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Shall We Smell 쉘 위 스멜?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감성과 관능, 의학과 종교, 권력과 계급의 영역을 가로지르며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차원에서 영향을 미쳐온 향기와 냄새의 다양한 의미들을 전시로 담아내고자 현 시대 인간의 본성과 문화, 시대 정신의 영역들을 ‘향과 냄새’라는 창틀을 통해 새로이 바라보는 기획전시.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의 에센스는 향기이다.’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소설 『향수』에 나오는 대목이다. 향기는 사물의 가장 주요한 근원, 생명의 에센스, 존재의 흔적이라는 뜻이다. 이 소설의 주인공이자 타고난 냄새 편집증자인 장-바티스트 그르누이에게 있어 만물을 이해하고 가치를 판단하는 기본은 시각도 청각도 아닌 후각이다. 그르누이는 처녀들을 연쇄적으로 살해하여 그들의 달콤한 향기를 빨아들인다. 그녀들의 죽음을 대가로 획득한 최상의 향기는 모든 사람들을 유혹하고 지배하는 강력한 힘을 발휘하게 하지만 결국 군중에게 자신의 신체가 찢겨지는 파격적인 결말을 초래한다.

아름다움, 유혹, 타락, 죽음 등 『향수』의 여러 코드들이 암시하듯 향기와 냄새의 역할과 잠재성은 우리가 아는 이상으로 방대하다. 사실 향기나 냄새는 육체적 심리적 사회적 차원에서 오랜 기간 인간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쳐 왔다. 우리는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숨을 들이쉬듯 세상의 향기를 맡고 살아간다. 커피의 향은 감정을 부드럽게 하고, 법당에 피어오른 향은 종교심을 일깨우며, 봄의 꽃 냄새는 생명력을 자극한다. 향기와 냄새는 그 자체에 대한 단순한 지각을 넘어 인간의 경험 및 정서와 연결되며, 따라서 인간과 관련된 여러 문화적 의미를 파생시킬 가능성을 담지한다. 기억과 상상력, 성과 욕망, 권력과 정체성, 영적 정신성과 치유 등의 개념들은 놀랍게도 모두 향기와 냄새와 관련된 것들이다. 많은 문화권에서 향과 냄새는 호흡, 생명과 연관되었고 신체적 냄새는 그 사람의 정수, 본질적 존재, 정체성을 전달한다고 믿어져 왔다. 마르셀 프루스트의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의 마들렌느의 향기처럼 냄새는 이전의 즐거웠던 기억을 환기시키는 강력한 매개체이기도 하다. 또한 페로몬과 같이 구애의 미끼로서 성과 욕망의 중심에 위치한다. 향기는 냄새 유무에 따라 계급과 인종을 구분하는 정치적 권력의 도구이기도 하다. 또한 여러 문화권에서 향은 부정을 제거하고 정신을 맑게 하며 신과 통한다하여 영적 교류과 치유의 역할을 담당해 오기도 하였다.

이번 전은 감성과 관능, 의학과 종교, 권력과 계급의 영역을 가로지르며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차원에서 영향을 미쳐온 향기와 냄새의 의미들을 전시로 담아내고자 한 것이다. 또한 시각(visual sense)에 비해 개인적이고 직관적이라 평가절하 되어 온 후각(olfactory sense)의 의미를 시각예술로 환기시켜보고, 현대미술에서 후각의 개입이 어떠한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 후각을 시각적으로 표상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사실 시각은 다른 감각보다 우위를 점하여 왔다. 특히 서구의 시각중심주의는 보는 주체(seeing subject)를 세계의 중심에 두고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적 위계질서를 확립해온 사유의 감각이었다. 반면 냄새를 통한 후각은 언어체계 이전에 존재하는 감각으로, 철학자와 과학자들에 의해 사유보다는 신체성(physicality)과 즉각성에 근거한 하류 감각으로 인식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후각을 이번 전시를 통해 다시 논의해 보고자 하는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냄새가 현 시대의 감각과 연계한다는 점에 근거한다. 일방적이고 분석적인 시각에 비해 직관적이고 경계를 넘나들며 범주를 와해하는 후각의 속성은 포스트모더니즘적 감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향수를 비롯하여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각종 향기들은 실재대상들이 부재한 기호, 실재 냄새보다 더 실재 같은 오늘날 넘쳐나는 시뮬라크라 중 하나에 다름 아니다.





