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아웃사이더의 미학 - 누가 한국 미술가인가?

  • 청구기호601.3/박74ㅂ;2023
  • 저자명박정애 지음
  • 출판사사회평론아카데미
  • 출판년도2023년 10월
  • ISBN9791167071286
  • 가격29,000원

상세정보

뉴욕에서 활동하는 한국 미술가를 대상으로, 누가 한국 미술가인지 질문한다. 먼저 뉴욕 미술계 형성기부터 유기적 관계에 있던 한인 미술가 공동체의 역사를 연구했다. 이어, 한국에서 ‘순수 기억’을 만든 이들/한국에 대한 유아기의 블록을 가진 이민자들/한국 밖에서 태어난 이들로 분류하고, 정체성과 특징을 파악해 작품 활동과 예술 의도를 읽는다.

책소개

국가 간의 경계가 흐려지며 초문화와 초국가의 개념이 우세한 21세기에 한국 미술과 한국 미술가를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한 국가의 문화적 정체성이 초문화적 공간에서 활동하는 미술가들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이 책은 뉴욕 거주 한인 미술가들과의 심층 연구를 해석한 글이다. 성인이 되어 뉴욕 미술계에서 활동하는 미술가들, 어린 나이에 부모를 따라 한국을 떠난 이민자 미술가들, 그리고 한국인 부모 밑에서 태어난 코리안 아메리칸 미술가들은 그들의 한국어 구사 능력 차이만큼이나 다른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한국에서 형성된 순수 기억, 한국에 대한 유아기의 블록, 그리고 기억에 없는 한국 문화를 전수받은 미술가들이다. 이들 미술가들은 그들의 정체성의 차이에 따라 한국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독특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 책은 한 국가의 문화적 정체성이 근본적으로 초문화적 공간에서 “아웃사이더”로서의 역할을 자처하는 예술가들에 의해 형성된다고 서술한다. 그러면서 문화의 국경선이 타파되고 있는 세계화 시대의 한국 미술과 한국 미술가를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K-컬처의 가장자리를 만드는,

뉴욕의 한인 미술가들

이 책은 현대 미술의 중심지 중 한 곳인 미국의 뉴욕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 미술가들에 관한 현장 연구를 심층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뉴욕은 여러 인종과 민족이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로 문화 간 상호작용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대표적인 국제 도시이다. 그와 같이 방대한 시각 문화 공간에서 각기 다른 민속적, 국가적, 문화적, 그리고 종교적 전통과 유산을 가진 세계 각국의 미술가들이 다른 문화와 상호작용하면서 색다른 작품을 생산하고 있다. 아울러 뉴욕은 다른 국제도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국인 미술가들이 많이 거주하는 곳이다. 더욱이 이곳에는 한국인의 미국 이민 역사와 맞물려 다양한 작가층이 공존하면서 많은 문화적 갈등이 목격되고 있다.


1장에서는 뉴욕 미술계와 한인 미술가 공동체 형성의 역사를 알아본다. 뉴욕 한인 미술가 공동체의 역사는 뉴욕 미술계가 형성되던 192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다시 말해서, 뉴욕 한인 미술가 공동체는 뉴욕 미술계의 역사와 맥을 같이하며 성장하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뉴욕 한인 미술가들의 미술 양식은 또한 뉴욕 미술계의 경향과 유기적 관계에 있다. 뉴욕 거주 한인 미술가들은 뉴욕 미술계에서 성행하는 양식들을 선별적으로 수용하면서 그들의 작품 세계를 개척하였다. 동시에 그들은 한국 미술계와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한인 미술가들의 예술 활동은 뉴욕 미술계뿐 아니라 한국 미술계와도 영향 관계에 있다. 1장은 뉴욕 미술계의 성장을 뉴욕 미술 양식의 전개와 관련지어 알아본다. 그러면서 뉴욕에 거주하는 한국 미술가들의 작품 제작의 형식, 그들이 사용한 매체와 재료 및 기술 등을 살펴본다. 그러면서 그들이 사용하는 형식이 어떻게 새로운 방향으로 확장되며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2장에서는 한국에서 미술 학사학위 취득 후 다음 단계인 미술학 석사 과정을 밟기 위해, 또는 미술의 중심지에서 활동할 목적으로 뉴욕에 정착한 미술가들에 대한 사례 연구를 서술한다. 이와 같이 성인이 되어 미술계에서 활동한 미술가들을 어린 나이에 부모를 따라 한국을 떠난 이민자 미술가들, 그리고 미국에서 태어난 코리안 아메리칸 미술가들과 구분하기 위해 “한국에서 ‘순수 기억’을 만든 미술가들”로 부르고자 한다. 그들은 한국에 대한 생생한 기억이 있기 때문에 스스로를 한국 미술가로 정의한다. 이 장에서는 먼저 이들 미술가들의 예술적 경력, 의도, 목적, 가치, 그리고 그들이 제작한 미술 형태를 묘사하고 분석한다. 그런 다음 이들의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과 그 특징을 해석한다. 성인이 되어 뉴욕에 진출한 미술가들은 뉴욕 미술계로부터 인정받기 위해 먼저 그 제도권에서 통용되는 미술 언어를 익혀야 한다. 따라서 뉴욕에서 활동하는 미술가들에게 뉴욕 미술계는 프랑스의 심리학자 라캉의 언어로 말하자면 “상징계”이자 절대 권력의 “대타자”이다. 미술가들의 정체성의 변화 과정은 자크 라캉과 철학자 질 들뢰즈의 이론을 통해 해석한다.


