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어: 영어
한국의 대표적인 추상 미술가 장욱진, 김환기, 유영국, 김병기, 박서보, 전성우, 윤명로, 최욱경 등 여덟 명을 소개하는 책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2011년부터 연간 3~4종씩 선보이는 영문판『한국현대예술시리즈』의 제10권이며, 제2권DiasPora와 제7권Coexisting Differences는 미술서이다.
책 소 개
새로운 움직임이나 창조는 기존의 것을 비판하며 나오곤 한다. 세계대전 후 현대 회화에서 미국과 유럽의 움직임이 그랬다. 지식과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했던 서구에서, 지극히 반이성적이고 비합리적인 세계 대전이 두 차례에 걸쳐 일어났고 예술가들은 이에 대한 반성과 비판으로 기존의 것을 뒤엎는 신선하고 전과 다른 사고, 즉 아방가르드(앞서 나아가다, 전위)적 움직임을 보이는데 이것이 바로 미국의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와 유럽의 앵포르멜(Art Informel)이다. 기존의 예술 사조가 사실을 표현하거나 논리적인 구성을 나타냈다면, 위의 두 움직임은 작품 자체보다는 그 작품을 표현하는 작가의 행위와 직감, 그리고 표현 방식에 의미를 부여한다.
이 책은 전후 한국 추상 미술의 형성 과정을 탐구한다. 한국의 현대 추상 미술은 자체적으로 형성되었다기보다 일제 강점, 광복, 한국 전쟁, 냉전 등의 시대적 흐름과, 미국의 추상표현주의와 유럽의 앵포르멜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한국은 일본의 식민 지배를 받는 동안 자체적인 발전보다 일본의 시스템을 답습하는 예술가들을 양산했다. 게다가 한국 전쟁과 그 이후 냉전은 한국 예술가들에게 집단적으로 ‘정체성’의 위기를 겪게 했다. 한국 추상 미술은 이런 시대적 흐름 안에서 과거의 관습과 식민지적 잔재 등에 저항하는 방식에서 형성하고 발전하기 시작한 것이다.
다음으로, 이 책은 한국의 대표적인 추상 미술가 여덟 명을 소개한다. 장욱진, 김환기, 유영국, 김병기, 박서보, 전성우, 윤명로, 최욱경이 그들이다. 이들 대부분은 미국의 추상표현주의와 유럽 앵포르멜의 영향을 받곤 했지만, 그 스타일을 답습한 것이 아니라 그 비판 정신을 받아들였다. 여기에 한국적 감성으로 추상적 형태를 그리며 심리를 자극하는 색채를 사용하고, 작가의 주체성과 행위에 집중했다. 결국 한국의 추상 미술은 그 형성 과정에서 미국과 유럽의 아방가르드 저항 정신을 수용했다고는 하나, 일본 식민 지배의 부당함, 한국 전쟁과 냉전에서 오는 이념의 대립이라는 한반도 나름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그 꽃을 피웠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지은이 ㅣ 김희영
•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학사
BA in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서울대학교 미술이론 석사
MFA in Art Theo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시카고 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
MA in Art History, University of Chicago
• 아이오와 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
Ph.D. in Art History, University of Iowa
• 국민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교수
Professor of Department of Fine Art, Kookmin University
• 한양대학교 전 교수, 앨라배마 대학교 전 교수
Former Professor at Hanyang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Alabama, USA
• 미술사가, 미술 비평가
Art historian and art critic
주요 저서 Major publications
• 20세기 현대예술이론
Twentieth-century Art Theory (미진사, 2013)
• 해롤드 로젠버그의 모더니즘 비평
Harold Rosenberg’s Critique of Modernism (한국학술정보, 2009)
• 저항의 흔적: 해롤드 로젠버그의 행동비평
The Vestige of Resistance: Harold Rosenberg’s Action Criticism (2009)
목 차
Preface
01 Introduction: TheMeaning of the Avant-Garde in Korean Art
02 Resistance toConvention
• Resistance to theAcademic Conventions
• Resistance to theInstitutional Conventions
03 The Development ofKorean Abstract Painting in the 1950s
• Global Expansion ofAmerican Abstract Expressionism
• French Art Informel andJapanese Avant-Garde Art
• The Formation ofInformel in Korea
04 Avant-Garde asCreation
장욱진, 김환기, 유영국, 김병기, 박서보, 전성우, 윤명로, 최욱경
• Chang Ucchin • KimWhan-ki
• Yoo Young-kuk • Kim Byung-ki
• Park Seo-bo • Chun Sung-woo
• Youn Myeung-ro • ChoiWook-kyung
05 Afterword
Notes
Bibliography
Plates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