배명지


강은수

소리와 향기는 모두 비물질적 매체로, 모두 공기를 가로질러 투사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강은수의 <후(嗅)-래링시안Larynxians>은 이러한 소리와 향기의 공감각적 영역을 모색한 영상 사운드 작업이다. 그의 작품에서 소리와 영상의 투사는 향기의 투사를 연상시키며 시각과 청각, 후각의 가로지르기를 실현한다. 한쪽 벽면에는 무용수의 춤추는 이미지에서 출발한 일종의 사이보그 생명체 래링시안의 영상 이미지가 투사된다. 이 영상은 거대한 바람이 지나가는 소리와 함께 반대편 벽에 반영된다. 관객은 자신의 피부를 스치며 지나가는 진동하는 소리(聽)와, 마치 향을 피워 올린 듯한 래링시안의 미세한 영상 움직임(視)에서 코끝을 자극하는 냄새(嗅)의 감각을 일깨운다.

김세진

김세진의 영상 작업은 ‘당신에게 냄새와 향은 어떤 의미를 지닙니까?’라는 질문을 가지고 실시한 거리 인터뷰 자료를 토대로 만들어진 것이다. 성별, 나이와 상관없이 그들이 오랜 시간 들려준 냄새에 대한 불안과 공포, 기쁨과 환희의 기억들은 김세진의 영상 작업에서 축약된 텍스트와 함께 꿈과 환상, 내러티브가 혼합된 단편 영화처럼 드러난다. 부친의 죽음과 병원 냄새, 지난한 삶의 여정과 여름날 습한 방 냄새 등, 냄새란 무의식속에 잠재하지만 특정 계기에 의해 떠오르는 트로마(trauma)와 같음을 시사한다. 사적이고 은밀한 개인의 이야기가 ‘냄새’라는 매개를 통해 전달되는 이번 영상작업은 삶을 둘러싼 일종의 냄새풍경(smell scape)처럼 보인다.




김진란

김진란은 향기 나는 일상 오브제 중 가장 대표적인 오브제인 비누를 작업의 주요 테마로 설정하여 비누 프로젝트로 이어오고 있다. 비누는 시간에 따라 분해되며 향기가 사라지는 소멸의 함의를 필연적으로 지닌다. 이번 전시작품 은 바로 사라짐과 소멸의 속성을 지니는 비누를 집적하여 죽음의 가장 강력한 메타포인 관의 이미지로 형상화한 것이다. 여기서 비누의 마모성과 육체의 사그라짐, 죽음으로 치달을 수밖에 없는 삶의 필멸성이 조우한다. 독특한 비누향이 특정인의 이미지를 연상시키고 닳아버린 비누조각이 그 삶의 과정과 흔적들을 떠오르게라도 하듯이, 비누로 쌓아올려진 관 모습의 는 바로 생의 마지막 순간에 죽은 자에 대한 추억을 공유하게 만드는 일종의 기억 환기체로 작용한다.

