. 

- 박철화(미술평론가)의 평론 중 요약 -



윤선홍 (yoon sunhong)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학과 졸업

개인전-25회 
아트스페이스퀄리아초대전(2025년),갤러리두초대전(2020,2021,2022년) 
이랜드문화재단선정작가초대전(2021년) GS칼텍스예울마루 출향작가초대전(2021년) 
갤러리숲초대전(2022년) 서울아산병원갤러리초대전(2022년) 희수갤러리초대개인전(2021년) 서울정부청사갤러리초대전(2024년) 등
 
단체전 및 아트페어
-단원미술제 선정작가전(김홍도미술관)갤러리두13주년기념6인전(갤러리두)빛이머무는곳3인전-돈화문갤러리
-우리는 산을넘어갈때박영갤러리9기시프트전,이화전(디오션갤러리)전남도립미술관소장품전(전남도립미술관)
-영국,뉴욕 ,싱가폴,홍콩,브뤼쉘 Affordable Art Fair ,아시아프&히든아티스트, 화랑미술제, 아트부산, 서울아트쇼, 광주아트페어, 홍콩ACAS,(아시아컨템포러리아트),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BAMA), 조형아트서울, 경주아트페어, Kiafplus, 뱅크아트페어, 핑크아트페어, 대구아트페어,제주아트페어 ,K옥션프리미엄 경매,등

수상 및 선정
2024년-박영갤러리 시프트 9기 작가선정
            -국립현대미술관정부미술은행 작품선정
2023년-단원미술제 선정작가-안산김홍도미술관
2022년-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kiaf제안형선정
            전남도립미술관 작품선정
2021년-이랜드 12기작가선정
2020년-조선일보 아시아프 히든 아티스트 선정
           -경기문화재단작품선정(경기도미술관)
           -인천미술은행작품선정
2019년-GS칼텍스 예울마루 2020년출향작가선정
           -조선일보 아시아프 히든 아트스트선정 
           -작가들 이야기와 윤선홍작가콜라보
2018년-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작품선정
2017년-폭스바겐 선정작가

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미술은행, 국립현대 정부미술은행, 경기문화재단(경기도미술관), 전남도립미술관, 인천미술은행, 오미갤러리,희수갤러리, (주)한샘EUG, (주)홈푸드, 아이뜰소아과, 정세주내과, 법무법인Win&Win, 다수개인소장



작가노트

작업실에서 웅크리고 앉아 자신의 이야기를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단색으로 그림일기처럼 벽화로 그렸다. 벽화는 이미 과거이며 희노애락이 녹아 현재 모습에 흡수, 소멸되었기에 단색으로 표현한 것이다. 창 밖을 향한 시선은 미래에 대한 희망과 작가로서의 의지를, 과거와 미래를 이어주는 징검다리 같은 화분들은 최선을 다해 지금과 다른 자신을 꿈꾸는 스토리로 이어진다. 빛이 좋아서 단순한 정물화나 풍경으로 보이지만, 작가의 미래에 대한 희망적인 메세지를 표현한 심상의 빛이다.

표현기법은 한지를 여러 장 겹쳐 붙인 장지에 안료를 가루로 만든 분채로 칠하고 덧칠을 거듭한 뒤에 스크래치 기법, 상감 기법처럼 무늬를 파내거나 긁는 방법을 사용해 밑색과 덧칠한 색이 어우러지게 표현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다정한 이웃 25, 110x24cm, 장지에 분채, 먹, 2024


빛이 좋아3, 91x73cm, 장지에 분채, 먹, 2025


행복한2, 91x73cm, 장지에 분채,먹, 2024


더불어 즐거워, 91x73cm, 장지에 분채, 먹, 2024


나의 이야기2, 120x50cm, 장지에 분채, 먹, 2023


내 마음은 항상, 97x162cm, 장지에 분채, 먹, 2022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