3장에서는 어린 나이에 한국을 떠나 미국에서 교육받고 뉴욕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민자 미술가들의 정체성에 대해 알아본다. 어린 나이에 한국을 떠났기 때문에 이들의 한국어 구사력은 좋은 편이 아니다. 이들은 적절한 단어와 어휘 사용에 의한 한국어 대화가 어렵다. 그와 같은 소통 능력의 부족 때문인 듯, 이민자 미술가들과 성인의 나이로 뉴욕 미술계에 진출한 한인 미술가들과의 관계는 긴밀하지 않다. 이들에게 한국은 이미 “떠난” 나라이다. 따라서 이들은 한국에 속해 있지 않다는 의식이 팽배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민자 미술가들은 스스로를 “완전한” 한국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한국은 어린 시절의 경험과 관련된 기억 속의 나라이다. 그런데 그 기억은 매우 단편적이어서 전체적인 배경과 연결되지 않는다. 조각나 부유하는 기억들이다. 이들은 “한국에 대한 ‘유아기의 블록’을 가진 미술가들”이다. 이와 같은 제반 특징을 가진 이민자 미술가들은 앞 장에서 파악한 미술가들, 즉 한국에서 순수 기억을 만든 미술가들과 뚜렷한 정체성의 차이를 보인다. 이민자 미술가들의 정체성의 제반 특징을 그들이 제작한 작품과 관련지어 해석한다.


4장에서는 미국에서 한국인 부모 밑에 태어난 미술가들의 정체성의 형성과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한국에서 학사학위 취득 후 성인의 나이에 뉴욕 미술계에 진출한 첫 번째 유형의 한인 미술가들, 그리고 어린 나이에 부모를 따라 미국으로 이주한 두 번째 유형의 미술가들과 달리, 세 번째 유형의 코리안 아메리칸 미술가들은 한국어를 전혀 구사하지 못한다. 이들에게 한국은 직접 체험한 나라가 아니며 부모로부터 배운 나라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들은 지리적이지는 않지만 정신적으로는 한국 문화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직접적으로 체험한 경험이 없기 때문에 한국에 대한 순수 기억 또한 부재하다. 따라서 이들은 “기억에 없는 한국 문화를 전수받은 미술가들”이다. 이들은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추구하기 위한 욕망이 없기 때문에 스스로를 미국인 또는 코즈모폴리턴으로 정의한다. 문화적 정체성 의식이 부재한 대신 이들 미술가들은 코즈모폴리턴의 시각에서 21세기 삶의 조건을 조명하고 이를 시각화하는 데 집중한다. 이와 같은 조건의 코리안 아메리칸 미술가들의 정체성을 그들의 작품과 예술적 의도와 관련하여 파악한다.


5장에서는 한국의 영토 밖에서 활동하는 세 유형의 미술가들에게 제기하였던 질문, “누가 한국 미술가?”에 집중하고자 한다. 누가 어떠한 이유에서 한국 미술가인지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들뢰즈와 과타리가 개념화한 “다양체”를 해석하기로 한다. 정체성은 한 개체를 확인하는 특성이다. 그런데 본질주의에 입각한 정체성의 개념은 우주와 인간의 특징을 담아내지 못한다. 왜냐하면 어느 하나로 특징되는 우주와 인간이 아니기 때문이다. 미술가들은 변화를 거듭하며 여러 양상들을 동시에 지닌 존재이다. 따라서 한 인간의 특성을 정확하게 확인한다는 뜻을 가진 정체성은 사실상 무의미한 개념이다. 들뢰즈와 과타리에게 우주와 인간은 정체성이 아니라 오히려 “다양체”인 것이다. 국가라는 다양체 안에는 특이자로서 아웃사이더가 존재한다. 틈새 공간에 존재하는 아웃사이더들은 문화의 가장자리를 만드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에서 만든 순수 기억과 함께 뉴욕에서 활동하는 미술가들, 한국에 대한 유아기의 블록을 가진 이민자 미술가들, 그리고 한국 밖에서 태어나 한국에 대한 기억이 없으면서도 한국의 문화유산을 가진 미술가들. 이들 모두는 한국의 외곽에서 한국 문화의 가장자리를 만들고 있는 아웃사이더 미술가들이다. 이들이 다양체 안에서 어떻게 한국 문화의 가장자리를 만들고 있는지를 파악하기에 앞서, 이 장은 지금까지의 내용을 요약하면서 이 세 유형의 아웃사이더 미술가들의 정체성이 어떻게 다른지 다시 확인한다.


지은이 | 박정애

공주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명예교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에서 학사학위를,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술교육으로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영국 서리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주교육대학교 교수로 재직했고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발행 학회지 『미술과 교육』 편집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InSEA(International Society for Education through Art) 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through Art(IJETA)의 편집위원이다. 

주요 저서로 『포스트모던 미술, 미술교육론』, 『의미 만들기의 미술』, 『보편성의 미학: 세계화와 한국 미술』, 『미술로 이해하는 미술교육: 감각이 깨우는 지성』, 그리고 영문판 편저로 Art Education as Critical Cultural Inquiry가 있다. 번역서로 『미술교육의 역사』, 『래디컨트: 니꼴라 부리요의 현대미술이론』이 있다. 문화 연구, 미술교육, 한국 미술에 관한 학제 간 연구를 바탕으로 한 A&HCI급 논문과 해외 학자들과의 공동 저서가 다수 있으며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게재한 60여 편의 연구 논문이 있다.


목차

헌정의 글

머리말: 미술의 세계화와 한국성의 이슈


제1장 뉴욕 미술계와 한인 미술가 공동체

제2장 한국에서 순수 기억을 만든 미술가들

제3장 한국에 대한 유아기의 블록을 가진 미술가들

제4장 기억에 없는 한국 문화를 전수받은 미술가들

제5장 한국 문화의 가장자리를 만드는 아웃사이더

결론: 정동이 이끄는 실천을 향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