리경

리경의 작품은 구약시대 인들이 가장 정결하고 향기로운 어린양과 같은 동물을 번제하여 그 연기 신호를 신에게 올려 보냄으로써 죄 사함을 기원하였다는 고대 후각의식에서 출발한다. 신은 그 연기를 흠향(歆香)함으로 기뻐하고 인간을 속죄하였다는 것이다. 속죄를 위한 이러한 향 공양은 신약시대로 넘어오며 예수라는 존재로 대체된다. 길이 15미터 높이 8미터의 고대 신당과 같은 공간을 점유하는 리경의 작품에서 한줄기 붉은 빛이 거대한 액자에 투사되는데, 액자 양 옆으로 수초 동안 연기가 뿜어지면서 빛 사이로 드러나는 것은 바로 미켈란젤로가 보여주었던 예수의 피에타상이다. 정결한 동물의 죽음을 통한 훈향과 속죄는 성체(聖體)의 죽음으로 대체되었음을 시사하고, 연기와 향기의 있음으로 존재한 신의 현존은 연기의 사라짐과 동시에 부재하게 된다. 황홀경에 가까운 상태로 고대 종교의 훈향 의식을 가상으로 체험하게 하는 그녀의 작품은 후각적 차원에 신성이 개입될 수 있음을 일깨운다.



린 지운팅

대만과 중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영상작가 린 지운팅의 은 꽃과 나비의 영상 이미지를 통해 생물계에서의 생식의 미끼인 달콤한 향기를 연상케 하는 인터랙티브 영상 작품이다. 전시장 입구에 들어서면 관람자의 신체 반응에 따라 수십 마리의 나비 영상이 출현한다. 나비의 방을 넘어서는 어두운 땅속에서 솟아 오른 듯한 한 송이 꽃 오브제가 피어있는 또 다른 방과 마주치게 된다. 나비는 꽃의 향기를 탐한 듯 그 향기에 취한 듯 이름 모를 꽃잎을 향해 날아들듯 보이며, 관객은 나비와 꽃의 존재를 통해 무취의 방에서 후각을 자극받게 된다. 원래 은 호접지몽(胡蝶之夢)에서 연유한다. 장자와 나비를 분간하지 못하는 이러한 물아일체의 메타포는 관객의 몸에 나비 영상이 스며들어 이를 촉각적으로 지각하게 되는 인터랙티브 영상에서 표상된다. 그리고 나비가 투사된 그의 몸은 어느덧 향기를 내뿜는듯한 꽃으로 향하게 된다.


박상현

향기와 냄새는 그 자체에 대한 단순한 지각을 넘어 우리의 경험, 기억 등과 연결된다. 즉 냄새를 맡는다는 것은 감각만이 아니라 인식론적 의미체계일수 있다는 것이다. 박상현은 냄새란 그것을 지각하는 매개(mediation)에 따라 다르게 지각되고 인식되는 일종의 의미체계이며 따라서 냄새를 통해 세계와 우주의 질서(Cosmology)를 세울 수 있음을, 즉 오스몰로지(Osmology)가 가능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작가는 냄새를 불러일으키는 수십 가지의 물질을 압축팩 속에 담아 테이블 위에 제시하고, 그 위로 카메룬 캅시키 부족과 잉카 부족의 오스몰로지를 담은 후각 용어를 추출, 영상으로 투사하여 ‘감각으로서의 냄새’가 ‘의미로서의 냄새’로 전환될 수 있음을 환기시킨다.



유현미, 박성원

유현미는 조향사와의 협업으로 여러 종류의 향기가 혼성된 일명 ‘카오스’ 향기를 제조하고, 그 느낌을 시적 언어로 번안한 후 향기가 공간에 스며들 듯 시적 텍스트들을 전시장 벽면에 채운다. 향기에 대한 유현미의 시적 타이포를 배경으로 박상원의 환상적인 향수병 유리 오브제가 전시장 곳곳에 놓여진다. 병 속에 담겨져 공기 속에 침투하는 향수 ‘카오스’는 열려진 판도라의 상자를 통해 나오듯, 열정, 욕망, 아름다움, 슬픔 등이 교차된 감정을 불러일으키며 관객의 신체를 묘하게 에워싼다.
‘향기는 시이다’. 향기의 순간성과 감각성, 모호한 실체는 시적 감정과 유사하다. 향기와 시 모두 감정과 상상력을 촉발한다. 유현미는 향기의 이러한 시적 속성을 간파하고, 에센스 방울을 함축적인 시적 텍스트로 전환한다. 흰색 벽면에 감추어진 유현미의 은빛 텍스트는 향기의 모호함과 말할 수 없음을 시어로 함축한 것이다.
박성원은 향수 ‘카오스’의 감각을 투명한 유리로 제작한 향수용기 오브제로 전달한다. 공간에 가두어진 액체 ‘카오스’를 싸고 있는 그의 용기는 고정된 형상 대신 생성과 혼성의 ‘무질서’를 견지하며 ‘카오스’의 느낌을 의미화 한다. 난간, 계단, 벽면 등 공간과 입체적으로 연합한 향수 유리병들의 유기성과 부드러움, 그 표면에서 투명하게 분사되는 빛과 화려함은 그 자체로 향수의 메타포이면서 시적 감흥이다.



