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커뮤니티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추천리뷰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97)천년의 미소 반가사유상, 바다를 건너다

노희진

노희진 / 서울시 동대문구




전시 포스터


우연한 기회에 ‘한일 국보 반가사유상의 만남’(5.24-6.12)전시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마주친 순간, 숨결이 멈춰지고 잠깐 눈앞이 캄캄했다. 감동! 그 자체였다. 단 두 점에 불과한 불상 전시! 높이 2m도 채 안 된 두 공예품에서 뿜어 나오는 현란한 광채가 관람객을 압도했다. 분명히 전시장의 집중된 조명 덕분만은 아니었다. 천년을 기다린 두 미륵의 미소가 시공간을 초월하여 현세의 중생들에게 따스한 미소를 말없이 보내고 있었다.

이번 전시에서 소개된 <금동반가사유상>은 국보 제78호로 삼국시대에 제작되었으며, 일본에서 바다 건너온 <목조반가사유상>은 아스카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역시 일본 국보로 지정되어 현재 나라현 주구지(中宮寺) 불당에 모셔져 있다.


양 나라의 불상을 비교해 보면 상호 유사점이 많지만, 우리 불상의 눈매와 코는 오똑하고 부드러움과 엄격함이 모두 갖추어져 있으며 부드러운 신체 곡선에 우아하게 흘러내린 천의(天衣) 자락이 한마디로 일품이다. 특히, 고난도 기술이 요구되는 얇은 3-8㎜ 청동의 두께로 불상을 제작한 기법은 지금 생각해도 놀라울 따름이다.


반면에 일본 목조 불상은 녹나무로 만들어졌으며 11개의 나무 조각을 따로 제작하여 조립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그 당시 통나무를 깎아 목심부터 조각하는 세련된 우리 기술이 아직 일본에 전해지기 전이 아니었을까? 또 하나 특이한 것은 머리에 올린 두 개의 상투 모양이 이채롭고 입가에 머금은 미소는 윤곽이 뚜렷하지 않아 명상하는 듯 자비로운 모습이다. 어쨌든 이 목조 불상 양식이 한반도에서 전파되어 약간은 낯설게 왜색풍의 형태로 현지화된 것은 분명한 사실로 보인다.


아득한 옛날, 7세기 전후 크게 유행했던 미륵신앙 덕분에 한국과 일본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걸작의 만남은 신선한 충격과 깊은 감동을 가슴에 남겼으며 이러한 인연은 우연이 아닌 필연이었으리라

전체 0 페이지 0

  • 데이타가 없습니다.
[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