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민
벽癖의 예찬, 근대인 정해창을 말하다
2007.11.9 - 2008.2.3 일민미술관
지난 2월 3일에 막을 내린 <벽의 예찬, 근대인 정해창을 말하다>는 1929년 우리나라 최초로‘예술사진개인전람회’를 열었던 무허(舞虛) 정해창(鄭海昌)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서양화가 고희동과 미술평론가 김용준, 윤희순과도 교류했던 정해창은 그 동안 일제강점기 때 활동한 예술사진가 정도로만 알려졌지만, 그가 사진 못지않게 관심을 가졌던 서예, 전각, 불교미술분야에서도 작지 않은 족적을 남겼다. 따라서 이 전시는 그의 예술 및 학술연구 활동을 제대로 조명하기 위해서 분과학문적 태도를 벗어나 종합학문적인 입장에서 접근하였다. 서예 및 전각 작품들과 불교미술 관련 기록사진과 연구 성과물 그리고 그의 관심분야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장서 등을 전시에 포함시켜 ‘사진가로서의 정해창’대신에 ‘근대인으로서의 정해창’의 전모를 살펴 볼 수 있도록 했다.
1907년에 태어난 정해창은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 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독일어를 전공하면서 그림과 사진을 배웠으며, 금석학 연구를 위해 중국유학을 다녀온 근대지식인의 한 전형이었다. 그는 일제강점기에 사진가와 서예가, 전각가로 활동했으며, 해방 이후에는 불교미술 연구에 전념하면서 미술평론가로 활동하기도 했다. 그는 이 과정에서 근대서화가, 미술평론가, 정치인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평생 예술 창작 및 학문 연구에 힘써왔다. 근대전각의 양대가로 알려진 오세창과 김태석에게 사사한 그는 이번 전시를 통해 근대전각사를 다시 써야 할 정도의 정통파 전각가로 평가되었으며, 1941년 화신백화점에서 개최한 ‘서도전각전’은 그의 첫 번째 사진전과 마찬가지로 개인전으로서는 그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서예•전각전시의 선구였을 정도로 미술사적 의의가 크다.
한편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그의 사진작품은 예술사진의 맥락에서 생산되었지만, 질과 양적인 면에서 조선인에 의해 촬영된 거의 유일한 사진이라는 점에서 근대문화유산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금석학 및 불교미술 연구를 위해 1953년부터 1957년까지 전국을 답사하면서 촬영한 8,000여 점의 사진 중 2,483점을 선별하여 정리한 5권의 사진스크랩북은 그의 예술사진과 함께 중요한 역사기록물이다. 그는 근대적 매체인 사진으로 문인화를 그렸던 식민지 지식인이었으며, 근대학문의 실용적 도구로 사진을 활용한 근대인이자 최초의 사진아키비스트였다. 현재 유족들이 보관하고 있는 ‘정해창 아카이브’가 공공기관의 보호와 관리를 받는 공공기록물로 거듭나길 바라며 이번 전시를 계기로 해당분야의 연구자 사이에 학제간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서울아트가이드 2008-03
진동선
정해창
2007.11.9 - 2.3 일민미술관
정해창은 1929년 우리나라 최초로 ‘예술사진개인전람회’를 열었던 선구자적 사진가다. 지금까지 파편적으로 그의 사진세계와 예술적 심미안이 알려져 왔는데, 정해창 탄생 100주년 기념전을 통해서 가히 전모를 알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제1부 ‘사진인문학을 열다’는 예술사진가로서 그가 성취한 예술작품과 연구 성과들을 보도록 했고, 제2부 ‘서도전각의 길을 가다’는 서예가와 전각가로서 불교미술을 아우르는 식민지 지식인으로서 전통문화에 대한 재인식 및 그의 또 다른 민족적, 조선적 족적을 보도록 한 귀중한 전시였다.
서울아트가이드 20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