손정은

손정은은 공간 설치작업 <외설적인 사랑(Pornographic Love)>에서 여성이 풍기는 냄새에 접근한다. 작가는 여성의 냄새를 강박적으로 수집하여 저장하는 누군가의 방을 제시한다. 그가 유리병들 속에 감금시킨 향기의 소스들은 생선과 꽃, 달걀과 조개, 새 등 여성성을 고양시키는 마술과도 같은 물질들로 모두 여성의 내부를 연상시킨다. 죽은 꽃과 결합한 생선, 타원형의 알과 조개, 축축한 뼈에서 촉발되는 것은 비릿하면서도 향기로운 여성기의 냄새, 젖가슴의 냄새, 월경혈, 피와 땀, 날것의 육신의 냄새이다. 욕망의 대상과도 같은 이들 온갖 물질들은 모호하고 신비로우면서도 섬뜩하다. 작가가 수집한 유혹의 냄새들은 그 치명성을 원천봉쇄라도 하듯 모두 병속에 철저하게 감금되고 은폐되었다. 그러나 묶임과 박제, 밀폐와 봉인이라는 극단적인 금욕의 장치는 역설적이게도 사도 마조히즘의 심리드라마를 상기시키며 외설적인 상상력을 불러일으킨다. 여성의 육체에 성스러움과 비천함이 공존하듯이 성과 속, 숭고와 외설의 양가적 가치를 지니며 고정된 체계에 균열을 만들어내는 여성성의 특질을 공유한다. 작가가 제시한 여성성의 은유와 그 냄새들은 의미화 할 수 없는 모호한 영역에 속하여 불안하고 위협적이기도 한 냄새의 가치와 만난다.



이혜림

8개의 다중채널 영상작업 <오브세션/영원한 사랑 Obsession/ Love Forever>은 상업적으로 소통되는 향수병 이미지 속에 담겨진 여덟 종류의 파편화된 여성 신체들을 제시한다. 입술, 가슴, 엉덩이, 다리, 성기 등 잘려진 여성 신체 이미지는 사이버 문화에서 남성 욕망과 관음증적 환상을 실현하는 일종의 페티쉬(fetish)로 기능한다. 또한 이 작품은 향수라는 현대 문명 속에 내재된 여성 신체의 소비와 상업화를 언급한다. 이 작품에서 여성 신체 조각들은 원래 일본 만화와 컴퓨터 게임, 사이버 문화에 등장하는 여성 이미지들에서 작가가 고안한 여성 신체, ‘TOKI'에서 기원한 것이다. 이 작품은 향수란 성적 매력을 더욱 풍기고 싶은 광기 어린 강박적 열망을 부추기는 것이라는 의견을 재상연 하는 듯 보인다.




향과 냄새, 후각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인류의 삶에 절대적 영향을 끼쳐온 키워드라 할 수 있다. 욕망과 치유, 기억이라는 신체적 심리적 차원에서부터 권력과 지식이라는 사회적 차원과 문학적 상상력의 문제, 그리고 종교성과 정신성이라는 영적인 의미에 이르기까지 그 스펙트럼은 실로 방대하다. 이번 은 향이 지니는 다층적 텍스트를 작품으로 표상할 가능성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인간의 속성과 문화의 일면을 짚어내고자 한 전시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