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박재은 GRACE JAEUN PARK : 흐려진 시간 속 만져진 기억

  • 전시분류

    개인

  • 전시기간

    2025-08-27 ~ 2025-09-02

  • 참여작가

    박재은 GRACE JAEUN PARK

  • 전시 장소

    갤러리도스

  • 유/무료

    무료

  • 문의처

    +82.2.737.4678

  • 홈페이지

    http://www.gallerydos.com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갤러리 도스 기획
박재은 GRACE JAEUN PARK ‘흐려진 시간 속 만져진 기억’
2025. 08. 27 (수) ~ 2025. 09. 02 (화)





1. 전시 개요 

■ 전 시 명: 갤러리 도스 기획 박재은 GRACE JAEUN PARK ‘흐려진 시간 속 만져진 기억’展
■ 전시장소: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길 37 갤러리 도스 제1전시관(B1F)
■ 전시기간: 2025. 08. 27 (수) ~ 2025. 09. 02 (화) 





2. 전시 서문

희미한 여운
최서원 / 갤러리 도스 큐레이터

 지나간 시간을 추억하기 위해서는 일종의 단서가 필요하다. 가령 그날 방문했던 장소, 그때 먹었던 음식, 그날 만났던 사람과의 대화 등의 경험을 되짚으면서 과거의 감정과 상황을 회상하곤 한다. 하지만 물리적으로 돌이킬 수 없는 시간은 생각보다 많은 것을 제공해 주지 않는다. 과거가 점점 멀어질수록 객관적인 사실은 무뎌진다. 머릿속에 선명했던 기억이 차츰 지워지면서 물리적인 정보는 거의 사라지고 무형의 실루엣만이 그날의 경험을 뒷받침하는 유일한 기록으로 남는다. 그러나 정확한 구조를 전달하는 가시적인 대상을 넘어 원초적인 감각으로써 온전히 느낄 수 있는 것들이 있다. 박재은 작가는 눈으로 확연히 입증할 수 있는 것들을 뒤로 하고 희미한 경계 사이에서 형용하기 어려운 잔상을 새겨 넣는다. 말이나 글만으로 충분히 설명할 수 없는, 오로지 직관으로 표현 가능한 예술을 통해 가장 처음의 감정을 더듬는다.

 뚜렷하게 제시할 수 없는 무언가를 묘사하는 일은 막연해 보이지만 묘하고 신비스러운 감성을 유도한다. 작가는 이러한 잔상을 새벽안개를 거니는 모습으로 비유하며 흐릿한 시야 주변에서 어슴푸레하게 알아차릴 수 있는 다양한 존재를 복합적으로 드러낸다. 작업은 고정된 정답 없이 무언의 과정으로 고요하고 희미하게 진행된다. 작품을 보고 있으면 마치 제3의 감각이 서서히 열리면서 무언의 형체 속으로 빠져드는 듯하다. 누구도 이 그림이 무엇이라고 정의할 수도, 확언할 수도 없는 독창적 세계관은 개인의 사사로운 경험을 대입하고 작품으로써 내면의 이야기를 새롭게 풀어갈 장이 된다. 붓자국이 거의 남지 않은 부드러운 표현은 몽환적이고 아득한 정신적 기억을 풍부하게 하며 파스텔톤의 색조 또한 완곡하고 은은한 감성을 자극한다. 직선보다는 곡선이 주를 이루는 화면은 회화 특유의 색채와 형상을 강조하며, 작가가 지난 기억을 회상하면서 떠올리는 감정과 마음에 새겨진 흔적을 비유적으로 보여준다. 하나의 프레임 안에 담긴 여러 장면은 경험의 단편적 순간뿐만 아니라 추억을 거듭 상기하면서 얽히고설킨 과거의 시간을 종합적으로 내포한다. 그렇게 모인 각종 시공간은 현재를 이루는 삶의 흔적이 되고 화면 위에서 누적된 층으로 또 한 번 연결성을 갖는다. 모두가 하나쯤 가지고 있는 지난날의 향수는 다시 돌아오지 않기에 더욱 그립고 소중한 순간이다. 작품은 과거를 정확하게 기억하기 위해서 무리를 감내하기보다는 사소하지만 분명히 남아있는 감정들을 섬세하게 어루만지고 추억하는 기록이다. 조화롭게 표현된 서정적 정서는 관객으로 하여금 잠시나마 품고 있는 잔상을 돌이켜 보는 멈춤의 시간을 선사한다.

 사회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과학적이고 기계적인 것들을 요구한다. 나아가 눈으로 보이는 것 외에는 쉽게 믿으려 하지 않고 가시적인 것에 집착한다. 그러나 감정이란 이보다 훨씬 많은 부분을 자극하고 육체를 넘어 정신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다. 현실에서 느끼는 것들은 지금으로써 가장 선명할 테지만, 이미 지나간 감정의 흐름은 계속해서 곱씹고 돌아보지 않으면 곧 소멸할지 모른다. 작가는 과거를 단순히 잊혀지는 끝으로 치부하지 않는다. 외려 희미해지는 흔적을 짚어보며 우리 모두의 이야기를 첨예하고도 완곡하게 다루고 있다. 그렇게 기억으로 파생되는 섬세한 감정선을 조용히 따라가면서 짙은 여운과 자국을 남긴다. 작품은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휴식할 수 있는 머무름의 미학을 제공한다. 이번 전시에서 차곡차곡 저장되는 기억 속 점차 흐려지는 것들, 그렇지만 한때는 생생히 존재했던 것들을 떠올려 보고 향수에 젖어 들 수 있기를 바란다.
 










