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이규민 조각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어린 아이에서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관람객에게 다가가며 생명체의 아름다움과 그 안의 다양한 기억을 이끌어내는 기호로서 제시되는 작가의 확대된 '달팽이'들은 내셔널 지오그래피와 같은 다큐멘터리 화면에 소개된 미지의 생명체처럼 신비감을 제공한다.
기호로 제시된 달팽이들


김영호 | 중앙대교수, 미술사가




이규민의 조각세계에 접속할 키워드는 ‘생명현상의 구현’으로 불려 왔다. 프랑스 유학시절인 1994년,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가진 첫 번째 개인전에 출품된 작품들은 그가 어떻게 생명과 환경의 조화 혹은 갈등의 문제에 천착하고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나뭇가지에 기하학적 입방체들을 결합한 작품 시리즈, 지구본을 뒤덮은 건축적 구조물 작업 등은 생명과 환경의 문제를 시각적 형태를 통해 끌어내고자 하는 일련의 시도였다. 흥미로운 대목은 프랑스 평론가 미쉘 깁슨이 당시 그의 작업에 대해 ‘의미의 형태가 어떤 것인가를 발견하게 만들고 있다’고 평한 것이다. 이 말은 그가 이규민의 작업에서 생명현상의 의미를 표상하는 형태의 전개과정을 보았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의미의 형태’란 기호학이 채택하는 과제다. 의미를 만들어내는 모든 이미지나 현상의 체계를 분석하는 기호학은 미술 특히 현대미술 작품의 해석에 큰 도움을 주어왔다. 이규민이 의미의 형태를 만들어 내는데 관심을 기울여 왔다는 것은 그의 작업이 기호학적 해석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재불 언론인 정종식씨가 당시 그의 작품전을 두고 ‘조화와 아름다움의 전시회가 아니라 생각과 말의 전시회’라 평가하고 있는 대목도 이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이른바 이규민의 작품은 ‘형태가 창조될 때, 성육할 때, 공존할 때, 상대화될 때, 그리고 묵상할 때 의미가 공간의 사이를 어떻게 비집고 생겨나고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작가가 다루던 진흙, 석고, 목재, 플라스틱, 브론즈 등 다양한 재료와 개성적인 조형방식은 형태의 의미를 만들어 내는 일련의 과정이었다.






귀국 후 이규민의 작업은 쇠똥구리나 달팽이와 같은 구체적인 생명체의 형상에 집착하고 있다. 이러한 소재의 변화는 갑작스런 것이라 할 수 있지만 그의 태도는 여전히 기호학적 의미생산과 해석의 방식에 머무르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대중적 소통의 수월성을 위해 순수조형의 실험에서 재현적 대상을 통한 의미로 그 생산의 행간이 바뀌었다고 볼 수 있다. 이제 그의 작품은 어린 아이에서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다가가며 생명체의 아름다움과 그 안에 담긴 다양한 기억을 이끌어내는 기호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그의 작업은 미물을 통한 은유적 수사학의 차원으로 방향을 잡아나가는 듯 하다. 확대된 달팽이는 <내셔널 지오그래피>와 같은 다큐멘터리 화면에 소개된 미지의 생명체처럼 신비감을 제공한다. 작가는 거대한 달팽이의 껍질을 광택나는 공업용 도료로 마감하여 팝아트의 서정을 가미시키고, 그 표면을 하트나 구름무늬 등으로 장식함으로써 다양한 상징적 서술의 외연으로 그 해석의 범주를 확대시키고 있다.

이규민의 조소예술에 접속할 키워드로서 생명현상은 이제 순수형태를 둘러싼 의미부여의 차원에서 벗어나 삶의 차원으로 내려왔다. 달리 말하면 문명과 자연 그리고 생명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그의 작업에 남아 있으나 보다 현실적인 명제들을 끌어안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는 셈이다. 모니터를 등에 이고 있는 달팽이나 큐브를 메고 있는 달팽이에서는 현대적 삶에 뿌리를 둔 미물을 둘러싼 해학과 풍자의 메시지를 읽어낼 수 있다. 사실이 그렇듯 작가가 제시하는 것은 실체로서 달팽이가 아니라 달팽이의 허상이다. 작가는 달팽이의 허상이 파생하는 실재와의 충돌구조를 열어 제치고 그 사이에 흐르는 기호학적 의미를 퍼내어 관객들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생명현상을 둘러싸고 파생되는 그 다양한 ‘의미의 형태’를 공유하는 일은 즐겁다.




달팽이의 생태와 조형


오광수 | 미술평론가, 전 국립현대미술관장


...달팽이를 소재화 한다는 것은 그러니까 단순한 이채로운 존재에 대한 관심을 떠나서 동심의 세계로 회귀하려는 작가의 염원을 고스란히 담고 있음을 의미하며 그러한 동심의 세계를 통해 원초적인 자연, 건강한 원초적 삶을 추구하려는 작가의 의지의 발로라고 할 수 있을 듯하다.





작가는 달팽이를 통해 인간의 삶을 의인화한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무거운 짐을 지고 살아가는 인간의 운명처럼 달팽이도 무거운 자기 집을 일생 지고 다닌다. 인간의 삶에 비유되는 무거운 짐을 지고 살아가지만 그것을 숙명으로 받아들일 줄 안다. 이 작은 생명체가 주는 교훈은 자연의 섭리요 자연의 리듬이다. 달팽이는 끈적끈적한 자국을 남기고 어디론가 사라진다. 달팽이에게 시간이란 언제나 머물러 있는 시간, 정지된 시간, 지워진 시간이다. 어디론가 가는데 가는 것 같지 않게 간다. 느리게 간다는 것은 느리게 산다는 것이고 여유롭게 산다는 것이며 평화롭게 산다는 것이기도 하다. 느림의 미덕이 사라진 현대에 달팽이는 느림의 차원이 갖는 놀라운 생명의 리듬을 교화한다. 자신이 어디로 가는지 도무지 모르는 것처럼 보이지만 정확히 목표물로 향한다. 촉수는 무수한 정보망을 흡수하는 안테나이다.






이규민이 만드는 달팽이는 현실의 달팽이처럼 작은 몸체가 아니다. 아마도 수백, 수천의 크기로 확대되었을 것이다. 달팽이처럼 매끈하지만 현실의 달팽이처럼 연약한 생명체는 아니다. 달팽이는 무언가 말을 시작하려고 한다. 현대의 문명과 그 속에 사는 인간에게 무언가 절실한 메시지를 전하려 한다. .... 이들은 그 자신의 몸체를 과시하는 것이 아니라 달팽이를 통해 상징되는 온갖 기의(記意)를 인간에게 전하려 한다. 그것이 무엇인가를 읽는 것은 우리들의 몫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