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용성 칼럼] `신정아 사건` 메세나 위축 안돼야
관리자
"신정아 때문에 메세나가 메스(messㆍ뒤죽박죽)가 됐네 그려…."
서울대학교 음대 학장을 지낸 신수정 씨가 얼마 전 한 모임에서 요즘 신정아 사건에 휘말려 기업들이 문화예술 지원사업인 메세나 활동에 더욱 소극적이지 않을까 걱정하면서 무심코 내뱉은 말이다. 신정아 씨 수사로 기업이나 금융기관 관계자들이 곤욕을 치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신정아 사건 때문에 정부기관 및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활동을 색안경으로 보는 것은 곤란하다. 문화예술은 메마른 우리 현대인들의 궁극적인 고향이다. 또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여주고 사회를 순화함으로써 국가경쟁력의 중요한 버팀목 구실을 하게 된다. 요즘 일본과 동남아 그리고 멀리는 중동까지 퍼지고 있는 한류 바람은 정부 수립 이후 수백 명의 외교관이 막대한 예산을 써가며 노력했던 문화외교 활동보다 훨씬 강력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미국 등 경제 선진국들은 역시 문화 선진국이다. 밀레의 `만종`을 미국에서 되사올 때 프랑스 국민들은 종을 울리며 환호성쳤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루브르박물관), 피카소의 `아비뇽의 아가씨들`(뉴욕현대미술관),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로마 바티칸박물관)을 직접 보기 위한 세계인들의 행렬은 끊이지 않을 것이다
예술가는 타고난 재질만 있다고 해서 거장이 될 수는 없다. 국가, 사회, 기업 나아가 국민들의 직ㆍ간접적인 성원이 있어야 한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위탁을 받아 김달진 미술연구소가 실시한 `2006 시각예술인 실태조사 및 분석`에 따르면 조사대상 중 58%가 월수입 100만원 미만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가운데 30.4%는 작품 판매를 통한 수입이 전무한 실정이다. 조사표본은 한국미술협회 회원 2만3000명을 중심으로 장르별 지역별 연령별로 안배한 1389명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작품활동만으로는 생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조사대상 중 67.1%가 아르바이트, 자영업, 학교 및 학원 교사ㆍ강사 등의 각종 직업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술은행, 건축물미술장식, 문화예술진흥기금 등 10여 개에 달하는 각종 지원제도의 혜택을 받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3.5%만이 긍정적으로 답변했다. 명목상의 각종 지원 정책도 극소수의 작가에만 소용될 뿐인 것이다.
문화관광부와 국립현대미술관은 정부 예산으로 미술품을 구입한 뒤 정부기관 등에 전시하거나 빌려주는 제도인 미술은행제도를 2005년 도입하면서 운영예산 23억원을 확보해 작품 473점을 구입했다. 2006년에는 25억원을 들여 385점을 확보했는데 금년에는 예산 규모가 22억원으로 그나마 감소했다. 최근 경매에서 낙찰된 최고가 작품 한 점 가격에도 못 미치는 금액이다.
기업 문화재단을 포함한 상위 50대 지원 기업의 2006년 메세나 규모는 1740억원 수준이다. 삼성문화재단(514억원) 현대중공업(155억원) 삼성테스코(92억원) LG연암문화재단(78억원) 현대자동차(74억원) SK텔레콤(65억원)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63억원) 포스코(53억원) 현대백화점(46억원) 한국전력공사(45억원) 등이 10위권 내 지원기업이다. 금융기관으로는 삼성화재(24억원) 신한은행(21억원) 교보생명(18억원) ING생명(16억원) 하나은행(15억원) 부산은행(11억원) 삼성생명(10억원) 순이다. 이 같은 메세나 지원금액에는 음악회, 오페라 공연 후원 등 각종 지원활동도 포함되어 있어 순수 문화예술 지원액은 훨씬 적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메세나협의회에 대한 정부 차원의 배려도 필요하다. 메세나협의회는 영국을 벤치마킹해서 올해부터 중소기업의 예술지원을 위한 매칭펀드 사업을 출범시켰다. 이 제도는 예를 들어 중소기업이 1000만원을 후원하면 정부재정에서 1000만원을 보태 2000만원을 예술인에게 지원하는 방식으로 좋은 호응을 얻고 있다. 영국의 경우 매칭펀드시스템을 통해 지난 22년간 정부가 1200억원, 기업이 2000억원씩을 지원했다.
이명옥 사비나미술관장은 "훌륭한 미술품은 결국 국민의 유산"이라면서 "청와대부터 미술품을 더욱 많이 사줘야 하고 특히 블루칩이 아닌 새내기 작품들을 적극 구입해야 한다"고 말한다.
미술계의 자체적인 노력도 필요하다. 비영리기관인 미술관의 큐레이터는 작품을 팔면 안 되는 데도 불구하고 신정아는 위세를 과시하며 브로커 구실을 했다. 제2 신정아 부류들이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 또 요즘 투기장화돼 있는 미술품 거래 행태도 자율정화해야 국민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다.
- 매일경제 10.4
- 장용성 주필
0
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