잔향의 풍경 (2505-1)
Oil and graphite on canvas, 53×45.5cm, 2025












흐려진 시간의 풍경
Oil and graphite on canvas,112×162.2cm, 2025












주고받은 문장들
 Oil and graphite on canvas, 116.8×91cm, 2025












새벽에 읽은 편지
Oil and graphite on canvas, 45.5×53cm, 2025













꿈속의 꿈 (2503)
Oil and graphite on canvas, 25×25cm, 2025












잔상과 풍경 사이
Oil and graphite on canvas, 91×116.8cm, 2025







3. 작가 노트

<안개 속에서 보이는 흐릿한 형태로부터>

“나를 잃지 않기 위해, 사라져가는 그리움을 남긴다.”

종종 새벽안개 속에 서 있는 기분으로 작업을 시작한다. 눈에 잘 보이지 않아도 분명히 존재하는 것들-피부에 닿는 습기, 멀리 퍼지는 냄새, 무언가 지나간 듯한 흔적- 그 희미한 감각은 지나간 기억이거나, 말로 옮기기 어려운 잔상으로 떠오른다.

그리움과 아쉬운 날들은 형태를 갖추지 않는다. 어떤 시간들은 너무 희미해서 언어로 담기 어렵지만, 그렇기에 더 보살피게 된다. 나의 회화는 그런 ‘정확히 정의되지 않는’ 순간들을 포착하려는 시도에서부터 시작된다. 사진이 또렷한 장면을 고정한다면, 나의 그림은 그 주변을 맴도는 안개 같은 시간과 감각을 붙잡으려 한다.

그림은 언어가 생기기 전의 세계처럼, 조용하고 원시적인 감각으로만 시작된다. 단어로 정의되기 이전의 감정, 마음속 어딘가에 머물던 풍경이 색과 형체로 천천히 떠오른다. 그곳은 익숙하지만 같지 않은, 지나간 시간의 일부이기도 하다.

<Imaginary Landscape>는 1인칭 시점에서 출발하지만, 겹겹이 쌓인 감정과 시간의 레이어를 따라 구조를 만들어낸다. 서로 다른 기억들이 어딘가 맞닿아 형성된 풍경들은, 마치 한 장면의 이미지 안에 여러 시간대가 공존하는 듯한 구조를 갖는다. 나는 그것을 통해 ‘나‘를 이야기하지만, 그’나‘는 언제나 타인의 얼굴과 이름을 품고 있다. 이 풍경은 누구의 것도, 누구만의 것도 아니며, 감정이 공존하고 얽히는 연대하는 장소가 된다.

기억이라는 감정의 구조를 다시 더듬는다. 그것은 단순히 과거의 잔상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언어와 문자를 사용하기 이전의, 우리가 아직 문명에 물들기 전의 정서로 되돌아가는 일이다. 그림이란,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고요한 방식으로 흐려지는 시간을 찾고 여운을 건네는 일이다. 바람처럼 스쳐 간 마음의 장면들이 언젠가 우리의 평범한 하루가 되기를 바란다.






4. 작가 약력

박재은│Grace Jaeun Park

Email: gparkjaen@gmail.com
Instagram: @gracejaen.studio
Website: https://www.gracejaenpark.com

학력
2017 School of Visual Arts, B.F.A. in Fine Arts, 뉴욕 미국

개인전
2025 흐려진 시간 속 만져진 기억, 갤러리 도스, 서울 한국
2023 꿈과 지금의 경계선이 흐릴 때, 금보성 아트센터, 서울 한국

단체전
2025 Start Track Art Festival, ADM 갤러리, 서울 한국
2025 Eland Cultural Foundation x Dapsimni Art Lab, 답십리 아트랩, 서울 한국
2025 제4회 아트코리아 국제미술대전 - 인사아트프라자 갤러리, 서울 한국
2024 월드아트엑스포, 코엑스, 서울 한국
2023 시크릿타운 호텔 아트페어, 조선 팰리스, 서울 한국
2023 화동페어, 금보성 아트센터, 서울 한국
2021 슬슬 예술 프리 마켓, 갤러리 문래, 서울 한국
2020 내 방, 네 방, 문화예술의거리, 익산 한국
2020 Hello Goodbye COVID-19, Hotel Ryse, 서울 한국
2018 Define Progress, Brooklyn Diamond Coffee, 뉴욕 미국
2017 PULSE 마이애미 비치 컨템포러리 아트페어, 인디언 비치 파크, 마이애미 미국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